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지자체별 데이터 조회 및 분석을 위한 통합 데이터베이스 설계 방안

Integrated Database Design for Retrieval and Analysis of Local Government's Data

  • 임광혁 (배재대학교 전자상거래학과)
  • 투고 : 2017.10.31
  • 심사 : 2017.11.24
  • 발행 : 2018.02.28

초록

지방자치단체(이하 지자체)의 경제, 사회, 문화 분야의 현황 파악 및 다양한 분석을 위해서는 지자체의 분야별 현황자료를 분석 목적에 맞게 다양하게 조회하고 이를 바탕으로 하여 다양한 분석을 수행할 수 있도록 통합적으로 지원할 수 있는 지자체 통합 데이터베이스(DB)의 구축은 필수적이다. 본 연구는 지자체별 데이터를 통합적으로 조회하고 분석할 수 있도록 지원할 수 있는 지자체 통합 데이터베이스(DB)의 설계 방안을 제안하였다. 지자체 통합 DB는 지자체의 경제, 사회, 문화 활동 전반에 대한 광범위하고 이질적인 자료를 망라하여야 하며, 지자체 간 그리고 데이터 구성 요소 간의 차이를 고려해서 전체 자료를 통합할 수 있는 스키마(schema)를 설계하고 이에 바탕을 두고 구축되어야 한다. 데이터는 특성에 맞게 구조화되어 조회할 수 있어야 하며, 키워드를 통한 검색을 통하여 관련 데이터를 종합적으로 조회할 수 있어야 한다. 또한, 연구자가 자신의 연구 목적에 필요한 데이터를 쉽게 조회하고 다운로드 받아 분석데이터를 편집하여 작성할 수 있도록 데이터의 조회 및 다운로드 기능이 필수적으로 필요하다.

It is essential to build a integrated database (DB) to grasp the present status and various analysis of the economic, social and cultural sectors of local governments and to provide various inquiries on the status data of the local governments according to the purpose of analysis. This study proposed a design method of the integrated DB which can support the inquiry and analysis of the data by the local government. The integrated DB should cover a wide range of heterogeneous data on the economic, social and cultural activities of local governments, and it is necessary to design a schema that can integrate the entire data considering differences between local governments and data elements. The data should be structured in accordance with the characteristics, and it should be possible to inquire related data comprehensively through the search through the keywords. In addition, data retrieval and downloading functions are indispensable for the researcher to easily retrieve data necessary for research purpose and to download and modify data for analysis.

키워드

참고문헌

  1. 임광혁, "지방자치단체의 경제, 사회, 문화 통합DB 구축 방안,"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6권, 제6호, pp.441-449, 2016. https://doi.org/10.5392/JKCA.2016.16.06.441
  2. 이혁주, 박희봉, "도시행정서비스의 생산특성과 비효율 분석," 한국행정학보, 제30권, 제4호, pp.121-137, 1997.
  3. 박기관, "행정구역개편에 따른 도,농 통합의 성과와 결정요인 분석 -DEA의 효율성 측정을 중심으로," 지방행정연구, 제21권, 제2호, pp.65-94, 2007.
  4. 최원익, "한국 지방자치단체 효율성 및 효율성 결정요인에 관한 실증분석," 한국지방자치학회보, 제21권, 제4호, pp.12-26, 2009.
  5. 송건섭, 최진, "지방자치단체 보육현황과 서비스 효율성," 지방정부연구, 제13권, 제1호, pp.173-193, 2009.
  6. 장인봉, 박승훈, "자료포락분석(DEA)을 이용한 지방자치단체의 복지효율성 비교.분석," 한국정책연구, 제13권, 제4호, pp.173-196, 2013.
  7. 조재관, 최윤수, 권재현, 이보미, "GIS 기본도 및 DB의 세계측지계 좌표변환 정확도 분석에 관한 연구," 한국지형공간정보학회지, 제16권, 제3호, pp.79-85, 2008.
  8. 김은형, "지자체 GIS 통합.연계 고도화 모델 연구," 한국공간정보학회지, 제15권, 제3호, pp.189-202, 2007.
  9. 정규만, "웹기반 다차원 GIS DB 정보 표출 시스템," 대구대학교 산학협력단, 2016.
  10. 임영택, 최봉문, "지방자치단체의 공간정보수요에 따른 공간DB 구축방안 연구," 한국콘텐츠학회2005년도 추계 종합학술대회 논문집, pp.317-323, 2005.
  11. 박혜련, Web GIS 기반의 문화정보체계구축 : 지자체(서울시)를 중심으로, 서울대학교 환경대학원, 석사, 2006
  12. 이현직, "지하시설물 DB의 유지관리를 위한 위치기반서비스 시스템 구축," 대한토목학회논문지, 제25권, 제3호, pp.477-487, 2005
  13. 윤원식, 신동천, "데이타 웨어하우스 환경에서 조인 비용을 기반으로 한 실체 뷰 선택 알고리즘," 정보과학회논문지, 제28권, 제1호, pp.31-41, 20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