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 Study on the Major Characteristics of the Revised ISO 15489 in 2016

ISO 15489 개정판의 주요 특징에 관한 연구

  • 이정은 (전북대학교 일반대학원 기록관리학과) ;
  • 윤은하 (전북대학교 일반대학원 기록관리학과)
  • Received : 2018.07.03
  • Accepted : 2018.07.18
  • Published : 2018.07.30

Abstract

A new digital work environments, organizational changes, and system changes surrounding the records have changed the concept of records. ISO 15489, the international standard for records management established in 2001, has also been amended in 15 years to accommodate this. The study examines the characteristics of the revised ISO 15489, its elements and concept, in 2016. By comparing the old and new elements of ISO 15489 in detail, we intend to understand the nature of the revision and the basic framework of new standard.

기록을 둘러싼 업무환경의 변화, 조직의 변화, 시스템의 변화 등은 기록에 대한 개념을 변화시켰다. 2001년도에 제정된 기록관리 국제표준인 ISO 15489 역시 이에 조응하기 위해 15년 만에 개정을 이루었다. 본 연구는 2016년에 개정된 기록관리 국제표준인 ISO 15489를 통해 급변하는 디지털 혁명 속에서 기록을 바라보는 개념의 변화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ISO 15489의 개정 배경 및 개정 전 후의 조항을 검토하고, 확장된 기록의 개념을 살펴봄으로써 구체적으로 개정판이 추구하는 바를 알아보고자 한다.

Keywords

References

  1. 권도윤, 김희섭, 오삼균. 2009. 전자기록물 장기보존을 위한 마이그레이션 전략에 관한 연구. 한국기록관리학회지, 9(2), 19-40.
  2. 김도훈. 2014. 미국 전자증거개시 절차상 증거 검색 및 수집방법에 관한 연구: 기술자원 검토를 중심으로. 강원법학, 41, 217-252.
  3. 김명훈. 2009. 전자기록평가론. 서울:진리탐구
  4. 김명훈. 2017. 기록과 지식.정보: 기록의 지식,정보 자원화를 위한 시론적 분석. 기록학연구, 54, 45-79.
  5. 류가현, 김희섭. 2012. ISO 30300 원리와 ISO 30301 요구사항 분석. 한국기록관리학회지, 12(1), 95-115.
  6. 박태완. 2015. 전자기록의 정보보호 관리 전략. 기록인, 32, 30-33.
  7. 백지원. 2003. 기록관리 분야의 표준 및 표준화 활동 분석. 기록학연구, 7, 3-36.
  8. 안대진, 임진희. 2017. 제4차 산업혁명 기술의 기록관리 적용 방안. 기록학연구, 54, 211-248.
  9. 윤은하. 2016. 기록관리국제표준화 해외동향. 2016년 기록관리 표준, 거버넌스 포럼[자료집](2016.04.21. 대전 국가기록원).
  10. 이젬마. 2016. ISO 15489의 개정이 향후 기록관리에 미치틑 영향, 2016년 기록관리 표준.거버넌스 포럼[자료집](2016.04.21. 대전 국가기록원).
  11. 이광수. 2017. 정부산하공공기관에서의 ISO 15489-1:2016 적용. 충남대학교 대학원 기록관리학과 석사학위논문.
  12. 이승억. 2002. 전자환경에서의 기록관리 개념에 관한 재검토. 기록학연구, 6, 41-72.
  13. 이승억, 설문원. 2017. 전자기록관리정책의 재설계에 관한 연구. 기록학연구, 52, 5-37.
  14. 이지우. 2017. ISO15489 개정 분석을 통한 전자기록관리 제도 개선방안. 한국외국어대학교 대학원 정보기록학과 석사학위논문.
  15. 조성표. 2014. 무형자산과 유형자산이 기업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종단적 분석. 한국경영학회, 경영학연구, 43(6), 2039-2066.
  16. 최상미, 리상용. 2007. 현용전자기록물의 메타데이터 요소에 관한 연구. 한국기록관리학회지, 7(1), 39-60.
  17. 홍정화. 2007. ISO 15489 인증제도 도입에 관한 연구. 명지대학교 일반대학원 기록관리학과 석사학위논문.
  18. 한국국가기록연구원. 2006. 기록관리 국가표준의 체계적 확산방안 연구보고서. 국가기록원
  19. 한국기록학회. 2008. 기록학 용어 사전
  20. Barbara Reed. 2013. Revision of ISO 15489-Records Management, Recordkeeping Innovation pty Ltd, 2013,8.
  21. Barbara Reed. 2016. New ISO 15489 movess the goalposts much closer to format neutrality.
  22. https://www.iso.org/sites/ConsumersStandards/1_standards.html (2018.06.11. 인용).

Cited by

  1. 기록 평가에 관한 국제표준의 적용방안 분석: ISO 15489-1과 ISO/TR 21946을 중심으로 vol.19, pp.4, 2018, https://doi.org/10.14404/jksarm.2019.19.4.115
  2. 대학 정보자원의 디지털 연속성 보장을 위한 실행 방안 vol.21, pp.1, 2018, https://doi.org/10.14404/jksarm.2021.21.1.141
  3. 지식경영을 기반으로 하는 기록관리 통합 운영방안에 관한 연구 vol.21, pp.1, 2018, https://doi.org/10.14404/jksarm.2021.21.1.163
  4. 기록정보의 안전한 보호와 접근통제에 관한 인식과 과제 vol.38, pp.1, 2018, https://doi.org/10.3743/kosim.2021.38.1.19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