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Television Kitchen Culture: Space Production, Function, and Communication

텔레비전 부엌문화: 공간의 생산과 기능, 그리고 소통

  • Hahm, Hyun (Dept. of Broadcasting & Film, Chungwoon University)
  • 함현 (청운대학교 방송영화영상학과)
  • Received : 2018.01.15
  • Accepted : 2018.02.02
  • Published : 2018.02.28

Abstract

Space plays a very important role in the human residential environment. Space is where the direct experience of life and expansion of that experience are made out of simple residential space. In particular, kitchen space is where the importance of the living space is perceived and is becoming an everyday part of life through television programs. Thereby, kitchen space is where the culture of everyday life plays a role in communication based on the very important production and function of television culture. The kitchen is where various experiences emerge. It is a space where the phenomena of communicating through cooking, experiencing tastes, and communicating with family members is realized.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relationship between communication and production in the kitchen through analysis of "Yune Restaurant 1" on tvN channel.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 that the human kitchen space leads to expansion of various experiences in the process of various cultural discounts.

인간의 거주환경에 있어서 공간은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한다. 공간은 단순한 거주의 공간을 벗어나 삶의 직접적인 체험과 경험의 확장이 이루어지는 곳이다. 특히 생활공간의 중요성이 인식되는 부엌은 최근 텔레비전 프로그램을 통해서 일상성의 문화가 부각되고 있다. 그로인한 일상성의 공간을 대표하는 부엌은 매우 중요한 생산과 기능에 따른 소통의 역할을 강조하는 텔레비전 문화를 형성하고 있다. 부엌은 다양한 경험이 창발 하는 공간이다. 음식을 조리하고, 맛을 경험하고, 가족구성원간의 소통으로 이어지는 커뮤니케이션의 재매개 현상이 이루어지는 공간이다. 부엌의 수용적 공간의 특성은 음식을 통해서 공간의 소통을 이끌어내고 발전시키는 역할을 수행한다. 그러므로 본 연구에서는 tvN 의 <윤식당1>의 프로그램 텍스트 분석을 통해 부엌의 생산과 기능에 따른 소통의 관계를 분석하는데 목적을 갖고 있다. 본 연구의 분석 결과는 인간에게 있어서 부엌의 공간이 다양한 감각기관의 반응을 이끌어내고 문화적 할인의 격차를 최소화하는 과정에서 새로운 경험의 확대를 이끌어내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공간을 통해서 다양한 문화의 공존과 시간성이 내재되어 있는 안락함과 편안함을 제공하는 것으로 분석된다.

Keywords

References

  1. Schroer Markus, Raume, Orte, Grenzen, Eco-Livres Publishing Co, p.29, 2006.
  2. Bollnow Otto Friedrich, Mensch und Raum, Eco-Livres Publishing Co, p.20, 1963.
  3. Cho, Haeyoung.Jo, Hyunshin, "Change of Korean Kitchen Desigh in the Point of Feminist View", Korea Society of Basic and Art, Journal of Basic Design & Art, vol. 13, no. 1, 2012.
  4. Schroer Markus, Above the book, p.40, 2006
  5. Bollnow Otto Friedrich, Above the book, pp. 17-19, 1963.
  6. Cho, Haeyoung.Jo, Hyunshin, Above the paper, p.565, 2012.
  7. Yang, Woo-Chang.Park, Pyeong_Chun, "A Study on the environment change of Kitchen Design Classified by the Age of our Country", Design Science Research, p.50, 2003.
  8. Bollnow Otto Friedrich, Above the book, p.266, 1963
  9. Bollnow Otto Friedrich, Above the book, p24, 1963.
  10. Cho, Haeyoung.Jo, Hyunshin, Abobe the paper, p.467, 2012
  11. Schroer Markus, Above the book, p.84, 2006.
  12. Bachelard Gaston Poetry of Space, ,DongMunSun Publishing Co p.88, 1957.
  13. Tuan Yi-Fu, Space and Place, DaeYune Publishing Co, p.88, 199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