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Effects of Dancing Healing on Post-traumatic Growth -Focused on Female Victims of Domestic Violence in Shelter-

춤 치유가 외상 후 성장에 미치는 효과 -쉼터거주 가정폭력 피해여성을 중심으로-

  • 신우정 (동방대학원대학교 자연치유학과) ;
  • 임동호 (동방대학원대학교 자연치유학과)
  • Received : 2017.11.27
  • Accepted : 2018.02.03
  • Published : 2018.02.28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applying physical expression program through dancing on the post-traumatic growth of domestic violence female victims.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female victims of domestic violence living in shelters (7 facilities) for women victims of domestic violence in Seoul, consisting of 23 experimental groups and 23 control groups. The dancing healing physical expression program applied to the experimental group consisted of 18 sessions, which was conducted three times a week for 6 weeks, and each session was conducted for 90 minutes. This study was aimed to dancing based on physical expression and movement experience, but focuses on improvisational, non-formal and creative expression for inner expression. We referred to the activities and principles of previous studies, and applied characters, which were counseling techniques, interactions, and healing principles of previous counseling psychology studies on domestic violence and trauma, to every stage of the session. As a result of this study, it was found that the dancing healing physical expression program had an effect on the entire post-traumatic growth of the experimental group and lower dimension lists of the depth of interpersonal relationship, self-perception, potential discovery, spiritual interest level, The results of the post - test were compared.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experimental and control groups after the test. In conclusion, this study aimed to understand the fundamental and healing attributes of dance, and provided basic data to establish a virtuous intervention strategy that provided opportunities for self-recovery to those who experienced psychological pain, such as women victimized by domestic violence at the social aspect.

본 연구는 가정폭력 피해여성을 대상으로, 춤을 통한 치유적 신체표현 프로그램을 적용하여, 이들의 외상후 성장에 미치는 효과를 검증하였다. 본 연구의 대상은 서울지역의 가정폭력 피해여성을 위한 쉼터(7개 시설)에 거주하는 가정폭력 피해여성으로서, 실험집단 23명, 통제집단 23명으로 구성하였다. 실험집단에게 적용한 춤 치유 신체표현 프로그램은 총 18회기로 구성하였고, 주 3회, 6주에 걸쳐 진행되며, 각 회기는 90분 동안 실시하도록 하였다. 본 연구의 춤 치유 신체표현 프로그램은 신체표현과 동작 경험을 중심으로 한 춤을 기반으로 삼되, 내면의 표출을 위한 즉흥적 비형식적이고 창조적인 표현에 초점을 두고 있다. 이에 다수의 춤 치유 및 무용치료 선행연구들의 활동과 원리를 참조하고, 가정폭력과 외상 관련 심리 상담 선행연구에서의 상담기법 및 상호작용, 치유적 원리의 특성을 회기 구조 단계마다 적용하였다. 연구 결과, 춤 치유 신체표현 프로그램은 실험집단의 외상 후 성장 전체 및 하위차원인 대인관계깊이, 자기지각, 가능성발견, 영적관심 차원에 향상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의 사후점수 및 향상정도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결국 본 연구는 춤의 근원적이고 치유적인 속성을 이해하고, 사회적 차원에서 가정폭력 피해여성과 같이 심리적 고통을 경험하는 대상들에게 스스로 회복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는 선순환적 치유방식 및 춤의 활용성에 관한 기초자료를 제공하였다는데 의의가 있다.

Keywords

References

  1. 정병호, 한국 무용의 미학, 집문당, 2004.
  2. A. Halprin, 치유 예술로서의 춤, 임용자, 김용량 역, 물병자리, 2002.
  3. 박선영, 춤 테라피의 이론과 실제, 학지사, 2010.
  4. 최경실, "춤의 사회적 기능 - 삶을 치유하는 춤," 한국콘텐츠학회 종합학술대회 논문집, 제2014권, 제11호, pp.177-178, 2014.
  5. 주성용, 무용동작치료가 지적장애 여자고등학생의 자기표현능력과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효과, 원광대학교 일반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1.
  6. 이애주, "치유 이전의 몸과 춤," 한국정신과학회 학술대회 논문집, 제2016권, 제10호, pp.159-169, 2016.
  7. 심희정, 서미아, "가정폭력 피해여성의 애착손상 및 상태-특성 불안이 부부 적응에 미치는 영향,"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5권, 제3호, pp.133-145, 2015. https://doi.org/10.5392/JKCA.2015.15.03.133
  8. 여성가족부, 2016년 가정폭력 실태조사, 2017.
  9. 김소정, "가정폭력 피해경험이 기혼여성의 우울에 영향을 미치는 과정 연구 : 자아존중감과 사회적 지지체계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한국사회복지학회학술발표대회지, 제2008권, 제1호, pp.329-334, 2008.
  10. L. E. Walker, The battered woman, Harper & Row, 1979.
  11. APA(America Psychiatric Association), DSM-IV : 정신장애 편람 및 통계편람(제4판), 하나의학사, 1994.
  12. 변은주, "폭력피해 여성들의 심리적 후유증과 치유," 여성연구논집, 제25호, pp.5-17, 2014.
  13. 최성희, 이영휘, "유방암 환자의 외상 후 성장 영향 요인,"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6권, 제11호, pp.499-509, 2016. https://doi.org/10.5392/JKCA.2016.16.11.499
  14. R. G. Tedeschi and L. G. Calhoun, "The posttraumatic growth inventory: Measuring the positive legacy of trauma," Journal of Traumatic Stress, Vol.9, No.3, pp.455-472, 1996. https://doi.org/10.1002/jts.2490090305
  15. 송승훈, 이홍석, 박준호, 김교현, "한국판 외상 후 성장 척도의 타당도 및 신뢰도 연구," 한국심리학회지: 건강, 제14권, 제1호, pp.193-214, 2009.
  16. T. Zoellner and A. Maercker, "Posttraumatic growth in clinical psychology-A critical review and introduction of a two component model," Clinical Psychology Review, Vol.26, No.5, pp.626-653, 2006. https://doi.org/10.1016/j.cpr.2006.01.008
  17. 김옥희, 김연경, "중년여성의 애착, 외상 후 성장 및 자기실현과의 관계,"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6권, 제12호, pp.507-517, 2016. https://doi.org/10.5392/JKCA.2016.16.12.507
  18. 최권호, 소아암 부모의 외상 후 성장을 위한 가족 프로그램 TSL(R)-CCF 개발과 효과성 검증, 연세대학교 사회복지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5.
  19. R. G. Tedeschi and L. G. Calhoun, Trauma and transformation: Growing in the aftermath of suffering, Sage Publications, 1995.
  20. L. G. Calhoun and R. G. Tedeschi, Handbook of posttraumatic growth Research & practice, Lawrence Erlbaum Associates Publishers, 2006.
  21. 유해선, 치료.회복 프로그램이 가정폭력 피해여성의 심리사회적 요인, 정신건강, 자립의지에 미치는 효과, 서울벤처대학원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5.
  22. 차지영, 외상경험 청소년의 외상 후 성장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 경성대학교 일반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7.
  23. 이수정, "가정폭력에 기인하여 배우자를 살해한 여성 재소자의 심리특성에 관한 연구," 한국심리학회지: 사회 및 성격, 제20권, 제2호, pp.35-55, 2006.
  24. D. G. Saunders, "Posttraumatic stress symptom profiles of battered women: A comparison of survivors in two settings," Violence and victims, Vol.9, No.1, pp.31-44, 1994.
  25. S. Perrin, V. B. Van Hasselt, and M. Hersen, "Validation of the Keane MMPI-PTSD Scale against DSM-III-R criteria in a sample of battered women," Violence and victims, Vol.12, No.1, pp.99-104, 1997.
  26. S. Vitanza, L. Vogel, and L. L. Marshall, "Distress and symptoms of post traumatic stress disorder in abused women," Violence and victims, Vol.10, No.1, pp.23-34, 1995.
  27. C. G. Watson, M. Barnett, L. Nikunen, C. Schultz, T. Randolph-Elgin, and C. M. Mendez, "Lifetime prevalences of nine common psychiatric/personality disorders in female domestic abuse survivors," The Journal of nervous and mental disease, Vol.185, No.10, pp.645-647, 1997. https://doi.org/10.1097/00005053-199710000-00011
  28. E. S. Kubany, S. N. Haynes, F. R. Abueg, F. P. Manke, J. M. Brennan, and C. Stahura,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the Trauma-Related Guilt Inventory(TRGI)," Psychological Assessment, Vol.8, No.4, pp.425-437, 1996.
  29. B. M. Houskamp and D. W. Foy, "The assessment of posttraumatic stress disorder in battered women," Journal of Interpersonal Violence, Vol.6, No.3, pp.367-375, 1991. https://doi.org/10.1177/088626091006003008
  30. A. Kemp, B. L. Green, C. Hovanitz, and E. I. Rawlings, "Incidence and correlates of posttraumatic stress disorder in battered women shelter and community samples," Journal of Interpersonal Violence, Vol.10, No.1, pp.43-55, 1995. https://doi.org/10.1177/088626095010001003
  31. 김인숙, (무용.동작) 심리치료의 이론과 실제, 이담Books, 2012.
  32. 류분순, 고경순, "무용동작치료가 식사장애 여성의 신체상에 미치는 영향," 임상예술, 제13호, pp.41-49, 2002.
  33. F. Kline, R. W. Burgoyne, and F. Staples, "A report on the use of movement therapy for chronic," The Art in psycho therapy, Vol.4, pp.59-71, 1977.
  34. 김홍자, 무용동작치료가 입원중인 정신분열증환자의 분노 및 분노표현, 우울, 불안, 양성과 음성증상에 미치는 영향, 원광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09.
  35. 김월녀, 무용동작치료가 알코올의존환자부인의 자아존중감 및 불안, 우울, 혈청 cortisol 농도에 미치는 효과, 원광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08.
  36. 김연금, 이선규, 백기자, "치유예술로서의 춤이 여성노인의 뇌기능에 미치는 영향,"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제15권, 제5호, pp.2655-2661, 2014. https://doi.org/10.5762/KAIS.2014.15.5.2655
  37. 고명희, 가정폭력 피해여성들의 통합예술치료 프로그램에서의 치유경험, 제주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6.
  38. 정은희, 신체활동 중심의 치료레크리에이션 참여가 가정폭력 피해여성의 자아존중감 및 사회성에 미치는 영향,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3.
  39. 류분순, 무용동작 심리치료가 성폭력 피해 청소년의 외상후 스트레스, 뇌파 및 자아 정체감에 미치는 효과, 홍익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09.
  40. 박철옥, 안현의, "복합외상경험자의 자기의 회복과정," 상담학연구, 제17권, 제6호, pp.63-85, 2016.
  41. 김유순, 이재원, "외상 사건 생존자의 외상후 성장 촉진을 위한 해결중심상담전략 탐색," 해결중심학회지, 제3권, 제1호, pp.35-53, 2016.
  42. 이영호, 박지윤, "가정폭력 피해여성의 자아존중감과 자기효능감 향상에 여성주의 집단상담이 미치는 효과," 교류분석상담연구, 제4권, 제2호, pp.79-103, 20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