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장애인의 여가활동참여와 여가만족, 삶의 질과의 관계

Correlates of the Participation of Leisure Activities, Leisure Satisfaction, and Quality of Life among Disabled People

  • 남현주 (가천대학교 사회복지학과) ;
  • 이현지 (대구가톨릭대학교 사회복지학과)
  • Nam, Hyun Joo (Dept. of Social Welfare, Gachon University) ;
  • Lee, Hyun Ji (Dept. of Social Welfare, Catholic University of Daegu)
  • 투고 : 2017.01.31
  • 심사 : 2017.03.23
  • 발행 : 2017.03.31

초록

본 연구는 장애인의 여가활동참여가 여가만족과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고, 여가활동참여와 삶의 질과의 관계에서 여가만족의 매개효과를 분석하기 위해, 장애인복지관을 이용하는 장애인 192명을 대상으로 설문자료를 수집 하였다. 수집한 자료는 SPSS를 활용하여 분석하였으며, 분석결과, 체육관련활동, 여행관련활동, 사회참여활동이 장애인의 여가만족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장애인의 삶의 질은 체육관련활동, 여행관련활동, 문화예술활동, 사회참여활동이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나, 적극적 여가활동 유형이 여가만족과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해석되었다. 또한, 장애인의 연령, 교육, 경제수준, 장애등급을 통제한 후, 여가활동참여가 여가만족과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 여가활동참여는 여가만족과 삶의 질에 유의한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제시되었으며, 장애인의 여가활동참여와 삶의 질과의 관계에 여가만족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부분매개효과를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바탕으로, 장애인의 여가활동과 여가만족과 관련된 삶의 질 증진을 위한 함의 및 후속연구를 위한 방향을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e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association of the participation of leisure activities, leisure satisfaction and quality of life, and analyze the mediating effect of leisure satisfaction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participation of leisure activities and quality of life among people with disabilities. For the purpose, the data were collected by using non-random purposive and convenient sampling methods and 192 disabled people who reside in Daegu city and Kyungpook provinces filled out self-administered questionnaires for this study. Findings of the study indicated that ther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relationships among the participation of leisure activities, leisure satisfaction, and quality of life and active types of leisure activities such as physical activities, travel activities, and social participating activities were significantly related with leisure satisfaction and quality of life. In addition, the mediating effect of leisure satisfaction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participation of leisure activities and quality of life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Based on the findings of the study, possible practice implications for improving quality of life among disabled people and recommendation for further study were provided.

키워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