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trategies and Tasks of Exporting Dental Education

치의학 교육 수출의 전략과 과제

  • Kim, Hee-Kyung (One-stop Specialty Center, Seoul National University Dental Hospital) ;
  • Han, Jung-Suk (Department of Prosthodontics, School of Dentistry, Seoul National University)
  • 김희경 (서울대학교 치과병원 원스톱협진센터) ;
  • 한중석 (서울대학교 치의학대학원 치과보철학교실)
  • Received : 2017.02.02
  • Accepted : 2017.02.28
  • Published : 2017.04.01

Abstract

Recently, education is regarded as a service item and university education services are being exported abroad. In the form of educational export operations, export of educational contents and curriculum, specific consultancy projects for foreign institutes, installation of local educational facilities, or attracting foreign students are being carried out. Korea has the potential and competitiveness to export dental education. The advantages of Korea's dental education services, such as dental equipment and materials, excellent education programs, and high-quality human resources, will enable the export of education services in various ways. Establishment of educational infrastructure and educational programs for overseas dental students, export of educational consulting items, clinical training programs for foreign dentists abroad, invitation for international clinical workshops, dispatch of faculty members, exchange student programs can be considered as exporting dental education service items. Therefore, in a long-term perspective, it is necessary to establish differential and appropriate educational export plans.

Keywords

References

  1. 김기환, 이창호, 최보승. 학령인구 감소에 따른 지역별 대입지원자 감소에 따른 예측연구. 한국데이터정보과학지 2015;26:1175-1188.
  2. 이원근. 학령인구 감소와 고등교육의 대응방향. 대학교육 2013;181:14-15.
  3. 반상진, 박민정, 김영상, 신현석, 노명순, 조영재. 학령인구 감소에 따른 대학정원 조정 및 대학구조 개혁 대책 연구. 교육정치학연구 2013;20:189-211.
  4. 반상진. 대학구조개혁정책의 쟁점과 대응 과제에 관한 연구 - 학령인구 감소에 대한 새로운 대학구조개혁 패러다임 탐색. 공학교육연구 2015;18:14-26.
  5. 교육부. 대학 경쟁력 강화를 위한 대학 자율화 추진 계획. 2012.
  6. 교육부. 고등교육 서비스 수출 현황. 2017.
  7. 박주성, 김종호, 신용섭. 대학교육 서비스품질 요인이 학생만족, 재입학의도 및 구전효과에 미치는 영향. 한국마케팅저널 2002;4:7-24.
  8. Abdullah F. The Development of HEdPERF: a new measuring instrument of service quality for the higher education sector. International Journal of Consumer Studies 2006;30:569-581. https://doi.org/10.1111/j.1470-6431.2005.00480.x
  9. 유장희. 서비스 분야의 수출산업화 전략. 한국경제연구원. FKI미디어; 2009. p. 226-232.
  10. 박기찬. 동남아 교육한류 현황: 한류를 넘어 교육한류로. 2012 한국.동남아시아 세미나, 한국학중앙연구원. 2012.10.09.
  11. 인하대학교 산학협력단. 교육한류 수출의 전략과 과제. 2012.11.
  12. 한국IT서비스학회. 포스테이타. 라오스국립대학 우리 IT기술로 문 열어. 2008.02.19. (www.itservice.co.kr).
  13. 유장희. 서비스 분야의 수출산업화 전략. 한국경제연구원. FKI미디어; 2009. p. 237.
  14. 매일경제. 한국도 글로벌 명문대 유치 땐 아시아 교육허브로 도약 가능. 2009.02 02.
  15. Medical observer. 해외진출 러시...의사면허 인정최대 난관. 2014.02.03.
  16. 한국경제. 사드 배치되면 중국서 사업하기 어려울 듯. 2016.12.3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