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ferences
- 강남화, 박윤배 (2010). 미국의 중학교 과학수업에서 학생들의 흥미와 창의성을 높이는 수업요소. 과학교육연구지, 34(2), 421-431.
- 김우주 (2015). 네트워크 중심성이론-Gephi & R을 사용한 네트워크 빅데이터 분석-. 파주: 카오스북.
- 김현정, 여상인 (2010). 초등 과학 수업의 실제에 대한 교사와 학생의 인식. 초등과학교육, 29(4), 451-464.
- 박두찬, 송진웅 (2009). 학생들은 어떤 과학수업에 호응 하는가?: 학교 과학에 대한 중고등학생들의 가치 인식과 호응 양상.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9(6), 593-610.
- 박준형, 나지연, 정용재, 송진웅 (2015). 초등학생들이 생각하는 과학수업의 특징: 과학수업 문화 분석틀 개발을 위한 기초 연구. 한국과학교육학회지, 35(3), 499-508. https://doi.org/10.14697/jkase.2015.35.3.0499
- 박한우, 김성우, 김은아, 노광택, 박지원, 이미경, 장아름, 최성철, 한대탁, 홍영일, 황은송 (2015). 노드엑셀(NodeXL) 따라잡기-초보자도 쉽게 배울 수 있는 네트워크 분석 도구-. 서울: 패러다임북.
- 성승민, 여상인 (2016). 과학 교사 전문성 관련 국내 연구 동향 분석. 교육논총, 36(1), 49-67.
- 성승민, 여상인 (2017). 초등교사의 과학수업에 대한 기대도와 실행도에 관한 학생의 인식. 초등과학교육, 36(3), 246-255.
- 성승민, 이규호, 여상인. (2016). '화석 모형 만들기' 탐구 활동에 대한 초등교사의 인식 분석-6차, 7차, 2007 개정, 2009 개정 초등과학 교과서를 중심으로-. 초등과학교육, 35(2), 229-242.
- 여상인, 성승민 (2013). 개인 변인에 따른 초등교사의 초등과학수업 실행전문성 분석. 초등과학교육, 32(4), 535-544.
- 유희, 최선형 (2014). 직장인의 외모관리 전략에 따른 외모관리 성과. 한국디자인포럼, 42, 405-416.
- 이준기, 하민수 (2012). 언어 네트워크 분석법을 통한 중학교 과학영재들의 사실, 가설, 이론, 법칙과 과학적인 것의 의미에 대한 인식 조사. 한국과학교육학회지, 32(5), 823-840. https://doi.org/10.14697/jkase.2012.32.5.823
- 이혜준, 이동일, 이주현 (2010). 의미네트워크 분석을 통한 프랜차이즈 교육 프로그램 개발. 경영교육연구, 14(2), 105-128.
- 장지은, 성승민, 여상인 (2014). 초등과학교사연구회 활동이 교사 전문성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교사의 인식. 과학교육연구지, 38(3), 585-598.
- 정용재, 장명덕, 김한제 (2011). 과학 실험을 왜 할까?: 초등과학 영재아들이 생각하는 과학 실험의 목적. 초등과학교육, 30(2), 189-203.
- 주형주, 이지애, 김영민 (2012). 과학 교실 수업 환경에 대한 교사와 학생의 인식 차이. 교사교육연구, 51(3), 410-422.
- 한관종 (2003). 사회과학 방법론으로서의 연결망 분석기법 적용의 의의와 연구과제-의미와 연결망 분석(semantic network analysis)을 중심으로. 사회과교육연구, 10(2), 219-235.
- Davis, E. A., Petish, D. & Smithey, J. (2006). Challenges new science teachers face. Review of Educational Research, 76(4), 607-651. https://doi.org/10.3102/00346543076004607
- Hart, C., Mulhall, P., Berry, A., Loughran, J. & Gunstone, R. (2000). What is the purpose of this experiment? Or can students learn something from doing experiments?. Journal of Research in Science Teaching, 37(7), 655-675. https://doi.org/10.1002/1098-2736(200009)37:7<655::AID-TEA3>3.0.CO;2-E
- Kaiser, S. (1997). The social psychology of clothing: Symbolic appearances in context. NY: Fairchild.
- Kriewaldt, J. A. (2015). Strengthening learners' perspectives in professional standards to restore relationality as central to teaching. Australian Journal of Teacher Education (Online), 40(8), 83-98.
- Kwon, Y. H. & Farber, A. (1992). Attitudes toward appropriate clothing in perception of occupational attributes. Perceptual and Motor Skills, 74(1), 163-168. https://doi.org/10.2466/pms.1992.74.1.163
- Magnusson, S., Krajcik, J. & Borko, H. (1999). Nature, sources, and development of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for science teaching. In examining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Springer Netherlands.
- Paranyushkin, D. (2011). Visualization of text's polysingularity using network analysis. Prototype Letters, 2(3), 256-278.
- Park, S. H. (2007). Teacher efficacy as an affective affiliate of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Science Education, 27(8), 743-754.
- Roberts, L. M. (2005). Changing faces: Professional image construction in diverse organizational settings. Academy of Management Review, 30(4), 685-711. https://doi.org/10.5465/AMR.2005.18378873
- Sergiovanni, T. J., Starratt, R. J. & Cho, V. (1993). Supervision: A redefinition. NY: McGraw-Hill.
- Shulman, L. S. (1986). Those who understand: Knowledge growth in teaching. Educational Researcher, 15(2), 4-14. https://doi.org/10.2307/1175860
- Wellington, J. J. (Ed.). (1998). Practical work in school science: Which way now? NY: Routledge.
- Wenglinsky, H. (2000). How teaching matters: Bringing the classroom back into discussions of teacher quality. Princeton, NJ: Educational Testing Servic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