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 study on Facade Design Components of Unused Industrial Facilities Based on Application Methods for Revitalization Design - Concentrated on Exhibition Space in China -

재생디자인 활용방법을 바탕으로 한 유휴 산업시설의 파사드 디자인 구성요소에 관한 연구 - 중국 전시공간을 중심으로 -

  • 비리카이 (부산대학교 실내환경디자인학과) ;
  • 김동식 (부산대학교 실내환경디자인학과 및 노인생활환경연구소)
  • Received : 2017.12.31
  • Accepted : 2018.02.22
  • Published : 2018.02.28

Abstract

Due to the paradigm shift of the industrial structure in the contemporary china society, the usage of practical function of industrial facilities goes down in this high developing society, so that it falls into some unused spaces. But the unused industrial facilities that including historical, symbolic and cultural meaning has been creating a new cultural space by giving architectural form and function through a variety of application methods for revitalization design. Especially, the facade design which fully expresses the function and meaning of building while properly expressing the cultural situation. It improves the living and cultural conditions of residents while giving the new symbolism of unused industrial facilities through various ways of application methods for revitalization. The unused industrial facilities that was reconstructed into the exhibition space in Beijing and Shanghai, china since 2006 is the object and scope of this study.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methods and characteristics of application methods for revitalization according to each component of the facade design in the idle industrial facility and to expect it to become basic data in the future design plan of unused industrial facilities.

Keywords

References

  1. 김정후, 발전소는 어떻게 미술관이 되었는가: 유럽 산업유산 재생 프로젝트 탐구, 초판, 돌베개, 파주, 2013
  2. 김성진, 유휴자원의 관광 활용을 촉진하기 위한 정책추진방안, 한국문화관광연구원, 서울, 2013
  3. 명은정, 정아영, 이정교, 공간디자인을 위한 COORDINATION & PRODUCT, 초판, 월간 INTERNI & DECOR 출판부, 서울, 2017
  4. Rob Krier, Elements of Architecture, 1st ed., Academy Editions, London, 1984
  5. 김민백, 건물의 기능 유형에 따른 유휴 공간의 활용 특성에 관한 연구, 건국대 석사논문, 2017
  6. 김새록, 전시공간의 인터랙션 디자인 특성 연구, 영남대 석사논문, 2015
  7. 김지형, 파사드 디자인과 시.지각 커뮤니케이션의 관계성에 관한 연구, 경원대 석사논문, 2010
  8. 김현정, 유휴시설을 활용한 전시공간 재생디자인 특성에 관한 사례 연구, 한양대 석사논문, 2017
  9. 김현주, 도시재생 맥락에서의 유휴 산업시설 재활용 계획 방법 연구, 연세대 박사논문, 2013
  10. 박종범, 정동배재학당 부지활용 계획에 관한 연구, 건국대 석사논문, 2005
  11. 오연순, 가로변 건축물의 파사드 구성유형에 관한 연구, 부경대석사논문, 2009
  12. 윤승준, 근대건축물의 재상용에 따른 보존과 재생의 방법 및 기준, 연세대 석사논문, 2000
  13. 이다운, 근대산업유산을 활용한 예술 창작공간의 프로그램 특성 및 디자인 방법에 관한 연구, 건국대 석사논문, 2011
  14. 이한규, 현대 전시시설 건축물의 파사드 표현 특성 및 기법에 관한 연구, 경북대 석사논문, 2005
  15. 정경애, 상업 건축물의 입면과 간판과의 관계 분석에 관한 연구, 연세대 석사논문, 2002
  16. 김인호, 윤재은, 유휴 산업시설을 활용한 국내 전시관의 재생사례 연구, 한국공간디자인학회논문집, 제11권, 3호, 통권 39호, 2016.6
  17. 김현주, 이상호, 문화공간 조성 사례에 나타나는 유휴 산업시설의 재활용 계획 방법 연구, 대한건축학회 논문집 계획계, 제29권, 제6호, 통권 296호, 2013.6
  18. 박미라, 김문덕, 유휴산업시설 재생을 통한 상하이 창의공간에 나타난 디자인 표현 특성, 한국실내디자인학회논문집, 제23권, 6호, 통권 107호, 2014.12
  19. 서지영, 고성룡, 상업건축 파사드 디자인 결정요소의 유형적 분석 연구, 대한건축학회연합논문집, 제13권, 3호, 통권 47호, 2011.9
  20. 조연주, 신경주, 재생 유휴산업시설의 플레이스 브랜딩 방법 분석, 한국실내디자인학위논문집, 제24권, 1호, 통권 108호, 2015.2
  21. Ding Li, Su Siqi, Elementary Research on Exhibition Space in the Study of Old Industrial Plant Rebuilding in Beijing, Chinese and Overseas Architecture, 2015.7
  22. [Naver 지식백과], 유휴 산업시설 용어해설
  23. http://www.archdaily.cn
  24. http://www.ikuku.cn
  25. http://www.gooood.hk