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한국어판 다차원적 체험회피 질문지의 신뢰도 및 타당도 연구

A Study on the Reliability and Validity of a Korean translated Multidimensional Experiential Avoidance Questionnaire

  • 정지현 (서울불교대학원대학교 상담심리학과)
  • 투고 : 2017.11.03
  • 심사 : 2017.11.28
  • 발행 : 2018.01.28

초록

본 연구는 $G{\acute{a}}mez$, Chmielewski, Kotov, Ruggero와 Watson이 개발한 다차원적 체험회피 질문지를 한국어로 번안하여 신뢰도 및 타당도를 검증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대학생 285명을 대상으로 다차원적 체험회피 질문지를 실시하여 탐색적 요인분석을 실시한 결과, 6개 요인, 50문항이 확인되었다. 50문항 전체의 내적 합치도 계수는 .91이었다. 대학생 315명에게 다차원적 체험회피 질문지를 실시하여 확인적 요인분석을 실시한 결과, 6개 요인이 적합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 중 275명에게 수용 행동 질문지II, 사고억제 질문지, Toronto 감정표현 불능증 척도, 신경증, 회피적 대처, 한국판 CES-D, 한국판 Beck 불안 척도, 한국판 심리적 안녕감 척도, 삶의 만족도 척도를 함께 실시하여 다차원적 체험회피와의 상관을 살펴본 결과, 다차원적 체험회피 질문지는 수렴, 변별, 준거타당도를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translate and examine the reliability and validity of Multidimensional Experiential Avoidance Questionnaire (MEAQ) developed by $G{\acute{a}}mez$, Chmielewski, Kotov, Ruggero, and Watson. 285 college students completed the MEAQ. Exploratory factor analysis supported the six factor structure of the 50 items. Internal consistency of 50 items was .91. 315 college students completed the MEAQ.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confirmed six factor structure of 50 items. 275 students of them completed also Acceptance-Action Questionnaire II, White Bear Suppression Inventory, Toronto Alexithymia Scale, Neuroticism, avoidant coping, CES-D, Beck Anxiety Inventory, Psychological Well-Being Scale, Satisfaction with Life Scale. Correlations between MEAQ and these scales supported the convergent, discriminant, and criterion-related validity.

키워드

참고문헌

  1. 문현미, 민병배, 마음에서 빠져나와 삶 속으로 들어가라, 학지사, 2010.
  2. S. C. Hayes, K. D. Strosahl, and K. G. Wilson, Acceptance and commitment therapy, Guilford Press, 1999.
  3. 이훈진, "수용이 심리적 증상, 자존감 및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인지행동치료, 제9권, 제1호 pp.1-23, 2009.
  4. J. L Boulanger, S. C. Hayes, and J. Pistorello, Experiential avoidance as a functional contextual concept, In A. M. Kring, and D. M. Sloan(Eds.), Emotion regulation and psychopathology: A transdiagnostic approach to etiology and treatment, pp.107-136, Guilford Press, 2010.
  5. 문현미, "인지행동치료의 제3동향,"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제17권, 제1호, pp.15-33, 2005.
  6. S. C. Hayes, K. D. Strosahl, K. G. Wilson, R. T. Bissett, J. Pistorello, D. Toarmino, M. A. Polusny, T. A. Dykstra, S. V. Batten, J. Bergan, S. H. Stewart, M. J. Zvolensky, G. H, Eifert, F. W. Bond, J. P. Forsyth, M. Karekla, and S. M. Mccurry, "Measuring experiential avoidance: A preliminary test of a working model," The Psychological Record, Vol.54, No.4, pp.553-578, 2004. https://doi.org/10.1007/BF03395492
  7. M. J. Zvolensky and J. P. Forsyth, "Anxiety sensitivity dimensions in the prediction of body vigilance and emotional avoidance," Cognitive Therapy and Research, Vol.26, No.4, pp.449-460, 2002. https://doi.org/10.1023/A:1016223716132
  8. F. W. Bond, S. C. Hayes, R. A. Baer, K. M. Carpenter, N. Guenole, H. K. Orcutt, T. Waltz, and R. D. Zettle, "Preliminary psychometric properties of the Acceptance and Action Questionnaire-II: A revised measure of psychological inflexibility and experiential avoidance," Behavior Therapy, Vol.42, No.4, pp.676-688, 2011. https://doi.org/10.1016/j.beth.2011.03.007
  9. N. Chawla and B. Ostafin, "Experiential avoidance as a functional dimensional approach to psychopathology: An empirical review," Journal of Clinical Psychology, Vol.63, No.9, pp.871-890, 2007. https://doi.org/10.1002/jclp.20400
  10. W. Gamez, M. Chmielewski, R. Kotov, C. Ruggero, and D. Watson, "Development of a measure of experiential avoidance: The Multidimensional Experiential Avoidance Questionnaire," Psychological Assessment, Vol.23, No.3, pp.692-713, 2011. https://doi.org/10.1037/a0023242
  11. 오아름, 대학생의 상위인지적 정서신념과 불안의 관계에서 다차원적 경험회피의 매개효과, 한양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7.
  12. 송진옥, 대학생의 불안정 애착과 사회공포증 경향성의 관계에서 다차원적 경험회피의 매개효과, 전남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7.
  13. 윤소리, 아동.청소년기 외상 경험이 있는 대학생의 외상 후 인지가 경계선 성격특성에 미치는 영향-다차원적 경험회피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명지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7
  14. 이소라, 외상 후 부정적 인지와 외상 후 성장의 관계에서 다차원적 경험회피의 매개효과, 동덕여대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6.
  15. 박모란, 유성은, "외상 경험이 있는 대학생들의 다차원적 경험회피와 외상 후 성장의 관계," 인지행동치료, 제14권, 제3호, pp.435-453, 2014.
  16. 문수백, 학위논문작성을 위한 연구방법의 실제, 학지사, 2003.
  17. 허재홍, 최명식, 진현정, "한국어판 수용-행동 질문지 II 신뢰도 및 타당도 연구,"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제21권, 제4호, pp.861-878, 2009.
  18. D. M. Wegner and S. Zanakos, "Chronic thought suppression," Journal of Personality, Vol.62, No.4, pp.615-640, 1994. https://doi.org/10.1111/j.1467-6494.1994.tb00311.x
  19. 이용승, 원호택, "통제 방략의 차이에 따른 침투사고 통제에 관한 연구," 한국심리학회지: 임상, Vol.19, No.4, pp.681-696, 1999.
  20. R. M. Bagby, J. D. A. Parker, and G. J. Taylor, "The twenty-item Toronto Alexithymia Scale-I. Item selection and cross-validation of the factor structure," Journal of Psychosomatic Research, Vol.38, No.1, pp.23-32, 1994. https://doi.org/10.1016/0022-3999(94)90005-1
  21. 이양현, 임효덕, 이종영, "한국판 20항목 Toronto 감정표현불능증 척도(TAS-20K)의 개발과 타당도," 신경정신의학, 제35권, 제4호, pp.888-899, 1996.
  22. 하승수, 권석만, "표현적 글쓰기가 특정 공포증상에 미치는 영향: 한국과 미국의 대학생 집단을 대상으로," 한국심리학회지: 임상, 제30권, 제2호, pp.359-380, 2011.
  23. 이지영, 진로미결정의 선행 변인과 결과 변인으로서의 직업탐색행동 및 구직성과, 서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4
  24. 전겸구, 최상진, 양병창, "통합적 한국판 CES-D의 개발," 한국심리학회지: 건강, 제6권, 제1호, pp.59-76, 2001.
  25. A. T. Beck, N. B. Epstein, G. Brown, and R. A. Steer, "An inventory for measuring clinical anxiety: Psychometric properties," Journal of Consulting and Clinical Psychology, Vol.56, No.6, pp.893-897, 1988. https://doi.org/10.1037/0022-006X.56.6.893
  26. S. K. Kwon, Differential roles of dysfunctional attitudes and automatic thoughts in depression: An integrated model of depression,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Queensland University, 1992.
  27. C. D. Ryff, "Happiness is everything, or is it? Explorations on the meaning of psychological well-being,"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Vol.57, No.6, pp.1069-1081, 1989. https://doi.org/10.1037/0022-3514.57.6.1069
  28. 김명소, 김혜원, 차경호, "심리적 안녕감의 구성개념분석: 한국 성인 남녀를 대상으로," 한국심리학회지: 사회 및 성격, 제15권, 제2호, pp.19-39, 2001.
  29. E. Diener, R. A. Emmons, R. J. Larsen, and S. Griff, "The Satisfaction With Life Scale," Journal of Personality Assessment, Vol.49, No.1, pp.71-75, 1985. https://doi.org/10.1207/s15327752jpa4901_13
  30. 조명한, 차경호, 삶의 질에 대한 국가 간 비교. 아산재단 연구총서, 집문당, 1998.
  31. H. F. Kaiser, "The application of electronic computers to factor analysis," Educational and Psychological Measurement, Vol.20, No.1, pp.141-151, 1960. https://doi.org/10.1177/001316446002000116
  32. A. B. Costello and J. W. Osborne, "Best practices in exploratory factor analysis: Four recommendations for getting the most from your analysis," Practical Assessment, Research & Evaluation, Vol.10, No.7, pp.1-9, 2005.
  33. 이주연, 유성은, "한국판 다차원적 경험회피 척도(K-MEAQ)의 타당화 및 단축형 (K-MEAQ-24) 개발," 인지행동치료, 제17권, 제2호, pp.181-208, 2017.
  34. 황희숙, 이영식, "정서표현 양가성이 주관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에서 심리적 유연성의 조절효과 연구,"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6권, 제3호, pp.335-345, 2016. https://doi.org/10.5392/JKCA.2016.16.03.335
  35. 신민섭, 박세란, 설순호, 황석현, 변증법적 행동치료, 시그마프레스, 200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