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Space Transition and Construction Characteristics of Mugiyeondang in Chirwon

칠원 무기연당의 공간 변천과 조영 특성

  • 임한솔 (서울대학교 대학원 협동과정 조경학) ;
  • 한동수 (한양대학교 건축학부)
  • Received : 2017.12.15
  • Accepted : 2018.01.09
  • Published : 2018.02.28

Abstract

Mugiyeondang(舞沂蓮塘) is the garden that the provincial noble family in Yeongnam(嶺南) has constructed since the late Joseon period. Mugiyeondang is well known as a typical case of traditional garden in Joseon period. But it is also an exceptional case because of its informal layout that infers gradual space transition. This study aims to establish the historical story of the garden beyond the superficial description about existing spatial status and literature materials. Mugiyeondang had been constructed by seven generations of the family during two hundred years, and there were significant events at every transition points. The figure and name of elements reflects each historical change of the family. Mugiyeondang is an important case to notice that a garden was not just a subsidiary space for mere leisure life of the gentry of Joseon period, But it was an important for some families as their representative and symbolic space.

Keywords

References

  1. 周宰成, 菊潭集
  2. 周道復, 感恩齋逸稿
  3. 周相文, 風浴樓記
  4. 李尙靖, 滄浪亭遺稿
  5. 尙州周氏淵源譜編纂委員會, 尙州周氏淵源譜, 1983
  6. 尙州周氏大同宗親會由來譜編纂委員會, 尙州周氏由來譜, 1993
  7. 尙州周氏大同譜所, 尙州周氏大同譜, 2001
  8. 漆原縣乙酉式戶籍大帳, 1825
  9. 漆原縣乙卯式戶籍大帳, 1855
  10. 漆原縣甲子式戶籍大帳, 1864
  11. 漆原縣丙子式戶籍大帳, 1876
  12. 漆原縣乙卯式戶籍大帳, 1879
  13. 漆原縣辛卯式戶籍大帳, 1891
  14. 조선총독부, <慶尙南道咸安郡 漆原面舞沂里原圖>, 1914, 국가기록원 소장
  15. 조선총독부, <慶尙南道咸安郡 漆西面武陵里原圖>, 1914, 국가기록원 소장
  16. 瀟灑園事實
  17. 강희안(이종묵 역해), 양화소록, 아카넷, 2012
  18. 허전(한국고전의례연구회 역), 국역 사의, 보고사, 2006
  19. 강영환, 한국의 건축문화재 7 경남편, 기문당, 1999
  20. 김지산, <英宗大王國恤服喪圖> 硏究, 서울대학교고고미술사학과 석사학위논문, 2009
  21. 미야지마 히로시(노영구 역), 양반, 너머북스, 2014.
  22. 박명덕, 한국 동족마을의 연구를 위한 서언, 민족건축미학연구 제2호, 1992
  23. 사공영보, 亭子立地의 特性에 關한 硏究-咸安과 涵養地方을 中心으로, 한양대학교 환경과학대학원 조경학전공 석사학위논문, 1992
  24. 염정섭, 15-16세기 수전농법의 전개, 한국사론 31, 서울대학교 인문대학 국사학과, 1994.
  25. 이현우, 16-18세기 누정 문화경관의 의미론적 해석, 전북대학교 조경학과 박사학위논문, 2011
  26. 정재훈, 한국전통조경, 조경, 2005
  27. 정진영, 조선시대 향촌사회사, 한길사, 1998
  28. 정진영, 영남의 유교문화와 동성(同姓)마을, 한국건축역사학회 추계학술발표대회 논문집, 한국건축역사학회, 2010
  29. 주남철, 한국의 정원, 고려대학교 출판부, 2009
  30. 한국정신문화연구원, 慶尙南道의 鄕土文化 下, 1999
  31. 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민족문화대백과
  32. 향토사연구소, 國譯 漆原邑誌, 함안문화원, 199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