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북포(北布)의 내력과 제섬(製纖) 기술의 변천

Bukpo's History and Transition of the Hemp Fabric Production Technique

  • 공상희 (한국전통문화대학교 문화유산융합학과)
  • Kong, Sang-Hui (Dept. of Convergence Cultural Heritage, Graduate School, Korea National University of Cultural Heritage)
  • 투고 : 2017.06.30
  • 심사 : 2017.08.16
  • 발행 : 2017.09.30

초록

베 한필이 작은 대통이나 여인들의 식기인 바리 안에 들어간다 하여 '통포', '발내포' 등으로 불리기도 한 '북포'는 조선시대 함경도 육진 지역에서 생산하던 올이 가늘고 고운 삼베이다. 우리나라는 1950년 한국전쟁의 발발로 인해 국토가 남북으로 분단되었다. 이에 북한 지역의 생활 관습이나 전통 기술 등, 그 정보를 구체적으로 확인하기 어려운 실정으로 그 지역의 삼베 제작 기술 또한 전해지고 있지 않다. 이 논문에서는 조선 후기 북포 제작 공정이 기록된 유일한 문헌인 "오주연문장전산고"를 통해 북포 제작의 특징을 살펴보고, 이를 근대기 문헌 기록과 비교하여 기술의 변천과 그 의의를 짚어보고자 하였다. 이 과정에서 19세기 함경도 육진 지역의 제섬 방식이 유럽 및 중국 묘족의 제섬 기술과 유사성이 있음을 발견하였고, 19세기 중반 이후에서 20세기 이전 사이, 함경도 지역의 제섬 기술에 변화가 있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북포 제섬 기술 변천은 기술사적 맥락에서 전통공예기술의 선후 관계를 살펴볼 수 있는 사례라 할 수 있겠다.

'Bukpo' is called 'Tongpo' or 'Balnaepo,' which respectively mean hemp fabric that goes into a small bamboo tube and women's table utensil 'bari' in Chosen. It is fine hemp fabric produced in Yukjin, Hamgyeong province. Korea has been divided into North and South since the Korean War in 1950. As it is hard to get information about Northern life style or their traditional technology, their hemp fabric production is also left unknown. This study demonstrates characteristics of the production of 'Bukpo' through "Ojuyeonmunjangjeonsango", the only document that marked about 'Bukpo' making process of the late Chosen dynasty. It aims to analyze the transition of the technique and the meaning by comparing the characteristics of the production of 'Bukpo' with the modern era's documents. In this process, I discovered that the hemp fabric production technique at 19th century shares some sort of similarities with that of Europe or Chinese Miao(hmong). But the hemp fabric production technique changed before the 20th century. The evolution of Northern hemp fabric production technique can be a good example to examine the context of the traditional craft technique.

키워드

참고문헌

  1. 목민심서
  2. 세종실록지리지
  3. 여지도서
  4. 오주연문장전산고
  5. 이계집
  6. 조선왕조실록
  7. 강칙모, 1978, (두고온 내 고향의 특산품[1]) 회령오지그릇과 종성삼베 - 함경도 - 북한Vol.-No.81, pp.163-164
  8. 고부자, 2006, 무주삼베의 생산과정과 전승양상 비교민속학Vol.32
  9. 고부자, 2004, 보성 삼베 연구 복식문화연구Vol.12
  10. 권병탁, 1969, 이조말기의 농촌직물수공업 연구, 경북대학교 박사학위논문, p.150
  11. 김연옥, 1994, 한국의 기후와 문화, 이화여자대학교 출판부, p.218
  12. 김희태.박찬호, 1976, 신고 공예작물학, 향문사, p59, pp68-69
  13. 대전시립박물관, 2016, 2016 대전 안정나씨(安定羅氏) 묘 출토복식 특별전 - 그리움을 깁고 연정을 짓다 -, p.41, 43
  14. 민길자, 2000, 한국전통직물사 연구, 한림원, p.18
  15. 민길자, 1984, 우리나라 직물제직기술에 대한 연구(I) - 삼국시대와 고려시대의 대마와 저마직물을 중심으로 - 한국의류학회지Vol.8
  16. 박광숙, 2002, 안동포 삼베 직조과정의 특성 안동 삼베 연구, 안동대학교박물관
  17. 박윤미, 2014, 백제 직물의 특성과 직조 기술 백제학보Vol.12
  18. 박윤미.최재현, 2009, 고령 지산동 제73호분 출토 직물의 특성 복식Vol.59
  19. 박종기, 2011, 고려시대 종이 생산과 소(所) 생산체제 한국학논총Vol.35, p54
  20. 배영동, 2003, 안동포 생산과 소비의 전통과 현대적 의미 한국민속학37집
  21. 배영동, 2002, 안동포 전통의 형성과 변화 안동 삼베 연구, 안동대학교박물관, p.45
  22. 심연옥.금다운, 2016, 삼베짜기 전승현황과 지역별 특성 韓服文化Vol.19
  23. 안완식, 2009, 한국토종작물자원도감, 도서출판 이유, p.361
  24. 이능화 저.김상억 옮김, 1990, 조선여속고, 동문선, p.380
  25. 이한길, 2010, 삼척의 삼베문화, 민속원, p.209
  26. 임형진, 2009, '삼가마' 유구에 대한 민속학적 논증 - '삼가마(삼굿)의 축조와 구조, 운용에 대한 현지조사 보고 - 문화재Vol.42 No.4, p.7.
  27. 정광용, 1968, 섬유작물, 부민문화사, pp.54-57
  28. 조승현, 1992, 전남 삼베수공업의 존립형태와 지역구조의 변천 - 전남 보성군을 중심으로 - 호남문화연구Vol.21
  29. 최승연, 2014, 근대 시기(1920-1980) 전라남도 구례군의 전통 삼베 수공업 생산 방식의 특징과 변화 복식문화연구Vol.22
  30. 카모시타 마쓰지로.혼다 코스케.하라 히로시 저.김장규.구자옥.한상찬 옮김, 2009, 한국토지농산보고I, 민속원, p.631, 639
  31. 황기덕, 1984, 조선 원시 및 고대사회의 기술발전, 과학.백과사전출판사, p.168
  32. 山口 精, 1992, 朝鮮産業誌 中卷, 민속원, p.387.
  33. Paris : J.J. Dubochet, L'illustration Journal Universel Vol.36(July-Dec 1860), 1860, Original from University of California, p.357
  34. Robert Connell Clarke, 2010, 'Traditional Fiber Hemp (Cannabis) Production, Processing, Yarn Making, and Weaving Strategies-Functional Constraints and Regional Responses. Part1', Journal of Natural Fibers, Taylor & Francis, p.142, pp.129-138
  35. Hemp weaving and miao people, copyright Bama Mountain Culture Research Center of Yunnan Academy of Social Sciences, 2009, China
  36. Il lino-dal seme al tessuto part1, copyright Silva marras, 2010, Italy
  37. 국가지식포털 북한 지역정보넷. 2017. 6. 26. 최종 접속, www.cybernk.net
  38. 국립국어원 표준어대사전
  39. 농림축산식품부, '특용작물생산실적', 국가통계포털. 2017.5.10. 최종 접속, http://kosis.kr/statHtml/statHtml.do?orgId=114&tblId=DT_114_2012_S0095&conn_path=I3
  40. 안정나씨 대종회 홈페이지, 2016. 6. 29. 최종 접속, http://www.nassi.or.kr/html/02/06.php
  41. 한국민족문화대백과, 한국학중앙연구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