DOI QR코드

DOI QR Code

조류 인플루엔자 예방 및 면역 증진을 위한 천연 사료 첨가제 특허동향 분석

Patent Trend Analysis on Natural Feed Additive for Avian Influenza Prevention and Immune Enhancement

  • 투고 : 2018.02.06
  • 심사 : 2018.02.26
  • 발행 : 2018.03.28

초록

본 연구에서는 조류 인플루엔자 예방 및 면역 증진을 위한 천연 사료 첨가제의 특허동향을 분석하였다. 2017년 12월 31일 이전에 공개된 한국 및 중국 특허를 대상으로 검색하였다. 한국은 53건, 중국은 105건의 관련특허를 유효특허로 선정하였다. 이 중에서 등록된 특허는 한국은 38건, 중국은 18건이었다. 한국과 중국 모두 2000년 후반부터 출원 건수가 증가하였으며, 특히 중국은 2016년의 특허 출원활동이 활발하였다. 한국특허에서 주로 사용된 사료 첨가제는 녹차, 울금, 강황, 진피, 패모, 행인 황련, 중국특허에서는 판람근, 금은화, 연교, 감초, 황기, 황금, 산사 등이 많이 사용되었다. 두 국가 모두 한방재료를 이용한 사료첨가제가 많았다. 한국은 대학, 연구소 및 바이오 관련 기업의 출원이 많았고, 중국은 개인 출원인의 비중이 높았다.

This study investigate the patent trend of natural feed additives for avian influenza prevention and immunity enhancement. The search scope is Korean and Chinese patents published before December 31, 2017. As a result, I found 53 Korean patents and 105 Chinese patents. Korea and China has increased the number of patent applications since late 2000. In particular, China filed the most patent applications in 2016. Both Korea and China, the oriental medicine materials were mainly used in patent claims. Korea has many patent applications that are submitted by universities, research institutes and bio companies, but China has a high proportion of individual patent applicants.

키워드

참고문헌

  1. 김영택, "조류 인플루엔자," 가정의학회지, 제25 권, 제2호, pp.91-96, 2004.
  2. T. M Ellis, R. B. Bousfield, and L. A. Bissett, "Investigation of outbreaks of highly pathogenic H5N1 avian influenza in waterfowl and wild birds in Hong Kong in late 2002," Avian Pathology, Vol.33, No.5, pp.492-505, 2004. https://doi.org/10.1080/03079450400003601
  3. M Gilbert, X Xiao, and P Chaitaweesub "Avian influenza, domestic ducks and rice agriculture in Thailand," Agriculture, ecosystems & environment, Vol.119, No.3_4, pp.409-415, 2007. https://doi.org/10.1016/j.agee.2006.09.001
  4. P. N. Dinh, H. T. Long, and N. T. Tien, "Risk factors for human infection with avian influenza A H5N1, Vietnam, 2004," Emerging infectious diseases, Vol.12, No.12, p.1841, 2006. https://doi.org/10.3201/eid1212.060829
  5. 모인필, "고병원성 조류인플루엔자의 역학적 특성과 국내 발생 동향," 한국위기관리논집, 제3권, 제2호, pp.30-37, 2007.
  6. 차춘남, 박은기, 정지윤, "자몽종자추출물, 구연산, 사과산 그리고 염화벤잘코늄을 주성분으로 하는 스프레이형 소독제의 조류인플루엔자바이러스에 대한 살바이러스 효과," 한국환경보건학회지, 제42권, 제4호, pp.266-273, 2016. https://doi.org/10.5668/JEHS.2016.42.4.266
  7. 송창선, 권지선, 이현정, "조류독감 방제전략," 한국가금학회지, 제31권, 제2호, pp.129-136, 2004.
  8. 대한양계협회, "되돌아본 고병원성조류인플루엔자 발자취," 월간양계, 제39권, 제10호, pp.82-85, 2007.
  9. 임동구, "조류인플루엔자 알고 대처하자-HPAI 예방을 위한 효과적인 방역," 월간양계, 제39권, 제1호, pp.102-106, 2007.
  10. 최창현, 김종성, 이명진, "조류인플루엔자 피해가 국가 경제에 미치는 영향," 한국방재학회논문집, 제17권, 제6호, pp.167-174, 2017.
  11. www.ytn.co.kr/_ln/0103_201101250928590713
  12. 윤병선, "육계사료 내 사료첨가제가 계육의 육질에 미치는 영향," 한국가금학회지, 제31권, 제3호, pp.193-198, 2004.
  13. 함숙경, 송태화, 짱광친, "육계의 성장 촉진을 위한 사료 첨가제로서의 희토," 한국가금학회지, 제 33권, 제3호, pp.233-238, 2006.
  14. 이종택, "사료첨가제 제조기술과 시장동향 분석," 한국콘텐츠학회 종합학술대회논문집, 제2014 권, 제11호, pp.409-410, 2014.
  15. 이장현, 권수민, 서상희, "안전한 닭고기 생산을 위한 고병원성 조류인플루엔자 A/H5N1에 항바이러스 효과를 가진 천연 사료첨가제의 탐색," 한국축산식품학회지, 제28권, 제4호, pp.512-516, 2008. https://doi.org/10.5851/KOSFA.2008.28.4.512
  16. 건국대학교, 고병원성 조류독감바이러스(AI) 방제용 기능성 사료첨가제 및 식품소재 개발, 농촌진흥청, 2011.
  17. 한국생명공학연구원, 조류 인플루엔자 예방용 사료 첨가제 및 식의학 생물소재 개발에 관한 연구, 농림축산식품부, 2014.
  18. 전성해, 박상성, 신영근, "자기조직화 지도와 매트릭스분석을 이용한 특허분석시스템의 공백기술 예측,"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0권, 제2호, pp.297-304, 2010.
  19. 김방룡, 황성현, "특허 정보를 활용한 IT 유망기술 도출에 관한 연구," 한국통신학회논문지, 제34권, 제10C호, pp.1021-1030, 2009.
  20. 진희정, 이시우, "한의학 특허 동향 조사 : 한국 한의학연구원을 중심으로,"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2권, 제6호, pp.223-229, 2012. https://doi.org/10.5392/JKCA.2012.12.06.223
  21. 전재헌, 이창섭, 이석준, "특허 네트워크 분석을 활용한 의료기기 분야에서의 핵심기술 도출," 경영과 정보연구, 제35권, 제2호, pp.221-254, 2016.
  22. 최지원, 김정은, 김수연, "특허지표를 통한 오미자 기술 동향 연구," 한국자원식물학회지, 제30권, 제4호, pp.466-474, 2017. https://doi.org/10.7732/KJPR.2017.30.4.466
  23. J. M. Song, K. H. Lee, and B. L. Seong, "Antiviral effect of catechins in green tea on influenza virus," Antiviral research, Vol.68, No.2, pp.66-74, 2005. https://doi.org/10.1016/j.antiviral.2005.06.010
  24. 김현진, 이중원, 김용두, "국내산 울금, 강황 및 보라울금의 항균활성과 항산화 효과,"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제18권, 제2호, pp.219-225, 2011. https://doi.org/10.11002/kjfp.2011.18.2.219
  25. 정연섭, 박성진, 박정현, "생강, 울금, 강황 추출 물의 항산화 효과, AChE 억제활성 및 GABA 함량,"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제41권, 제10호, pp.1395-1401, 2012. https://doi.org/10.3746/JKFN.2012.41.10.1395
  26. 박성혁, 윤상학, 권영미, "진피(陳皮)의 염증 억제 효과," 한방재활의학과학회지, 제15권, 제1호, pp.25-37, 2005.
  27. 현재석, 강성명, 마힌다, "진귤 및 온주밀감 진피의 항산화 활성,"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제39권, 제1호, pp.1-7, 2010. https://doi.org/10.3746/jkfn.2010.39.1.001
  28. 이승호, 주영승, "11종 패모(貝母)의 기원별 자연.약재상태 감별," 대한본초학회지, 제29권, 제6호, pp.133-140, 2014. https://doi.org/10.6116/KJH.2014.29.6.133.
  29. 정희재, 정승기, 이형구, "행인(杏仁)과 길경(桔 梗)이 Asthma model 내(內)의 Cytokine IL-4, IL-5, IL-6에 미치는 영향(影響)," 대한한방내과학회지, 제21권, 제1호, pp.31-38, 2000.
  30. 주창엽, 정희재, 정승기, "杏仁이 천식관련 chemokine 분비와 호산구 chemotaxis에 미치는 영향," 대한한방내과학회지, 제27권, 제1호, pp.208-220, 2006.
  31. 정일민, 백수봉, "황련 추출물로부터 항균활성물질의 분리 및 활성 검정," 분석과학, 제10권, 제2호, pp.153-159, 1997.
  32. 정영아, 김보애, 정재식, "황련(Coptis Radix)으로부터 분리된 물질의 항균효능 및 화장품 약리 활성에 대한 연구," 오일 및 응용과학학회지, 제 34권, 제2호, pp.271-279, 2017.
  33. 김영훈, 조우아, 천순주, "판람근(Isatis tinctoria L., 판람근(板藍根))추출물의 항산화활성 및 화장 품약리활성에 관한 연구," 대한본초학회지, 제22권, 제3호, pp.85-91, 2007.
  34. biz.chosun.com/site/data/html_dir/2013/04/17/2013041701162.html
  35. 이신지, 이명종 정지은, "원저 : 발효 금은화 및 황련의 유해균 억제 효과," 한방비만학회지, 제11 권, 제1호, pp.35-46, 2011.
  36. 이은방, 금혜정, "연교추출물의 일반 약리작용," 생약학회지, 제19권, 제4호, pp.262-269, 1988.
  37. 이종록, 조미정, 박상미, "감초 지표성분 분석법 확립 및 liquiritigenin의 함량 증대를 위한 감초의 수치에 관한 연구," 대한한의학방제학회, 제18권, 제1호, pp.145-154, 2010.
  38. 정일윤, "감마선 조사 황기의 기능성 및 화학적 성분에 대한 안정성 평가,"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제34권, 제2호, pp.255-260, 2005. https://doi.org/10.3746/jkfn.2005.34.2.255
  39. 권상철, 최구희, 황종현, "황기 효소분해물 열수 추출액의 이화학적 특성 및 항산화 활성,"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제39권, 제3호, pp.406-413, 2010. https://doi.org/10.3746/jkfn.2010.39.3.406
  40. 윤석빈, 한효상, 이영종, "황금(黃芩)이 LPS로 유 발된 Raw 264.7 Cells의 염증인자에 미치는 영향," 대한본초학회지, 제26권, 제2호, pp.75-81, 2010. https://doi.org/10.6116/KJH.2011.26.2.075
  41. 하유군, 최유경, "황금, 인동등 추출물 혼합의 항염효능에 관한 in vitro 연구," 동의생리병리학회지, 제28권, 제3호, pp.330-336, 2014.
  42. 육창수, 이형규, 박시우, "좁은잎산사나무 열매의 화학성분," 생약학회지, 제25권, 제4호, pp.328-335, 199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