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 Study on Dongbu Hamchunwon in Hanyang during the Joseon Dynasty

조선시대 한양 동부(東部) 함춘원(含春苑)에 관한 연구

  • Oh, Jun-Young (Dept. of Heritage Conservation and Restoration, Graduate School of Cultural Heritage, Korea National University of Cultural Heritage) ;
  • Kim, Young-Mo (Dept. of Heritage Conservation and Restoration, Graduate School of Cultural Heritage, Korea National University of Cultural Heritage)
  • 오준영 (한국전통문화대학교 문화유산전문대학원 문화재수리기술학과) ;
  • 김영모 (한국전통문화대학교 문화유산전문대학원 문화재수리기술학과)
  • Received : 2017.06.30
  • Accepted : 2017.08.10
  • Published : 2017.09.30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constructional facts and the operational features of Hamchunwon(含春苑), a wonyu(苑?, a royal garden) constructed in Dongbu(Eastern District) of the capital city of Hanyang. As the living quarters of the queen dowagers were scheduled for relocation after the construction of Changgyeonggung Palace(昌慶宮) during the reign of King Seongjong(成宗), it is presumed that the screening tree planting project discussed around tongmangcheo(通望處, a place allowing open view) was the original form of Dongbu Hamchunwon. Dongbu Hamchunwon was a longitudinal royal garden built in the area across the section from Wolgeunmun Gate(月覲門) to Seoninmun Gate(宣仁門), which were both attached to the east side walls of Changgyeonggung Palace. The area corresponds to the west side area of the newly built main building of Seoul National University Hospital today. During the Joseon Dynasty, only royal gardens built within a palace were referred to as geumwon(禁苑, a palace garden). But Dongbu Hamchunwon which was built outside a palace was recognized as a symbolic and hierarchical space comparable to geumwon. The site location of Donbu Hamchunwon was an important place that corresponded to Naecheongnyong(內靑龍) according to Hanyang's geomancy, and large-scale public works were prohibited in order to protect the vein of Naecheongnyong. During the reign of King Injo(仁祖), part of Dongbu Hamchunwon was partitioned as a ranch. The area around the ranch was called Madongsan(馬東山) and Bangmawon(放馬苑) and was an open space used for rest and pleasure (amusement). In the early days of Hamchunwon's construction, fast growing trees were planted to screen the view to Changgyeonggung Palace. However, after the construction of Gyeongmogung Shrine(景慕宮), a broad scale tree planting project was undertaken to complement Naecheongnyong's vapor of the earth. In particular, after the construction of Yugeunmum Gate(?覲門) and Yucheommun Gate(?瞻門) during the reign of King Jeongjo(正祖), Dongbu Hamchunwon functioned as a key point on the King's progress for paying respects to the ancestors, which followed the route of Palace(Changgyeonggung)-Wonyu(Hamchunwon)-Ancestral Shrine(Gyeongmogung).

이 연구는 한양 도성의 동부(東部)에 조성되었던 왕실 원유(苑?) 함춘원(含春苑)을 대상으로 조영 사실과 운용적 특징의 규명에 목적을 두고 있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이 요약될 수 있다. 성종(成宗) 연간에 창경궁이 건립된 이후 대비(大妃)들의 이어(移御)가 예정되면서 통망처(通望處)를 중심으로 논의된 차폐용 수목 식재가 동부 함춘원의 시원적 형태로 추정된다. 동부 함춘원은 창경궁 동측 궁장(宮墻)에 부속된 월근문(月覲門)부터 선인문(宣仁門)에 이르는 구간의 건너편 일대에 조영된 종방향의 원유(苑?)이었으며, 오늘날 서울대학교 병원 신축 본관의 서측 일대에 해당한다. 특히 조선시대에는 궁궐 내부에 조성된 원유만이 금원(禁苑)으로 불렸지만, 궁궐 외부에 조영되었던 동부 함춘원도 금원에 비견되는 상징적 위계적 공간으로 인식되었다. 동부 함춘원의 입지처(立地處)는 한양의 풍수지리 체계에서 내청룡(內靑龍)에 해당하는 요지(要地)였으며, 내청룡의 지맥(地脈) 보호를 위해 대규모의 토목공사는 허용되지 않았다. 인조(仁祖) 연간에 이르러 동부 함춘원의 일부는 마장(馬場)으로 분할되었다. 마장 일대는 마동산(馬東山), 방마원(放馬苑)으로도 불리었고, 휴식과 유락(遊樂)의 장소로 이용된 개방적 성격의 공간이었다. 동부 함춘원의 조성 초기에는 창경궁으로의 조망을 차폐하기 위해 속성수(速成樹)가 식재되었지만, 경모궁(景慕宮) 건립 이후에는 내청룡의 지기(地氣)를 보완하기 위해 대대적인 식목(植木) 공사가 이루어졌다. 특히 정조 연간에 유근문(?覲門)과 유첨문(?瞻門)이 건립된 이후 동부 함춘원은 궁궐(창경궁)-원유(함춘원)-사묘(경모궁)로 이어지는 전배(展拜) 동선의 거점으로 기능하였다.

Keywords

References

  1. 경모궁의궤(景慕宮儀軌), 1783, 규장각한국학연구원 소장
  2. 광해군일기(光海君日記)
  3. 궁궐지(宮闕志), 규장각한국학연구원 소장
  4. 궁원의(宮園儀), 1776, 고려대학교 박물관 소장
  5. 동국여지비고(東國輿地備考)
  6. 명성황후국장도감의궤(明成皇后國葬都監儀軌), 1898, 규장각한국학연구원 소장
  7. 성종실록(成宗實錄)
  8. 승정원일기(承政院日記)
  9. 식목절목(植木節木), 1782, 규장각한국학연구원 소장
  10. 신증동국여지승람(新增東國輿地勝覽)
  11. 연산군일기(燕山君日記)
  12. 일성록(日省錄)
  13. 정조실록(正祖實錄)
  14. 조선총독부의원이십년사(朝鮮總督府醫院二十年史), 1928, 국회도서관 소장
  15. 청구요람(靑邱要覽), 1834, 규장각한국학연구원 소장
  16. 한경지략(漢京識略), 규장각한국학연구원 소장
  17. 대동방여전도(大東方輿全圖), 1861, 규장각한국학연구원 소장
  18. 동궐도(東闕圖), 19세기, 고려대학교 박물관 소장
  19. 수선전도(首善全圖), 1861, 서울역사박물관 소장
  20. 지적원도(地籍原圖), 1913, 국가기록원 소장
  21. 한국경성전도(韓國京城全圖), 1913, 영남대학교 박물관 소장
  22. 김원모, 1964, 함춘원고 - 궁궐 임압가사 철거를 중심으로 - 향토서울 제22권, 서울특별시시사편찬위원회, p.47, 50, 57
  23. 이덕일, 2013, 정약용과 그의 형제들1, 다산초당, p.156
  24. 정우진, 2016, 조선시대 궁궐 후원의 체제와 운용 양상, 고려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pp.57-58
  25. 정정남, 2009, 壯勇營의 漢城府內 立地와 營舍의 建築的 특성 -本營圖形의 분석을 중심으로- 장서각 No.21, p.56
  26. 황종찬, 1996, 풍수지리 입문, 좋은글, p.24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