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 Study on the Usefulness of Photogrammetry through 3D Recording of the Rock-carved Standing Buddha in Singyeong-ri, Hongseong

홍성 신경리 마애여래입상의 3차원 기록화를 통한 포토그래메트리의 유용성 연구

  • Oh, Jun-Young (a Dept. of Heritage Conservation and Restoration, Graduate School of Cultural Heritage, Korea National University of Cultural Heritage) ;
  • Kim, Choong-Sik (Dept. of Traditional Landscape Architecture, Korea National University of Cultural Heritage)
  • 오준영 (한국전통문화대학교 문화유산전문대학원 문화재수리기술학과) ;
  • 김충식 (한국전통문화대학교 전통조경학과)
  • Received : 2017.03.31
  • Accepted : 2017.08.18
  • Published : 2017.09.30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mprove the usefulness of photogrammetry in the field of cultural heritage recording concentrated on laser scanning. Two measurement methods(laser scanning, photogrammetry) were compared in terms of accuracy and reality for the Rock-carved Standing Buddha in Singyeong-ri, Hongseong. With regard to accuracy, the distances of major points by both shape information and between the two shape information were compared. Only a deviation of about 1mm was found in the distance measurement of the major points by both shape information. In particular, the average distance between two shape information identified through aligning was only about 0.01mm. Also, the absolute deviation within about 2mm accounted for 70% of the total, and the absolute deviation within about 3.5mm was found to be 95.4% of the total. These values showed very high similarity between laser scanning and photogrammetry-based shape information. In respect of reality, the carved depth, texture, and patterns were compared. As a result of comparing four cross-sectional shapes, only slight differences were found in the shape information of both measurement techniques and similar shapes were identified. The overall texture of both shape information was also similar. However, the detailed shape based on the photogrammetry with decimation is realized with a smoother texture than the original and laser scanning. In particular, Photogrammetry also realistically expressed the various ornaments carved in the Rock-carved Buddha and the patterns with shallow depths were comparatively detailed.

이 연구는 레이저스캐닝 중심의 문화유산 기록화 분야에서 포토그래메트리의 유용성 제고에 목적을 두고 있다. 두 계측기술(레이저스캐닝, 포토그래메트리)은 홍성 신경리 마애여래입상을 중심으로 정확성과 사실성 측면에서 비교되었다. 정확성 측면에서는 형상정보별 주요 지점과 두 형상정보 사이의 거리가 비교되었다. 마애불의 형상정보별 주요 지점의 거리 측정에서는 약 1mm 내외의 편차만이 확인되었다. 특히 정합을 통해 확인된 두 형상정보 사이의 평균거리는 약 0.01mm에 불과했다. 또한 약 2mm 이내의 절대편차가 전체의 70%를 차지하였으며, 약 3.5mm 이내의 절대편차가 전체의 95.4%로 확인되었다. 이러한 수치들은 레이저스캐닝 대비 포토그래메트리의 매우 높은 일치도를 보여주었다. 사실성 측면에서는 조각 깊이, 질감, 문양이 비교되었다. 4개의 단면 형상을 비교한 결과 두 계측기술별 형상정보는 미세한 차이만을 보였고, 전반적으로 유사한 형상이 확인되었다. 두 형상정보의 전체적인 질감도 유사하였다. 하지만 데시메이션이 적용된 포토그래메트리 기반의 세부 형상은 실물과 레이저스캐닝에 비해 매끄러운 질감으로 구현되었다. 특히 포토그래메트리는 레이저스캐닝과 동일하게 마애불에 조각된 다양한 문양도 사실적으로 구현하였으며, 얕은 깊이의 문양도 비교적 세밀하게 나타났다.

Keywords

Acknowledgement

Supported by : 중소기업청

References

  1. 공달용 외, 2010, 남해 가인리 공룡발자국 화석에 대한 디지털 사진측량기법의 활용 한국지구과학회지 Vol.31 No.2, pp.129-138 https://doi.org/10.5467/JKESS.2010.31.2.129
  2. 구자봉, 2015, 사진스캐닝 기술에 의한 매장문화재 기록방법에 대한 연구 한국디지털콘텐츠학회논문지 Vol.16 No.5, pp.835-847
  3. 안재홍.김충식, 2016, 디지털 유산-문화유산의 3차원 기록과 활용 시그마프레스, pp.144-160
  4. 이계동 외, 2007, 3차원 영상취득에 의한 매장문화재의 효율적 측정기법 한국측량학회지 Vol.25 No.2, pp.157-163
  5. 한정식.서만철, 2003, 사진을 이용한 도전리 마애불 3D Modeling 문화재과학기술 Vol.2 No.1, pp.65-72
  6. Fabrizio Galeazzi, 2016, 'Towards the definition of best 3D practices in archaeology : Assessing 3D documentation techniques for intra-site data recording', Journal of Cultural Heritage, Vol.17, pp.159-169 https://doi.org/10.1016/j.culher.2015.07.0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