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nalysis of Psychological and Structural Determinants that Affect Binge-Watching of Drama Series

드라마 시리즈물 몰아보기 행위에 영향을 미치는 심리 및 구조적 요인에 관한 고찰

  • 이성준 (청주대학교 미디어콘텐츠학부)
  • Received : 2018.01.03
  • Accepted : 2018.01.25
  • Published : 2018.02.28

Abstract

This study identified several factors that may affect binge watching of drama series, which becomes more common, in the changing media environment and tested their influences empirically. For this objective, this research looked at how demographic variables, time availability, perceived effectiveness of interface, perceived content variability, neuroticism and motivations for drama binge watching affect binge watching of drama series. It also examined moderating effect of drama involvement. The findings showed that neuroticism, two motivations(playfulness/stress relief and program reputation motivation) have positive influences on binge watching of drama series. The moderating effect of drama involvement was also found. The meaning of results are also discussed.

본 연구는 미디어 환경 변화 속에서 점차 보편화되고 있는 드라마 시리즈물 몰아보기 행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이 무엇인지를 규명하고 실증적으로 이들 요인들의 영향력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러한 목적을 위해 기존 연구 문헌 고찰을 통해 영향 가능 요소로서 인구 통계학적 요인들, 시간적 가용성, 인지된 인터페이스 효율성, 인지된 콘텐츠 다양성, 정서적 불안정성, 드라마 몰아보기 동기들 등이 드라마 시리즈물 몰아보기 행위에 어떤 영향이 있는 지를 확인해 보았다. 또한 드라마 관여도의 조절 효과 또한 살펴보았다. 연구의 결과, 정서적 불안정성, 드라마 몰아보기 동기로서 즐거움과 스트레스 해소 동기, 프로그램 평판 동기 등이 드라마 시리즈물 몰아보기 행위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드라마 관여도의 조절 효과 또한 발견되었다. 연구의 결과가 지닌 의미에 대해서도 논의한다.

Keywords

References

  1. 심홍진, 주성희, 임소혜, 이헤미, 비선형적 TV 시청환경에서 수용자의 매체 이용행태 변화 및 파급효과에 관한 연구, 정보통신정책연구원, 2015.
  2. 홍구슬, 신광철, "개이미피케이션 메커니즘을 기반으로 한 드라마 몰아보기 시청행태 분석: 넷플릭스 사례를 중심으로," 글로벌문화콘텐츠학회학술대회, pp.239-242, 2017.
  3. 한순상, 유홍식, 신동희, "수용자의 몰아보기 이용동기와 지속적 이용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대한 연구,"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7권, 제2호, pp.521-534, 2017. https://doi.org/10.5392/JKCA.2017.17.02.521
  4. E. Walton-Pattison, S. U. Dombrowski, and J. Presseau, "'Just one more episode': Frequency and theoretical correlates of television binge watching," Journal of Health Psychology, Vol.23, No.1, pp.17-24, 2018. https://doi.org/10.1177/1359105316643379
  5. J. Merikivi, M. Mantymaki, A. Salovaara, and L. Zhang, "Binge watching television shows: Conceptualization and measurement," Available from: http://aisel.aisnet.org/ecis2016_rp.16
  6. 연합뉴스, "20대, TV '본방사수'는 옛말 - 60.5% '몰아보기' 시청," Available from: http://www.yonhapnews.co.kr/bulletin/2016/02/18/0200000000AKR20160218067300033.HTML
  7. 임정수, "텔레비전을 떠난 지상파 콘텐츠: 수용자선택과 이용을 중심으로," 언론정보연구, 제47권, 제2호, pp.74-99, 2010.
  8. 심미선, "다매체 시대 미디어 레퍼토리 유형에 관한 연구," 한국방송학보, 제21권, 제2호, pp.351-390, 2007.
  9. 황성연, "방송환경 변화와 시청률 조사방식의 변화: 국내 통합시청행태 조사의 의미와 쟁점을 중심으로," 방송문화연구, 제26권, 제1호, pp.63-84, 2014.
  10. 심미선, 김은미, 이준웅, "라이프 스타일에 따른 텔레비전 시청패턴 연구: 일원 자료를 근거로," 한국언론학보, 제48권, 제2호, pp.189-217, 2004.
  11. 김숙, "지상파 예능 프로그램의 VOD 창구 성과와 검색 지수에 관한 연구," 방송과 커뮤니케이션, 제16권, 제1호, pp.81-114, 2015.
  12. 최윤정, 권상희, "소셜시청에서 경험하는 사회적 현존감 형성요인과 사회적 현존감이 시청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방송학보, 제29권, 제5호, pp.242-276, 2015.
  13. M. Newman, "New media, young audiences and discourses of attention: from Sesame Street to 'snack culture'," Media, Culture & Society, Vol.32, No.4, pp.581-596, 2010. https://doi.org/10.1177/0163443710367693
  14. 임소혜, 이영주, "N 스크린 서비스 이용자의 이용 동기와 불만족 요인에 관한 연구,"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3권, 제3호, pp.99-108, 2013. https://doi.org/10.5392/JKCA.2013.13.03.099
  15. M. Pitman and S. Kim, "Sprinting a media marathon: Uses and gratifications of binge-watching television through Netflix," First Monday, Vol.20, 2015.
  16. M. Jenner, "Is this TVIV? On Netflix, TVIII and binge-watching," New Media & Society, Vol.18, No.2, pp.257-273, 2016. https://doi.org/10.1177/1461444814541523
  17. 김영주, "OTT 서비스 확산이 콘텐츠 생산, 유통, 소비에 미친 영향에 관한 연구," 방송문화연구, 제27권, 제1호, pp.75-102, 2015.
  18. E. Katz, J. G. Blumler, and M. Gurenvitch, "Uses and gratification research," The Public Opinion Quarterly, Vol.37, No.4, pp.509-523, 1973. https://doi.org/10.1086/268109
  19. L. Pena, Breaking binge: Exploring the effect of binge watching on television viewer reception, Dissertation, Syracuse University, 2015.
  20. 이병성, 최성진, "융합환경에서 지상파 드라마 편성유형이 VoD 구매에 미치는 영향," 한국과학예술포럼, 제19권, pp.527-536, 2015.
  21. 이선희, 정수영, 장병희, "드라마 시청동기가 3DTV 드라마 시청 태도 및 의도에 미치는 영향," 언론과학연구, 제13권, 제4호, pp.414-453, 2013.
  22. 최성진, 이영주, 조성수, "지상파 방송 드라마의 고화질 VoD 이용 요인에 관한 연구," 언론과학연구, 제9권, 제4호, pp.639-670, 2009.
  23. 박신영, "텔레비전 드라마 시청자의 성향이 이용동기, 장르 선호도 및 드라마 몰입 정도에 미치는 영향: 대학생 시청집단의 현실도피와 판타지 성향을 중심으로," 언론과학연구, 제10권, 제1호, pp.166-201, 2010.
  24. 황용석, "시간과 공간의 맥락에서 본 텔레비전과 인터넷 이용의 상호관계성 탐구," 방송연구, 제59호, pp.309-338, 2004.
  25. 김병선, "웹 이용 행위에 영향을 미치는 심리적 요인과 구조적 요인," 한국언론학보, 제48권, 제1호, pp.112-141, 2004.
  26. 황성연, "시청선택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구조적 요인, 시청자 특성, 프로그램 품질평가의 통합분석을 중심으로," 한국방송학보, 제19권, 제4호, pp.644-689, 2005.
  27. 심미선, "융합환경 하에서의 미디어 이용에 관한 이론적 고찰," 미디어 경제와 문화, 제6권, 제2호, pp.7-44, 2008.
  28. 이재현, "여가, 텔레비전, 그리고 인터넷 - 생활 시간으로 본 미디어 구도의 변화," 방송문화연구, 제13집, pp.59-81, 2001.
  29. 이성준, "성격 특성과 이용 동기가 모바일 메신저 그래픽 이모티콘 활용에 미치는 영향: 카카오톡 사례를 중심으로,"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5권, 제12호, pp.129-140, 2015. https://doi.org/10.5392/JKCA.2015.15.12.129
  30. F. Davis, "Perceived usefulness, perceived ease of use, and user acceptance of information technology," MIS Quarterly, Vol.13, No.3, pp.319-340, 1989. https://doi.org/10.2307/249008
  31. 조세형, "웹사이트 정보품질 및 사용자인터페이스품질이 문화상품 온라인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 고객 관여도의 조절효과,"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3권, 제2호, pp.931-944, 2013.
  32. C. Park and Y. Kim, "The effect of information satisfaction and relational benefit on consumer's online shopping site commitment," in Mehdi Khosrow-Pour, Web technologies for commerce and service online, Information Science Reference, pp.149-169, 2008.
  33. D. A. Griffith, R. F. Krampf, and J. W. Palmer, "The role of interface in electronic commerce: Consumer Involvement with print versus online catalogs," International Journal of Electronic Commerce, Vol.5, No.4, pp.135-153, 2001. https://doi.org/10.1080/10864415.2001.11044219
  34. 정철호, 정덕화, "UCC 서비스의 콘텐츠 품질이 사용자 만족과 지속이용의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9권, 제7호, pp.294-303, 2009. https://doi.org/10.5392/JKCA.2009.9.7.294
  35. 김수현, "IPTV 서비스의 기능적 속성이 채택의 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9권, 제2호, pp.261-269, 2009. https://doi.org/10.5392/JKCA.2009.9.2.261
  36. 이창훈, 김정기, "세컨스크린 미디어이용의 특성과 효과: 개인성향과 프로그램 장르, 미디어 중독, 애착 변인을 중심으로," 한국언론학보, 제59권, 제1호, pp.331-357, 2015.
  37. M. Kremar and L. G Kean, "Uses and gratification of media violence: Personality correlates of viewing and liking violent genres," Media Psychology, Vol.7, No.4, pp.399-420, 2005. https://doi.org/10.1207/S1532785XMEP0704_5
  38. 박미향, 김정숙, 함경애, "대학생의 성격 5요인과 자아존중감이 SNS 중독경향성에 미치는 영향," 재활심리연구, 제21집, 제2호, pp.189-206, 2014.
  39. R. McCae and P. Costa, "Validation of the five-factor model of personality across instruments and observers,"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Vol.52, pp.81-90, 1987. https://doi.org/10.1037/0022-3514.52.1.81
  40. D. D. Shade, S. Kornfield, and M. B. Oliver, "The uses and gratifications of media migration: Investigating the activities, motivations, and predictors of migration behaviors originating in entertainment television," Journal of Broadcasting & Electronic Media, Vol.59, No.2, pp.318-341, 2013. https://doi.org/10.1080/08838151.2015.1029121
  41. 유세경, 김명소, 이윤진, "텔레비전 드라마 시청동기와 태도연구," 한국방송학보, 제18권, 제1호, pp.245-288, 2004.
  42. 강두선, 장기훈, "TV드라마 여성음주장면에 대한 공감과 감정이입이 음주의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성별 비교연구: 관여도의 매개역할을 중심으로," 한국심리학회: 소비자.광고, 제12권, 제2호, pp.349-348, 2011.
  43. 김봉철, 최명일, 김유미, "TV 자선모금 프로그램에 대한 수용자의 정서적.인지적 관여가 기부의도에 미치는 영향: 지각된 행위통제, 도덕적 규범, 기부의도에 미치는 영향," 미디어 경제와 문화, 제10권, 제3호, pp.48-88, 2012.
  44. 이승조, 연보영, 구세희, "국제 기아 돕기 캠페인의 효과에 미치는 긍, 부정 프레이밍과 관여도의 영향․상호작용을 중심으로," 감성과학, 제11권, 제1호, pp.146-162, 2010.
  45. 홍순근, "정보시스템 수용의 외생적 및 내재적 동기의 효과에 대한 개인적 관여도의 조절효과," e-비지니스연구, 제9권, 제3호, pp.65-83, 2008.
  46. R. E. Petty and J. T. Cacioppo, "Issue Involvement can Increase or Decrease Persuasion of Enhancing Message-Relevant Cognitive Reponses,"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Vol.37, No.10, pp.1915-1926, 1979. https://doi.org/10.1037/0022-3514.37.10.1915
  47. 김미라, "리얼리티 오디션 쇼의 인지된 진정성 차원과 수용자 관여, 재미와의 관계 연구," 한국방송학보, 제25권, 제6호, pp.88-124, 2011.
  48. 김미선, 유세경, "일본 시청자의 한국 드라마 시청에 관한 연구: 한일 역사 인식에 따른 한국 드라마 시청 성과를 중심으로,"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4권, 제5호, pp.44-54, 2014. https://doi.org/10.5392/JKCA.2014.14.05.044
  49. 김남이, 이수범, "공중의 라이프스타일이 소셜미디어 이용 동기 및 이용 행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한국광고홍보학회, 제13권, 제2호, pp.306-341, 2011.
  50. R. Ryan and E. Deci, "Self-determination theory and the facilitation of intrinsic motivation, social development, and well-being," American Psychologist, Vol.55, No.1, pp.68-78, 2000. https://doi.org/10.1037/0003-066X.55.1.6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