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Classifications by Materials and Physical Characteristics for Neolithic Pottery from Jungsandong Site in Yeongjong Island, Korea

영종도 중산동 신석기시대 토기의 재료학적 분류와 물리적 특성

  • Kim, Ran Hee (Department of Cultural Heritage Conservation Sciences, Kongju National University) ;
  • Lee, Chan Hee (Department of Cultural Heritage Conservation Sciences, Kongju National University) ;
  • Shin, Sook Chung (Hangang Institute of Cultural Heritage)
  • 김란희 (공주대학교 문화재보존과학과) ;
  • 이찬희 (공주대학교 문화재보존과학과) ;
  • 신숙정 ((재)한강문화재연구원)
  • Received : 2017.07.30
  • Accepted : 2017.11.06
  • Published : 2017.12.30

Abstract

The Jungsandong sites are distributed across quartz and mica schist formations in Precambrian, and weathering layers include large amounts of non-plastic minerals such as mica, quartz, felspar, amphibole, chlorite and so on, which form the ground of the site. Neolithic pottery from Jungsandong exhibits various brown colors, and black core is developed along the inner part for some samples, and sharp comb-pattern and hand pressure marks can be observed. Their non-plastic particles have various composition, size distribution, sorting and roundness, so they are classified into four types by their characteristic mineral compositions. I-type (feldspar pottery) is including feldspar as the pain component or mica and quartz. II-type (mica pottery) is the combination of chloritized mica, talc, tremolite and diopside. III-type (talc pottery) is with a very small amount of quartz and mica. IV-type (asbestos pottery) is containing tremolite and a very small amount of talc. The inner and outer colors of Jungsandong pottery are somewhat heterogeneous. I-type pottery group shows differences in red and yellow degree, depending on the content of feldspar, and is similar to III-type pottery. II-type is similar to IV-type, because its red degree is somewhat high. The soil of the site is higher in red and yellow degree than pottery from it. The magnetic susceptibility has very wide range of 0.088 to 7.360(${\times}10^{-3}$ SI unit), but is differentiated according to minerals, main components in each type. The ranges of bulk density and absorption ratio of pottery seem to be 1.6 to 1.7 and 13.1 to 26.0%, respectively. Each type of pottery shows distinct section difference, as porosity and absorption ratio increase in the order as follows: I-type (organic matter fixed sample) < III-type and IV-type < I-type < II-type (including IV-type of IJP-15). The reason is that differences in physical property occur according to kind and size of non-plastic particles. Although Jungsandong pottery consists of mixtures of various materials, the site pottery has a geological condition on which all mineral composition of Jungsandong pottery can be provided. There, it is thought that raw materials can be supplied from weathered zone of quartz and mica schist, around the site. However, different constituent minerals, size and rock fragments are shown, suggesting the possibility that there can be more raw material pits. Thus, it is estimated that there may be difference in clay and weathering degree.

중산동 유적은 선캠브리아기의 석영편암층과 운모편암층에 걸쳐 분포하며, 풍화층에는 운모, 석영, 장석, 각섬석 및 녹니석 등 다양한 비가소성 광물이 다량 포함되어 유적지의 지반을 형성하고 있다. 중산동 유적 신석기시대 토기는 다양한 갈색계열을 보이며, 일부 시료는 속심과 내면을 따라 흑심이 발달하고 예리한 빗살시문과 손누름 자국이 관찰된다. 이들은 비가소성 입자의 조성과 입도 및 분급과 원마도가 다양하여 특징적 광물조성에 따라 4 유형으로 세분하였다. I-형은 장석질 토기로 장석이 주성분이며 석영과 운모를 포함하기도 한다. II-형은 운모질 토기로 녹니석화된 운모류, 활석과 투각섬석 및 투휘석의 조합을 이룬다. III-형은 활석질 토기로 미량의 석영과 운모를 동반한다. IV-형은 석면질 토기로 투각섬석과 미량의 활석을 포함한다. 중산동 토기는 내외면의 색상이 다소 불균질하다. I-형 토기군은 장석류 함량에 따라 적색 및 황색도에 차이가 있으며, III-형 토기군과 유사하다. II-형은 적색도가 다소 높아 IV-형과 유사하다. 유적지 토양은 토기에 비해 적색 및 황색도가 높다. 전암대자율은 0.088~7.360(${\times}10^{-3}$ SI unit)의 넓은 범위이나, 각 유형별 주성분 광물에 따라 구분된다. 토기의 부피비중과 흡수율은 1.6~1.7 및 13.1~26.0%의 범위를 보인다. 각 유형별 토기군은 I-형의 유기물 고착시료 < III-형 및 IV-형 < I-형 < II-형 (IV-형의 IJP-15 포함)의 순으로 공극률과 흡수율이 증가하며 뚜렷한 영역 차이를 보였다. 이는 비가소성 입자의 종류와 입도 등에 따라 물리적 성질의 차이가 나타나기 때문이다. 중산동 토기는 다양한 재료의 혼합으로 이루어져 있으나, 유적지 토양은 중산동 토기가 갖는 모든 광물조성을 공급할 수 있는 지질조건을 갖추고 있다. 따라서 원료는 유적지 주변 석영편암과 운모편암의 풍화대에서 수급이 가능하였을 것으로 판단된다. 그러나 구성광물, 입도 및 암편이 다양한 양상을 보여 원료 채취장소가 여러 곳이었을 가능성이 높으며, 이에 따른 점토화 및 풍화도의 차이가 있는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Keywords

References

  1. 구자진, 2006, 중부 서해안지역의 신석기시대 집자리 연구 숭실사학 19, pp.1-21
  2. 김란희.이찬희.윤정현, 2012, 천안 쌍용동 용암유적 출토 조선시대 토기의 재료과학적 특성과 원료의 산지해석 보존과학회지 28, pp. 7-20
  3. 김란희.정해선.정상훈.이찬희, 2011, 대전 원신흥동 유적 출토 고대 세라믹 유물의 재료학적 특성과 원료의 산지해석 보존과학회지 27, pp.163-179
  4. 김란희.조미순.연웅.이찬희, 2010, 나주 오량동 가마와 운곡동 분묘 유적 출토 대형전용옹관의 재료학적 동질성과 제작기법 해석 보존과학회지 26, pp. 229-425
  5. 김란희.이선명.장소영.이찬희, 2009, 기흥 농서리유적 출토 토기의 재료과학적 특성과 소성온도 해석 보존과학회지 25, pp. 255-271
  6. 김수경.이찬희, 2015, 활석비짐 무문토기의 고고과학적 특성 - 천안 백석동 고재미골 유적 - 보존과학회지 31, pp.159-173
  7. 김지영.박진영.박대순.이찬희, 2010, 부여 쌍북리 유적 출토 백제 도가니의 재료학적 특성과 원료의 산지해석 보존과학회지 26, pp.1-12
  8. 김지영.이찬희.조선영.김란희.이호형, 2009, 아산 탕정지구 외골유적 출토 고려 기와의 재료과학적 특성과 제작기법 보존과학회지 25, pp. 299-316
  9. 류철현.현근수.최정원, 2003, 토양조사 이론과 실무기술. 농촌진흥청 호남농업시험장 과학원예, pp. 104-134
  10. 박희현, 1996, 영종도 송산선사유적 발굴조사 개보 서울시립대학교 박물관휘보 7, pp.119-142
  11. 이성주, 1988, 원삼국토기 태토의 유형 영남고고학보 5, pp.19-41
  12. 이찬희.박진영.김지영, 2010a, 부여 쌍북리유적 출토 백제 도가니 내부 유리 및 청동 유리물질의 정량분석과 고고과학적 해석 보존과학회지 26, pp.157-169
  13. 이찬희.김무연.조영훈.이명성, 2010b, 중원탑평리칠층석탑의 재질특성과 산지추정 및 손상도 진단을 통한 보존처리 문화재 43, pp. 4-25
  14. 이찬희.김영택.이명성, 2007, 부여 정림사지 오층석탑 구성암석의 원산지 추정 지질학회지 43, pp.183-196
  15. 조영훈.조성남.이찬희, 2010, 순천 송광사 사천왕상 소조토의 제작기법과 원산지 해석 보존과학회지 26, pp. 43-60
  16. 최위찬.김규봉.최성자.윤욱.진명식, 1995, 김포-인천도폭 지질조사보고서(1:5,000) 한국자원연구소, pp.1-34
  17. 한강문화재연구원, 2012, 인천 중산동 유적 한강문화재연구원, pp.1-809
  18. 한강문화재연구원, 2009, 인천경제자유구역영종지구(영종지역) 문화재 발굴조사 약보고서 한강문화재연구원, pp.1-42
  19. Christina, R., Panagiota, T.K., Christos, K., 2004, 'Technology and composition of Roman pottery in Northwestern Peloponnese, Greece', Applied Clay Science 24, pp. 313-326 https://doi.org/10.1016/j.clay.2003.07.008
  20. Lee, C.H., Kim, J. and Lee, M.S., 2010, 'Petrography and provenance interpretation of the stone moulds for bronze daggers from the Galdong prehistoric site, Republic of Korea' , Archaeometry 52, pp. 31-44 https://doi.org/10.1111/j.1475-4754.2009.00460.x
  21. Piero, M., Patrizia, D., 2004, 'New developments in the study of ancient pottery by colour measurement', Journal of Archaeological Science 31, pp. 741-751 https://doi.org/10.1016/j.jas.2003.11.006
  22. Rice, P.M., 2005, 'Pottery Analysis (Paperback Edition)', The University of Chicago Press, Chicago, pp. 334-33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