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The Current Status Regarding the Use of Music for Bereavement Care and the Program Coordinators' Perception in Hospice and Palliative Settings in South Korea

국내 호스피스·완화의료 기관 내 사별돌봄을 위한 음악 활용 현황 및 프로그램 코디네이터의 인식

  • 김지수 (이화뮤직웰니스연구센터) ;
  • 이진형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음악치료학과)
  • Received : 2018.07.31
  • Accepted : 2018.11.15
  • Published : 2018.11.28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current status and the perception of hospice and palliative care program coordinators regarding the use of music in bereavement care in Korea. Both on-line and off-line questionnaires were distributed to program coordinators in 91 institutions, and 54 responses were analyzed by descriptive statistics and Mann-Whitney U test. Even though 92.6% of the participants currently provide a form of bereavement care and 51.9% utilize music as a part of their bereavement program, only 20.3% indicated that their bereavement programs were adequate to address the issues involved, suggesting a need for improvement. As the perceived necessity of bereavement care(4.52) and music therapy based bereavement care(4.20) were generally high, this study supports the need for further development of both forms of bereavement care in Korea.

본 연구는 국내 호스피스 완화의료 기관 내 사별돌봄을 위한 음악 활용 현황 및 음악 활용에 대한 프로그램 코디네이터의 인식을 조사하여 향후 적용될 음악치료 사별돌봄 프로그램에 대한 구체적 자료를 제시하고자 한다. 본 연구에서는 국내 호스피스 완화의료 기관 중 보건복지부가 지정한 호스피스 완화의료 전문기관 및 시범사업 중인 요양병원 91곳을 대상으로 온 오프라인 설문조사를 진행하였다. 설문조사는 2016년 10월부터 약 한달 간 진행되었으며, 수집된 54부의 자료는 SPSS 기술통계 및 Mann-Whitney U 검정을 통해 분석되었다. 연구 결과 전체 기관 중 92.6%에서 사별돌봄 프로그램을 운영하며, 51.9%는 음악을 활용하고 있었다. 이중 현재 운영 중인 프로그램이 사별돌봄의 필요를 충족하고 있다고 보고한 경우는 단 20.3%에 불과하나 사별돌봄 프로그램 필요성(4.52점)과 사별돌봄 음악치료 프로그램 필요성(4.20점)에 대해서는 모두 높게 인식하고 있어 현 프로그램에 대한 개선이 요구됨을 알 수 있다.

Keywords

표 1. 연구대상자 특성

CCTHCV_2018_v18n11_258_t0001.png 이미지

표 2. 사별돌봄 프로그램 시행 여부

CCTHCV_2018_v18n11_258_t0002.png 이미지

표 3. 사별돌봄 프로그램 현황

CCTHCV_2018_v18n11_258_t0003.png 이미지

표 4. 사별돌봄 프로그램 내 음악활용 형태

CCTHCV_2018_v18n11_258_t0004.png 이미지

표 5. 사별돌봄 프로그램의 충족 여부

CCTHCV_2018_v18n11_258_t0005.png 이미지

표 6. 사별돌봄 프로그램의 활성화 조건

CCTHCV_2018_v18n11_258_t0006.png 이미지

표 7. 사별돌봄 프로그램 필요성 인식

CCTHCV_2018_v18n11_258_t0007.png 이미지

표 8. 치료적 접근 여부에 따른 사별돌봄 프로그램 및 사별돌봄 음악치료 프로그램 필요성 인식 차이

CCTHCV_2018_v18n11_258_t0008.png 이미지

표 9. 사별돌봄 음악치료 프로그램 고려점

CCTHCV_2018_v18n11_258_t0009.png 이미지

표 10. 사별돌봄 음악치료 프로그램 중재자 자격 요건

CCTHCV_2018_v18n11_258_t0010.png 이미지

References

  1. 보건복지부, 국립암센터, 말기암환자 완화의료전문기관 서비스 제공 안내, 2015.
  2. 보건복지부, 국립암센터, 2016 호스피스완화의료 현황, 2018.
  3. 노유자, 안영란, "국내 호스피스 기관의 사별 관리 실태," 한국호스피스완화의료학회지, 제3권, 제2호, pp. 126-135, 2000.
  4. D. Field, D. Reid, S. Payne, and M. Relf, “Survey of UK hospice and specialist palliative care adult bereavement services,” International Journal of Palliative Nursing, Vol. 10, No. 12, pp. 569-576, 2004. https://doi.org/10.12968/ijpn.2004.10.12.17280
  5. R. Newson, P. Boelen, K. Hek, A. Hofman, and H. Tiemeier, “The prevalence and characteristics of complicated grief in older adults,” Journal of Affective Disorders, Vol. 132, No. 1-2, pp. 231-238, 2011. https://doi.org/10.1016/j.jad.2011.02.021
  6. H. Prigerson, P. Maciejewski, C. Reynolds, A. Bierhals, J. Newsom, A. Fasiczka, E. Frank, J. Doman, and M. Miller, “Inventory of complicated grief : a scale to measure maladaptive symptoms of loss,” Psychiatry Research, Vol. 59, No. 1-2, pp. 65-79, 1995. https://doi.org/10.1016/0165-1781(95)02757-2
  7. H. Prigerson, M. Horowitz, S. Jacobs, C. Parkes, M. Aslan, K. Goodkin, B. Raphael, S. Marwit, C. Wortman, R. Neimeyer, G. Bonanno, S. Block, D. Kissane, P. Boelen, A. Maercker, B. Litz, J. Johnson, M. First, and P. Maciejewski, “Prolonged grief disorder : psychometric validation of criteria proposed for DSM-V and ICD-11,” PLOS Medicine, Vol. 6, No. 8, pp. 1-12, 2009. https://doi.org/10.1371/journal.pmed.0060001
  8. G. Bonanno, Y. Neria, A. Mancini, K. Coifman, B. Litz, and B. Insel, “Is there more to complicated grief than depression and posttraumatic stress disorder? A test of incremental validity,” Journal of Abnormal Psychology, Vol. 116, No. 2, pp. 342-351, 2007. https://doi.org/10.1037/0021-843X.116.2.342
  9. C. Ott, “The impact of complicated grief on mental and physical health at various points in the bereavement process,” Death Studies, Vol. 27, No. 3, pp. 249-272, 2003. https://doi.org/10.1080/07481180302887
  10. J. Currier, R. Neimeyer, and J. Berman, “The effectiveness of psychotherapeutic interventions for bereaved persons : a comprehensive quantitative review,” Psychological Bulletin, Vol. 134, No. 5, pp. 648-661, 2008. https://doi.org/10.1037/0033-2909.134.5.648
  11. J. Currier, J. Holland, and R. Neimeyer, “Do CBT-based interventions alleviate distress following bereavement? A review of the current evidence,” International Journal of Cognitive Therapy, Vol. 3, No. 1, pp. 77-93, 2010. https://doi.org/10.1521/ijct.2010.3.1.77
  12. L. Bradley, P. Whiting, B. Hendricks, G. Parr, and E. Jones, “The use of expressive techniques in counseling,” Journal of Creativity in Mental Health, Vol. 3, No. 1, pp. 44-59, 2008. https://doi.org/10.1080/15401380802023605
  13. C. O’Callaghan, F. McDermott, P. Hudson, and R. Zalcberg, “Sound continuing bonds with the deceased : The relevance of music, including preloss music therapy, for eight bereaved caregivers,” Death Studies, Vol. 37, No. 2, pp. 101-125, 2013. https://doi.org/10.1080/07481187.2011.617488
  14. Y. Iliya, “Music therapy as grief therapy for adults with mental illness and complicated grief : a pilot study,” Death Studies, Vol. 39, No. 3, pp. 173-184, 2015. https://doi.org/10.1080/07481187.2014.946623
  15. 정지연, 황은영, "호스피스 의료 환경에서 수행되는 음악치료 현황과 관련 의료인의 인식 조사 연구," 예술심리치료연구, 제12권, 제1호, pp. 271-291, 2016.
  16. 김은정, 최윤선, 김원철, 김경숙, "2014년 보건복지부 지정 54개 호스피스.완화의료 기관 내 음악 치료 현황," 인간행동과 음악연구, 제13권, 제1호, pp. 19-40, 2016. https://doi.org/10.21187/JMHB.2016.13.1.019
  17. 이영숙, "한국 호스피스.완화의료 사회복지의 과거, 현재 그리고 미래 전략," 한국호스피스완화의료학회지, 제16권, 제2호, pp. 65-73, 2013. https://doi.org/10.14475/kjhpc.2013.16.2.065
  18. 오진탁, "우리 사회에 죽음이해가 크게 부족하다," 한국호스피스완화의료학회지, 제14권, 제3호, pp. 131-137, 2011.
  19. 차유림, "사별 가족 연구 동향 분석 : 1994년부터 2013년 상반기까지," 한국호스피스완화의료학회지, 제17권, 제3호, pp. 134-141, 2014. https://doi.org/10.14475/kjhpc.2014.17.3.13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