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Study on the Interactive acoustic Method of 3D(Three-dimensional)signage Image Contents on Multipurpose stage

공간상의 입체사이니지 영상 콘텐츠 연동형 음향연출기법 연구

  • 박천일 (서울과학기술대학교 나노IT디자인융합대학원 정보통신미디어공학전공) ;
  • 양승연 ((주)파이브텍) ;
  • 차재상 (서울과학기술대학교 나노IT디자인융합대학원 정보통신미디어공학전공)
  • Received : 2017.02.10
  • Accepted : 2017.03.28
  • Published : 2017.03.31

Abstract

Recently, digital signage is various changes and converging media. It is common to exhibit and guide focusing on information transfer by using the display. Such a method can not express variously changing digital signage. Therefore, we have to find a way to solve the problem of place and structure. In this paper, we experimented the new direction technique. Finally, we are going to propose acoustic direction technique using a microphone to maximize digital signage and intention of delivery by adding an sound reinforcement method to the visual representation.

최근 디지털 사이니지는 다양한 변화와 매체간의 융복합 형태를 취하고 있다. 기존의 디스플레이 형태의 구성을 통해 정보 전달을 중심으로 전시 및 안내를 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와 같은 방법은 변화하는 디지털 사이니지의 다양성을 표현하기엔 다소 부족함이 있다. 그러므로 제한적인 장소와 무대 등의 구조물을 이용하는 현장 상황에서 다른 방법을 도입하여 보완 및 보강을 해야 한다. 또한 공간상의 입체 사이니지 영상 콘텐츠 연동형 음향연출기법을 적용하여 영상시스템과 음향시스템 등의 통합적 연출이 필요하게 되었다. 이에 본 논문은 새로운 형태의 연출기법의 실험을 통해하여 시각적 표현방법에 청각적 보강방법을 추가하여 디지털 사이니지의 목적과 전달의도를 극대화 할 수 있도록 마이크를 활용한 음향연출기법을 제안한다.

Keywords

References

  1. 미래창조과학부,"디지털사이니지 산업 활성화 대책", 2015. 12. 24
  2. 천용석, "디지털사이니지 산업진흥 정책의 현황과 시사점", 정보통신방송정책, 제28권 4호 통권 618호, 2015.03.02
  3. 신동희, 김희경, "디지털 사이니지의 공간성",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15(8), 77-84, 2015 https://doi.org/10.5392/JKCA.2015.15.08.077
  4. 한국콘텐츠진흥원,"디지털 사이니지(Digital Signage) 기반 콘텐츠산업의 현황과 전망", <코카포커스>54, 1-22, 2012
  5. 배석명, 무대음향설비, 전기저널, 93-104, 2004
  6. 한학수, 박천일, "디지털 방송 음량 표준화에 따른 음향운용" 한국커뮤니케이션학회, 제24권 3호, (2016 가을), pp. 221-23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