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장애자녀 부모의 자아분화와 우울감: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Self-Differentiation and Depression of Parents of Children with Disabilities: Mediating Effects of Self-Efficacy

  • 투고 : 2017.07.31
  • 심사 : 2017.09.18
  • 발행 : 2017.09.30

초록

본 연구에서는 105명의 장애자녀 부모를 대상으로 자아분화가 우울감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고 두 변수 간에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가 유의한지를 분석하였다. 회귀분석을 적용한 결과, 변수 간의 관계를 가정한 가설들이 모두 채택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자아분화는 자기효능감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고, 자기효능감은 우울과 부적 관계가 있어 자기효능감이 높아질수록 우울 증상이 약화되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그리고 매개변수인 자기효능감은 자아분화와 우울 간의 관계에서 간접효과가 작게는 24% 에서 크게는 100%에 가까운 것으로 나타나 자기효능감이 자아분화 요인별로 부분 매개 또는 완전 매개 역할을 한다는 것을 말해 준다. 이러한 결과는 장애자녀 부모의 자기효능감을 높이기 위해서는 먼저 자아분화 수준을 높여야 하고, 그로 인해 자기효능감이 향상되면 우울에서 벗어날 수 있다는 것을 시사한다. 자아분화 요인들 중 사회정서기능과 자아통합은 자기효능감을 높이는 방향으로 작용하는데 비해 가족투사, 가족회귀, 정서단절은 자기효능감을 낮추는 경향이 있다. 이러한 정적, 부적 관계는 자기효능감을 거쳐 우울감과 맥락을 같이 한다. 본 연구결과는 장애자녀 부모의 우울을 치료하고 심리적 재활 능력을 증진시키기 위한 상담 및 임상에 적용할 수 있는 실증적 자료와 이론적 근거를 제공한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을 것이다.

This study examines the mediating effects of self-efficacy between self-differentiation and depression by analyzing 105 parents who have at least one child with a disability. Regression analysis confirmed all hypothesis between self-differentiation, self-efficacy, and depression. There exists partially or complete mediation. That is the indirect effect on depression, self-efficacy explains the relationships between self-differentiation and depression to be as minimum as 24 percent to as maximum as 100 percent. This demonstrates that the self-efficacy significantly affects the relationship between self-differentiation and depression. Findings of this study recommend that self-efficacy should be enhanced through improving the level of self-differentiation. The results also imply that rehabilitation counselors need to understand the way of improving self-efficacy as well as the fact that the influencing factors of self-differentiation on self-efficacy is important. The findings of this study are informative for researchers, educators, and clinicians for mental health and psychological rehabilitation who assist the parents of children with disabilities.

키워드

과제정보

연구 과제 주관 기관 : Daegu Universit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