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ferences
- 심홍진, 주성희, 임소혜, 이헤미, 비선형적 TV 시청환경에서 수용자의 매체 이용행태 변화 및 파급효과에 관한 연구, 정보통신정책연구원, 2015.
- 홍구슬, 신광철, "개이미피케이션 메커니즘을 기반으로 한 드라마 몰아보기 시청행태 분석: 넷플릭스 사례를 중심으로," 글로벌문화콘텐츠학회학술대회, pp.239-242, 2017.
- 한순상, 유홍식, 신동희, "수용자의 몰아보기 이용동기와 지속적 이용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대한 연구,"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7권, 제2호, pp.521-534, 2017. https://doi.org/10.5392/JKCA.2017.17.02.521
- E. Walton-Pattison, S. U. Dombrowski, and J. Presseau, "'Just one more episode': Frequency and theoretical correlates of television binge watching," Journal of Health Psychology, Vol.23, No.1, pp.17-24, 2018. https://doi.org/10.1177/1359105316643379
- J. Merikivi, M. Mantymaki, A. Salovaara, and L. Zhang, "Binge watching television shows: Conceptualization and measurement," Available from: http://aisel.aisnet.org/ecis2016_rp.16
- 연합뉴스, "20대, TV '본방사수'는 옛말 - 60.5% '몰아보기' 시청," Available from: http://www.yonhapnews.co.kr/bulletin/2016/02/18/0200000000AKR20160218067300033.HTML
- 임정수, "텔레비전을 떠난 지상파 콘텐츠: 수용자선택과 이용을 중심으로," 언론정보연구, 제47권, 제2호, pp.74-99, 2010.
- 심미선, "다매체 시대 미디어 레퍼토리 유형에 관한 연구," 한국방송학보, 제21권, 제2호, pp.351-390, 2007.
- 황성연, "방송환경 변화와 시청률 조사방식의 변화: 국내 통합시청행태 조사의 의미와 쟁점을 중심으로," 방송문화연구, 제26권, 제1호, pp.63-84, 2014.
- 심미선, 김은미, 이준웅, "라이프 스타일에 따른 텔레비전 시청패턴 연구: 일원 자료를 근거로," 한국언론학보, 제48권, 제2호, pp.189-217, 2004.
- 김숙, "지상파 예능 프로그램의 VOD 창구 성과와 검색 지수에 관한 연구," 방송과 커뮤니케이션, 제16권, 제1호, pp.81-114, 2015.
- 최윤정, 권상희, "소셜시청에서 경험하는 사회적 현존감 형성요인과 사회적 현존감이 시청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방송학보, 제29권, 제5호, pp.242-276, 2015.
- M. Newman, "New media, young audiences and discourses of attention: from Sesame Street to 'snack culture'," Media, Culture & Society, Vol.32, No.4, pp.581-596, 2010. https://doi.org/10.1177/0163443710367693
- 임소혜, 이영주, "N 스크린 서비스 이용자의 이용 동기와 불만족 요인에 관한 연구,"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3권, 제3호, pp.99-108, 2013. https://doi.org/10.5392/JKCA.2013.13.03.099
- M. Pitman and S. Kim, "Sprinting a media marathon: Uses and gratifications of binge-watching television through Netflix," First Monday, Vol.20, 2015.
- M. Jenner, "Is this TVIV? On Netflix, TVIII and binge-watching," New Media & Society, Vol.18, No.2, pp.257-273, 2016. https://doi.org/10.1177/1461444814541523
- 김영주, "OTT 서비스 확산이 콘텐츠 생산, 유통, 소비에 미친 영향에 관한 연구," 방송문화연구, 제27권, 제1호, pp.75-102, 2015.
- E. Katz, J. G. Blumler, and M. Gurenvitch, "Uses and gratification research," The Public Opinion Quarterly, Vol.37, No.4, pp.509-523, 1973. https://doi.org/10.1086/268109
- L. Pena, Breaking binge: Exploring the effect of binge watching on television viewer reception, Dissertation, Syracuse University, 2015.
- 이병성, 최성진, "융합환경에서 지상파 드라마 편성유형이 VoD 구매에 미치는 영향," 한국과학예술포럼, 제19권, pp.527-536, 2015.
- 이선희, 정수영, 장병희, "드라마 시청동기가 3DTV 드라마 시청 태도 및 의도에 미치는 영향," 언론과학연구, 제13권, 제4호, pp.414-453, 2013.
- 최성진, 이영주, 조성수, "지상파 방송 드라마의 고화질 VoD 이용 요인에 관한 연구," 언론과학연구, 제9권, 제4호, pp.639-670, 2009.
- 박신영, "텔레비전 드라마 시청자의 성향이 이용동기, 장르 선호도 및 드라마 몰입 정도에 미치는 영향: 대학생 시청집단의 현실도피와 판타지 성향을 중심으로," 언론과학연구, 제10권, 제1호, pp.166-201, 2010.
- 황용석, "시간과 공간의 맥락에서 본 텔레비전과 인터넷 이용의 상호관계성 탐구," 방송연구, 제59호, pp.309-338, 2004.
- 김병선, "웹 이용 행위에 영향을 미치는 심리적 요인과 구조적 요인," 한국언론학보, 제48권, 제1호, pp.112-141, 2004.
- 황성연, "시청선택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구조적 요인, 시청자 특성, 프로그램 품질평가의 통합분석을 중심으로," 한국방송학보, 제19권, 제4호, pp.644-689, 2005.
- 심미선, "융합환경 하에서의 미디어 이용에 관한 이론적 고찰," 미디어 경제와 문화, 제6권, 제2호, pp.7-44, 2008.
- 이재현, "여가, 텔레비전, 그리고 인터넷 - 생활 시간으로 본 미디어 구도의 변화," 방송문화연구, 제13집, pp.59-81, 2001.
- 이성준, "성격 특성과 이용 동기가 모바일 메신저 그래픽 이모티콘 활용에 미치는 영향: 카카오톡 사례를 중심으로,"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5권, 제12호, pp.129-140, 2015. https://doi.org/10.5392/JKCA.2015.15.12.129
- F. Davis, "Perceived usefulness, perceived ease of use, and user acceptance of information technology," MIS Quarterly, Vol.13, No.3, pp.319-340, 1989. https://doi.org/10.2307/249008
- 조세형, "웹사이트 정보품질 및 사용자인터페이스품질이 문화상품 온라인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 고객 관여도의 조절효과,"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3권, 제2호, pp.931-944, 2013.
- C. Park and Y. Kim, "The effect of information satisfaction and relational benefit on consumer's online shopping site commitment," in Mehdi Khosrow-Pour, Web technologies for commerce and service online, Information Science Reference, pp.149-169, 2008.
- D. A. Griffith, R. F. Krampf, and J. W. Palmer, "The role of interface in electronic commerce: Consumer Involvement with print versus online catalogs," International Journal of Electronic Commerce, Vol.5, No.4, pp.135-153, 2001. https://doi.org/10.1080/10864415.2001.11044219
- 정철호, 정덕화, "UCC 서비스의 콘텐츠 품질이 사용자 만족과 지속이용의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9권, 제7호, pp.294-303, 2009. https://doi.org/10.5392/JKCA.2009.9.7.294
- 김수현, "IPTV 서비스의 기능적 속성이 채택의 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9권, 제2호, pp.261-269, 2009. https://doi.org/10.5392/JKCA.2009.9.2.261
- 이창훈, 김정기, "세컨스크린 미디어이용의 특성과 효과: 개인성향과 프로그램 장르, 미디어 중독, 애착 변인을 중심으로," 한국언론학보, 제59권, 제1호, pp.331-357, 2015.
- M. Kremar and L. G Kean, "Uses and gratification of media violence: Personality correlates of viewing and liking violent genres," Media Psychology, Vol.7, No.4, pp.399-420, 2005. https://doi.org/10.1207/S1532785XMEP0704_5
- 박미향, 김정숙, 함경애, "대학생의 성격 5요인과 자아존중감이 SNS 중독경향성에 미치는 영향," 재활심리연구, 제21집, 제2호, pp.189-206, 2014.
- R. McCae and P. Costa, "Validation of the five-factor model of personality across instruments and observers,"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Vol.52, pp.81-90, 1987. https://doi.org/10.1037/0022-3514.52.1.81
- D. D. Shade, S. Kornfield, and M. B. Oliver, "The uses and gratifications of media migration: Investigating the activities, motivations, and predictors of migration behaviors originating in entertainment television," Journal of Broadcasting & Electronic Media, Vol.59, No.2, pp.318-341, 2013. https://doi.org/10.1080/08838151.2015.1029121
- 유세경, 김명소, 이윤진, "텔레비전 드라마 시청동기와 태도연구," 한국방송학보, 제18권, 제1호, pp.245-288, 2004.
- 강두선, 장기훈, "TV드라마 여성음주장면에 대한 공감과 감정이입이 음주의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성별 비교연구: 관여도의 매개역할을 중심으로," 한국심리학회: 소비자.광고, 제12권, 제2호, pp.349-348, 2011.
- 김봉철, 최명일, 김유미, "TV 자선모금 프로그램에 대한 수용자의 정서적.인지적 관여가 기부의도에 미치는 영향: 지각된 행위통제, 도덕적 규범, 기부의도에 미치는 영향," 미디어 경제와 문화, 제10권, 제3호, pp.48-88, 2012.
- 이승조, 연보영, 구세희, "국제 기아 돕기 캠페인의 효과에 미치는 긍, 부정 프레이밍과 관여도의 영향․상호작용을 중심으로," 감성과학, 제11권, 제1호, pp.146-162, 2010.
- 홍순근, "정보시스템 수용의 외생적 및 내재적 동기의 효과에 대한 개인적 관여도의 조절효과," e-비지니스연구, 제9권, 제3호, pp.65-83, 2008.
- R. E. Petty and J. T. Cacioppo, "Issue Involvement can Increase or Decrease Persuasion of Enhancing Message-Relevant Cognitive Reponses,"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Vol.37, No.10, pp.1915-1926, 1979. https://doi.org/10.1037/0022-3514.37.10.1915
- 김미라, "리얼리티 오디션 쇼의 인지된 진정성 차원과 수용자 관여, 재미와의 관계 연구," 한국방송학보, 제25권, 제6호, pp.88-124, 2011.
- 김미선, 유세경, "일본 시청자의 한국 드라마 시청에 관한 연구: 한일 역사 인식에 따른 한국 드라마 시청 성과를 중심으로,"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4권, 제5호, pp.44-54, 2014. https://doi.org/10.5392/JKCA.2014.14.05.044
- 김남이, 이수범, "공중의 라이프스타일이 소셜미디어 이용 동기 및 이용 행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한국광고홍보학회, 제13권, 제2호, pp.306-341, 2011.
- R. Ryan and E. Deci, "Self-determination theory and the facilitation of intrinsic motivation, social development, and well-being," American Psychologist, Vol.55, No.1, pp.68-78, 2000. https://doi.org/10.1037/0003-066X.55.1.6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