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 Study on the Records Management for the National Assembly Members

국회의원 기록관리 방안 연구

  • 김장환 (국회도서관 국회기록보존소)
  • Received : 2018.01.02
  • Accepted : 2018.01.14
  • Published : 2018.01.30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reality of the records management of the National Assembly members and suggest a desirable alternative. Until the Public Records Management Act was enacted in 1999, the level of the records management in the National Assembly was not beyond that of the document management in both the administration and the legislature. Rather, the National Assembly has maintained a records management tradition that systematically manages the minutes and bills since the Constitutional Assembly. After the Act was legislated in 2000, the National Assembly Records Management Regulation was enacted and enforced, and the Archives was established in the form of a subsidiary organ of the Secretariat of the National Assembly, even though its establishment is not obligatory. In addition, for the first time, an archivist was assigned as a records and archives researcher in Korea, whose role is to respond quickly in accordance with the records schedule of the National Assembly, making its service faster than that of the administration. However, the power of the records management of the National Assembly Archives at the time of the Secretariat of the National Assembly was greatly reduced, so the revision of the regulations in accordance with the revised Act in 2007 was not completed until 2011. In the case of the National Assembly, the direct influence of the executive branch was insignificant. As the National Assembly had little direct influence on the administration, it had little positive influence on records management innovation under Roh Moo-Hyun Administration. Even within the National Assembly, the records management observed by its members is insignificant both in practice and in theory. As the National Assembly members are excluded from the Act, there is no legal basis to enforce a records management method upon them. In this study, we analyze the records management problem of the National Assembly members, which mainly concerns the National Assembly records management plan established in the National Archives. Moreover, this study proposes three kinds of records management methods for the National Assembly members, namely, the legislation and revision of regulations, the records management consulting of the National Assembly members, and the transfer of the dataset of administrative information systems and websites.

본 연구의 목적은 국회의원 기록관리의 현실을 짚어보고 바람직한 대안을 제시하는 것이다. 1999년 "공공기관의 기록물관리에 관한 법률"이 제정되기 전까지 기록관리는 행정부나 입법부 모두 문서관리 수준을 벗어나지 못하고 있었다. 오히려 국회는 회의록과 의안문서를 체계적으로 관리하는 기록관리 전통이 제헌국회 이래 국회사무처를 중심으로 남아 있었다. 기록관리법이 제정된 후에도 적극 대응하여 기록관리 체제를 정비하기 시작했다. 2000년에 "국회기록물관리규칙"을 제정하여 시행하고, 영구기록물관리기관 설치가 의무사항이 아님에도 국회사무처의 보조기관 형태로 영구기록물관리기관을 설치하였다. 또한 국내에서 처음 기록연구직으로 전문요원을 배치하고, 국회기록물분류기준표도 행정부에 비해 빠르게 만들어 시행하는 등 선도적으로 대응하였다. 그러나 2007년 전부개정 법률에 따른 규칙 개정이 2011년에 이르러서야 완료될 정도로 국회사무처 시기 국회기록보존소의 기록관리 동력은 크게 떨어졌다. 국회의 경우 행정부의 직접적인 영향력이 미치지 않기 때문에 참여정부 당시 기록관리 혁신에 따른 긍정적인 영향도 거의 받지 못했다. 국회기록관리 영역 내에서도 국회의원 기록관리 분야는 실무적으로나 학술적으로 매우 미미한 상황이다. 국회의원은 기록관리법상 대상에서 아예 제외되어 있기 때문에 기록관리를 강제할 수 있는 법적 근거도 없다. 이에 본 글에서는 주로 국회기록보존소 내부에서 수립한 국회의원 기록관리 계획과 추진 현황을 중심으로 국회의원 기록관리의 문제점을 분석하였다. 그리고 원론적인 수준에서 향후 국회 영구기록물관리기관 역할을 수행하고 있는 국회기록보존소에서 추진해야 할 국회의원 기록관리 방안을 관련 법규 제정 개정, 국회의원실 기록관리 컨설팅 지원, 행정정보시스템 데이터세트 및 웹 기록물 이관 방안 마련 등 세 가지로 구분하여 제시하였다.

Keywords

References

  1. 국회도서관. 2010. 국회기록관리규칙 전부개정규칙안 제안 설명자료, 국회기록관리법제도관계철.
  2. 국회도서관. 2015. 국회기록관리시스템 중장기 발전방향(ISP) 수립 최종보고서.
  3. 국회도서관 국회기록보존소. 2014. 국회기록보존소 발전전략 로드맵.
  4. 국회도서관 국회기록보존소. 2016a. 국회 의정활동기록물 수집.관리 기본 정책(안). ( )기록물수집관계철.
  5. 국회도서관 국회기록보존소. 2016b. 제19대국회 의원기록물 수집 결과 보고. ( )기록물수집관계철.
  6. 국회도서관 국회기록보존소. 2016c. 국회의원 기록관리 기본계획(안). ( )기록물수집관계철.
  7. 국회도서관 국회기록보존소. 2016d. 국회의원 기록관리 매뉴얼.
  8. 국회도서관 국회기록보존소. 2017. 국회기록보존소 일반현황.
  9. 국회사무처. 2012. 국회 헌정자료 보존.관리시스템 개선 방안. 명지대학교 산학협력단.
  10. 국회운영위원회 수석전문위원실. 2011. 국회기록물관리규칙 전부개정규칙안. 제298회 국회(임시회) 법안심사소위원회 심사자료. 국회기록관리법제도관계철.
  11. 김남희. 2016. 알 권리와 국회의원 활동기록에 관한 연구, 숭실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논문.
  12. 김유승. 2011. 국회 영구기록물관리기관에 관한 연구: 국회기록물관리규칙을 중심으로. 한국기록관리학회지, 11(2), 95-119.
  13. 김유승, 김장환. 2013. 국회기록보존소 직제 및 직무에 관한 연구. 한국기록관리학회지, 13(1), 81-106. https://doi.org/10.14404/JKSARM.2013.13.1.081
  14. 김장환. 2015. 기관기능분석 방법론을 적용한 기록화 전략 사례 연구: 미국 의회 기록화 프로젝트를 중심으로. 기록학연구, 44, 5-49.
  15. 김장환. 2016. 국회기록관리 현황과 당면 과제. 2016년도 국회기록관리연구회.한국기록전문가협회 공동 세미나 자료집.
  16. 김장환, 이은별. 2015. 국회기록정보 통합관리시스템 개발 방향에 관한 연구. 한국기록관리학회지, 15(2), 103-106. https://doi.org/10.14404/JKSARM.2015.15.2.103
  17. 왕호성, 설문원. 2017. 행정정보 데이터세트 기록의 관리방안. 한국기록관리학회지, 17(3). 23-47. https://doi.org/10.14404/JKSARM.2017.17.3.023
  18. 이민섭. 2015. 5. 국회의원 기록, 대한민국 국회의 역사로 남기자. 월간 헌정, 395, 110-111.
  19. 이승일. 2008. 기록물관리법의 제정과 국회기록관리체제의 개편(1999-2008). 기록학연구, 18, 37-89.
  20. 이승휘. 2010. 8. 24. 국회기록보존소의 역할과 위상 확립. 제1회 국회기록보존소 발전전략 세미나 자료집, 19-26.
  21. 이원영. 2004. 의회기록의 특질과 종류. 기록학연구, 9, 110-142.
  22. 장주영. 2016. 국회의원 개인기록의 기록화 전략: A 의원의 개인 전자기록을 중심으로, 경북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23. 한은정, 임진희. 2009. 국회의원 활동기록의 특성과 관리방향. 기록학연구, 21, 117-167.
  24. 현희. 2017. 국회의원 입법 활동 기록과 활용방안. 한국외국어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25. 황길례. 2010. 우리나라 국회의원 개인기록 수집정책에 관한 연구. 경북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26. 영국 의회 홈페이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