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Effect of Hotel Middle Manager's Communication on the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Organizational Culture : Moderating Effect of Organizational Commitment

호텔 중간관리자의 커뮤니케이션이 조직몰입과 조직문화에 미치는 영향 : 조직몰입의 조절효과 연구

  • 김연선 (원광보건대학교 호텔관광과) ;
  • 김건 (중부대학교 호텔경영학과)
  • Received : 2017.10.31
  • Accepted : 2017.12.22
  • Published : 2018.01.28

Abstract

This study for the hotel organization and Hotel Middle Manager's Communication .we studied the Effect of Hotel Middle Manager's Communication on the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the Moderating Effect of Organizational Commitment on Organizational Culture. finally, 80 copies of samples were used in empirical analysis. and SPSS 18.0 statistical package was used. The results of the hypothesis are as follows. First, The Verification result of hypothesis that the communication of hotel middle manager will shows a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effect on Organizational Commitment was partially supported. Second, The Verification result of hypothesis that the communication of hotel middle manager will shows a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effect on Organizational Culture was partially supported. Third, The Verification result of hypothesis that the organizational Commitment of hotel middle manager will shows a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effect on Organizational Culture was supported. Fourth, The Verification result of hypothesis that Organizational Commitment will have a significant moderating effec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communication and organizational culture of hotel middle manager.

본 연구는 호텔 조직과 호텔에 근무하는 중간관리자들의 커뮤니케이션에 관련한 연구이다. 중간관리자들의 커뮤니케이션이 조직몰입과 조직문화에 미치는 영향과 커뮤니케이션과 조직문화와의 관계에서 조직몰입이 조절효과가 있는지 연구하였다. 최종적으로 수집된 데이터는 80부였고, 가설 검증을 위한 통계분석은 SPSS 18.0을 사용하였다. 가설의 검증결과는 다음과 같다. 가설 1, 호텔 중간관리자의 커뮤니케이션은 조직몰입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칠 것이다. 라는 가설의 검증결과 부분적으로 유의하여 부분채택되었다. 가설 2, 호텔 중간관리자의 커뮤니케이션은 조직문화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칠 것이다. 라는 가설의 검증결과 부분적으로 유의하여 부분채택 되었다. 가설 3, 호텔 중간관리자의 조직몰입은 조직문화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칠 것이다. 라는 가설 검증결과 유의한 결과가 나타나 채택되었다. 가설 4, 호텔 중간관리자의 커뮤니케이션과 조직문화와의 관계에서 조직몰입은 유의한 조절효과가 있을 것이다. 라는 가설을 검증한 결과 조절효과는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Keywords

References

  1. 이유미, 상사의 커뮤니케이션 유형에 따른 부하직원의 조직몰입 차이분석, 고려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1.
  2. M. D. Crino and M. C. White, "Satisfaction in Communication," Psychological Report, Vol.49, pp.55-68, 1981. https://doi.org/10.2466/pr0.1981.49.1.55
  3. D. Lee-Ross and I. Pryce, Human Resources and Tourism: Skills, Culture, and Industry, Channel View Publications, Bristol, UK, 2010.
  4. 정연웅, 박주현, 김상진, "호텔의 조직문화, 기업 가정신, 상사의 리더십이 팔로워십과 조직유효성에 미치는 영향," 관광레저연구, 제26권, 제6호, pp.111-130, 2014.
  5. 이윤희, 이준혁, 정애영, "호텔기업의 조직문화, 인적자원관리가 서비스품질, 내부.외부고객만족 및 경영성과에 미치는 영향: 부산지역 특급호텔 직원 및 고객인식을 중심으로," 호텔경영학연구, 제25권, 제6호, pp.143-163, 2016.
  6. 조재근, 김수진, "호텔 직원의 커뮤니케이션 만족이 라포 및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 관광서비스연구, 제13권, 제1호, pp.19-39, 2015.
  7. 최해수, "호텔기업의 조직문화특성이 직무만족과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 개인 성격특성의 조절된 매개효과," 관광연구, 제30권, 제5호, pp.445-468, 2015.
  8. 안병진, "특급호텔 및 컨벤션센터 서비스 조직의 조직문화 유형이 팀워크 및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 유통경영학회지, 제16권, 제6호, pp.67-79, 2013.
  9. 최대우, 배병한, 박기석, "호텔기업의 경영자 리더십과 조직문화에 따른 BSC성과측정치의 활용도:수도권과 지역 특급호텔을 중심으로," 지역산업연구, 제35권, 제2호, pp.91-113, 2012.
  10. 이황우, 오규철, "환경적 맥락에서의 경찰 커뮤니케이션 만족이 집단응집성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한국경찰학회보, 제28권, pp.201-231, 2010.
  11. 정봉명, 박현지, "호텔기업의 조직문화, 조직몰입, 이직의도 간의 관계연구," 관광.레저연구, 제22권, 제6호, pp.289-304, 2010.
  12. 이재형, 이상경, 조인환, "호텔의 조직문화가 호텔직원간의 관계의 질에 미치는 영향: 서울지역 특급호텔을 대상으로," 국제관광산업연구, 제1권, 제1호, pp.173-194, 2008.
  13. 허용덕, "내부 커뮤니케이션이 호텔종사원의 고객지향성 및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 호텔리조트카지노연구, 제6권, 제2호, pp.27-44, 2007.
  14. 서판수, 의사의 커뮤니케이션 스타일이 환자만족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동아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01.
  15. 차배근, "신문의 사회적 기능," 교수아카데미총서, Vol.6, pp.297-302, 1993.
  16. L. B. James and F. B. Anthony, A Primer on organizational behavior, John Wiley and Sons, 1985.
  17. J. Devito, Human Communication(3e), New York : Harper and Row, 1985.
  18. C. Lashley and D. Lee-Ross, Organization behavior for leisure service, London, Butterworth Heinemann, 2003.
  19. C. W. Downs and M. D. Hazen, "A factor analytic study of Communication satisfaction," The Journal of Business Communication, Vol.14, No.3, pp.63-73, 1977. https://doi.org/10.1177/002194367701400306
  20. J. P. Meyer and N. J. Allen, "A three component conceptualization of organizational commitment," Human Resource Management Review, Vol.1, pp.61-89, 1991. https://doi.org/10.1016/1053-4822(91)90011-Z
  21. R. Mowday, L. Porter, and R. Steers, Employee -organization linkages: The psychology of commitment, absenteeism, and turnover, New York: Academic Press, 1982.
  22. 김경태, 서비스교육훈련이 직무만족 및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경기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2.
  23. A. M. Pettigrew, "On studying Organizational culture," Administrative Science Quarterly, Vol.24, pp.570-581, 1979. https://doi.org/10.2307/2392363
  24. K. Labich, The seven keys to business leadership, Fortune, pp.58-66, 1988.
  25. K. L. Gregory, "Native-view paradigms: Multiple culture and culture conflicts in organizations," administrative science quarterly, Vol.28, 1983.
  26. 신정하, "변혁적 리더십과 전통적 리더십이 호텔 조직문화에 미치는 영향," 한국외식산업경영연구, 제4권, 제1호, pp.119-140, 2008.
  27. 송보형, 호텔조직문화가 시장지향성, 고객지향성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경영형태에 따른 차이를 중심으로, 세종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3.
  28. R. E. Quinn and J. Rohrbaugh, "A Spatial Model of Effectiveness Criteria: towards a competing values approach to organizational analysis," Management science, Vol.29, pp.363-377, 1983. https://doi.org/10.1287/mnsc.29.3.363
  29. X. Zu, T. L. Robbins, and L. D. Fredenall, "Mapping the critical links between organizational culture and TQM/Six sigma practice," International Journal of Production Economics, Vol.123, pp.86-106, 2010. https://doi.org/10.1016/j.ijpe.2009.07.009
  30. 송지준, 통계분석방법, 21세기사, 20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