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 Study on the Special Needs of the Hearing-Impaired Person for Disaster Response

청각장애인 재난대응 욕구에 관한 연구

  • Kim, Soungwan (Department of Public Administration, Korea National University of Welfare) ;
  • Kim, Hey Sung (Institute for Welfare State Research, Yonsel University) ;
  • Roh, Sungmin (Performance Evaluation Group, Evaluation Institute of Regional Public Corporation)
  • 김승완 (국립한국복지대학교 장애인행정과) ;
  • 김회성 (연세대학교 복지국가연구센터) ;
  • 노성민 (지방공기업평가원 경영평가본부)
  • Received : 2017.01.31
  • Accepted : 2017.06.26
  • Published : 2017.06.30

Abstract

This study evaluated the actual status of special needs of the hearing-impaired person for disaster response. The analysis revealed a significant level of unmet needs in disaster response for hearing-impaired person. The 5 special needs in disaster response include: 1) communication needs, which involve securing the means to make an emergency rescue request and communicating information during the rescue process; 2) transportation needs, which indicate the effective evacuation capacity and the level of training; 3) medical needs, which address the degree of preparedness for physical and mental emergency measures and the delivery of health information for rescue and first aid process; 4) maintaining functional independence needs, which refer to the level of self-preparedness to minimize damage in disaster situations, and; 5) supervision needs, which correspond to a personalized support system provided to disaster-vulnerable groups.

본 연구는 재난취약계층인 청각장애인의 재난관리 및 지원체계에 관한 연구가 상당부문 공백으로 남아있다는 문제의식 하에, 청각장애인을 대상으로 재난대응 욕구 전반에 대한 실태를 조사해 양적으로 분석하고, 재난 구조과정 최일선에 있는 소방공무원들과의 심층인터뷰를 통한 질적 분석을 함께 제시함으로써 청각장애인의 재난대응 욕구에 대한 이해를 높이고 정책방안을 모색해 보고자 했다. 분석결과, 위험상황에서의 도움을 요청하는 수단 확보 및 구조 과정에서의 정보전달과 관련된 의사소통 욕구, 재난 발생 시 효과적인 대피능력 및 훈련정도를 의미하는 이동(이송) 욕구, 신체적 정신적 응급조치에 대한 사전준비 정도 및 구조 구급과정에서의 건강정보의 전달과 관련된 의료적 돌봄 욕구, 재난 발생 시 발생되는 피해를 스스로 최소화하기 위해 준비된 정도를 의미하는 자립성 유지 욕구, 재난취약계층에게 제공되는 공식화된 맞춤형 지원체계에 해당하는 슈퍼비전 욕구 등 5대 재난대응욕구 전반에서 청각장애인의 재난대응 욕구충족 수준은 상당히 미흡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청각장애인의 재난관리 보장을 강화하기 위해 시각경보장치의 확대설치 지원 확충 및 화상수화통역서비스 활용 강화, 재난대응 교육 훈련 프로그램의 내실화, 건강정보카드 보유 장려 및 장애인지정병원제도 신설, 맞춤형 재난지원체계와 재난관리 거버넌스 활성화를 위한 예산 및 정책 확대 등을 제안했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