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 Code
지적장애자녀를 돌보는 노년기 부모의 돌봄시간, 돌봄스트레스, 그리고 우울: 가족관계만족도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Care-giving Related Time-Demand, Stresses and Depression among Older Parents, who take care of Children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Focusing on Moderators of Family Relationships
- Yoo, Changmin (Dept. of Social Welfare, Seoul National University) ;
- Kahng, Sang Kyoung (Dept. of Social Welfare, Seoul National University)
- 투고 : 2017.07.24
- 심사 : 2017.09.18
- 발행 : 2017.09.30
초록
지적장애자녀를 돌보는 노년기 부모의 경우 돌봄부담과 같은 스트레스로 인해서 우울이심하다는 것이 지속적으로 보고되고 있다. 그러나 노년기 부모들의 이러한 우울을 예방/보호할 수 있는 요인을 확인하는 연구는 거의 없다. 본 연구는 지적장애자녀를 돌보는 노년기 부모를 대상으로 돌봄시간과 돌봄스트레스가 우울에 미치는 영향을 가족관계만족도가 조절하는지 확인하였다. 이를 위해서 2011년 발달장애인 활동지원 등을 위한 욕구조사 및 정책과제 수립 연구 중 발달장애인 실태조사 자료를 활용하여 분석을 실시하였다. 이 때 부모의 나이가 60세 이상인 노년기 응답자 276명을 최종 분석대상으로 하였다. 주요 분석결과에 따르면, 가족관계만족도가 높은 경우 돌봄시간이 우울에 미치는 영향이 유의하게 적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노년기 부모에게 가족관계만족도가 돌봄 시간과 우울의 관계를 완충하는 중요한 보호요인임을 의미한다. 이것은 생애주기에 있어서 노년기를 경험하는 사람들에게 가족관계가 중요하다는 사회정서선택이론을 지지하는 결과이다. 따라서 지적장애자녀를 돌보는 노년기 부모의 가족관계를 향상시킬 수 있는 실천적 개입과 정책 및 제도적 보완이 필요하다.
Although not many older Korean parents who take care of children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have been reported depression due to care-giving related stresses, little is known about how they could be protected from this. This study examines whether satisfaction with family relationships moderate the relationships between time demands, caregiving stress, and depression of older parents who take care of children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The analyses were conducted based on data from the Korean National Survey on Individual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and their Families of 2011, and only a total of 276 parents, aged over 60 were examine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shows that older parents with higher level of satisfaction with family relationships were less likely to be influenced by time demands of care-giving. This indicates that satisfaction with family relationships could buffer the relationships between time demands of care-giving, and depression. This finding suggests that satisfaction with family relationships is a protective factor, buffering the negative effects of time demands of care-giving and depression. This supports 'socio-emotional selectivity theory' which family relationships are important to older people. Therefore, it is highly recommended to develop practical intervention that can improve the level of satisfaction of family relationship of the older parents, and to make policy and institutional supplementation.
키워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