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nalysis of Competency-Based In-service Training Programs for Informatics Teachers

정보교사의 역량에 기반한 소프트웨어교육 교원 직무 연수과정 분석

  • 옥지현 (성균관대학교 교육교육학과 컴퓨터교육전공) ;
  • 안성진 (성균관대학교 컴퓨터교육학과)
  • Received : 2018.01.16
  • Accepted : 2018.01.28
  • Published : 2018.01.31

Abstract

The 2015 Revised National Curriculum emphasizes software education to develop creative and convergent talents in preparation of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Accordingly, it is necessary to develop competency-based training programs for informatics teachers in a rapidly changing educational environment. In this background, this study selects a framework to analyze the content of in-service training for informatics teachers through review of previous studies. By analyzing the current training programs to strengthen competencies required for informatics teachers in secondary schools, the study aims to develop implications for future in-service training programs. To this end, the study conducted a questionnaire survey of experts who participated in the development of in-service training textbooks and consulted them, then analyzed the elements of competency-based training program content and the relative importance of each competency element using the analytical hierarchy process (AHP). According to the results of the analysis, the content was relatively concentrated on the competency of "Understanding and Reconstructing the National Curriculum" required for general and informatics teachers as well, which accounted for 47% of all, or 7 hours out of the total 15 hours. In contrast, the content structure lacked the competency of highly relative importance by competency element "Establishing and Using Teaching-Learning Strategies for Informatics," which took up the highest portion of 27%. These findings will be used as basic data for understanding and reflecting the areas that fall short of the development of in-service training programs for informatics teachers.

4차 산업혁명시대를 대비한 창의 융합형 인재 양성을 위해 2015 개정 교육과정에서는 소프트웨어(SW) 교육을 강조하고 있다. 이에 따라 급변하는 교육환경에서 정보교사에게 요구되는 역량에 기반한 연수과정 개발이 필요하다. 이 연구에서는 선행연구를 통해 소프트웨어교육 담당교원의 직무연수 내용분석을 위한 분석 틀을 선정하고, 현재 소프트웨어교육 담당교원의 역량 강화 연수과정 내용을 중등 정보교사에게 요구되는 역량을 기반으로 분석하여, 시사점을 도출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직무연수 교재 개발에 참여한 현장 전문가들을 대상으로 설문 및 협의를 거쳐 역량에 기반한 연수과정 내용요소와 계층적(AHP) 기법으로 역량요소별 상대적 중요도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 일반 및 정보교사에게 요구되는 '국가교육과정의 이해 및 재구성'역량에 해당되는 내용이 전체(15시간) 중 47%(7시간)으로 상대적으로 많이 편중되어 있었으며, 정보교사에게 요구되는 역량요소별 상대적 중요도가 21%로 가장 높게 나타난 '정보 교수학습 전략 수립 및 활용 능력'에 대한 내용구성이 부족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소프트웨어교육 담당교원 연수과정 개발에 있어 부족한 부분에 대해 이해하고, 반영할 수 있는 기초자료로 활용될 것이다.

Keywords

References

  1. 이효은.홍승표 (2015). ICT통계조사 및 동향 분석 연구 결과, 2015 ICT Spot Issue. 정보통신기술진흥센터, 2015-08
  2. 교육부.미래부 (2015). SW중심사회를 위한 인재양성 추진계획.
  3. 교육부.미래부 (2016). 소프트웨어 교육 활성화 기본계획.
  4. 김혜숙.김현진.유신복.옥지현.류진선 (2015). 원격 교육연수원 직무연수 성과분석. 한국교육학술정보원 RR 2015-4.
  5. 나윤선.김도기.김갑성 (2010). 핀란드 교사 연수의 특성과 시사점. 초등교육연구, 23(1), 329-349.
  6. 백병부.박철희.원덕재.배정현 (2015). 경기도교육청 교원연수기관 혁신 방안. 경기도교육청.
  7. 교육부 (2016). 2017년도 교원 연수 중점 추진 방향.
  8. 박철희.최화숙.장인실 (2012). 경기도교육청의 교원연수체제 및 교원연수프로그램 모형 개발 연구.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12(4), 475-495.
  9. 홍후조.김대영.조호제.민부자.하화주.최영선 (2016). 2015 개정 교육과정의 총론과 교과연계 방안 연구 : 역량과 범교과 학습 주제를 중심으로. 교육부.
  10. 강신기.남영만 (2010). 경상남도 중등 수학교사 연수의 실태 분석 및 개선방안. 동아시아수학학술지, 26(2), 301-317.
  11. 이환철.장미숙 (2012). 수학교육 관련 교사 연수 현황 분석을 통한 정책 방안 모색. 한국학교수학회논문집, 15(1), 171-182.
  12. 권나영.이은정.박미미.박진형 (2012). 수학 교사 전문성 개발을 위한 고찰: 국외수학 교사 전문성 개발 프로그램 사례를 바탕으로. 수학교육학연구, 22(3), 387-400.
  13. 이경화.나귀수.권나영.김동원.이환철.이동환.고은성.박민선.박미미.이은정.조진우.박진형 (2012). 한국형 수학 교사 전문성 개발 체제(PDS) 모델 구축을 위한 기초 연구. 수학교육학연구, 22(4), 581-602.
  14. 주미경.문종은.박모라 (2013). 중등 교사의 융복합교육 연수 만족도 및 요구 조사. 교과교육학연구, 27(2), 521-547.
  15. 최지선 (2013). 선택형 평가 문항 제작 전문성 향상 연수 프로그램 효과 제고에 대한 사례 연구. 수학교육학연구, 23(2), 193-212.
  16. 권오남 (2014). 수학교사 연수 프로그램 개발. 한국과학창의재단 2014_R8.
  17. 교육부.한국교육학술정보원 (2017). 소프트웨어(SW)교육 중등 교원 일반연수 교재. 한국교육학술정보원 TM 2017-47.
  18. 교육부.한국교육학술정보원 (2017). 소프트웨어(SW)교육 선도교원 연수교재 초등. 한국교육학술정보원 TM 2017-38.
  19. 교육부.한국교육학술정보원 (2017). 소프트웨어(SW)교육 선도교원 연수교재 중등. 한국교육학술정보원 TM 2017-39.
  20. 고영민.김대영.김한일 (2016). 중등 정보교사의 역량모델 개발. 컴퓨터교육학회논문지, 19(4), 33-43.
  21. 강선영 (2003). 서울대학교 교양음약교육의 현황과 특성에 관한 연구, 석사학위 논문. 서울대학교대학원.
  22. 김은영.김현진 (2015). 교원 역량 중심의 원격연수 교육과정 운영 실태 분석. 교육과정평가연구, 18(1), 113-134.
  23. 고길곤.이경전(2001). AHP에서의 응답일관성 모수의 통계적 특성과 활용 방안. 한국경영과학회지, 26(4), 71-82.
  24. 임종현 (2017). NCS기반 고교 직업교육과정에서 전문교과 교사의 마이크로프로세서 교수역량모델 개발. 박사학위 논문. 한양대학교.
  25. 조우연 (2012). 교사발달단계에 따른 중등교사 연수교육과정 구성. 박사학위 논문, 인천대학교.
  26. 최규리 (2012). 창의.인성 중심의 과학영재교육 방안 마련을 위한 델파이 조사. 영재교육연구, 22(2), 387-410. https://doi.org/10.9722/JGTE.2012.22.2.387
  27. Saaty, T. L. (1980). The Analytic Hierarchy Process. New York: McGraw-Hill
  28. Lawshe, C. H.(1975). A quantitative approach to content validity, Personnel Psychology, 28, 563-575. https://doi.org/10.1111/j.1744-6570.1975.tb01393.x
  29. Dajani, J. S., Sincoff, M. Z., & Talley, W. K. (1979). Stability and agreement criteria for the termination of Delphi studies. Technological forecasting and social change, 13(1) , 83-90. https://doi.org/10.1016/0040-1625(79)90007-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