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onvergence of the contents of traditional education and modern reconstruction

전통교육 내용의 통섭과 현대적 재구성

  • Received : 2017.07.11
  • Accepted : 2017.08.04
  • Published : 2017.08.15

Abstract

This paper examines the characteristics of the traditional education contents that they have preserved and succeeded based on the recognition of 'Dongdo' by the modern intellectuals, and selects the contemporary contents of traditional education which are worthy of modern succession, It is aimed to categorize by classification and to reconstruct the contents accordingly. For this purpose, I will try to diagnose the problems of modern education and explore the possibilities of traditional ideas represented by Confucianism as a solution to solve and solve these problems. In particular, I will examine the positive and negative perceptions of intellectuals about studying abroad since the modern era, and examine what are the meaningful things to avoid and how to reconstruct the contents of traditional education in a modern way. Through this review, I will establish the principles for the modern reconstruction of the contents of the traditional education and finally discuss the parts that should be emphasized in the modern reconstruction of the contents of the traditional education and the composition of the alternative contents.

본 논문은 근대 지식인들의 '동도(東道)'에 대한 인식을 기초로 그들이 보전하고 계승하고자 한 전통교육 내용의 특징을 살펴보고, 그 가운데 현대적으로 계승할 가치가 있는 전통교육 내용을 통섭적 입장에서 선별하고 현대적 분류법으로 범주화(categorization) 하여 그에 따른 내용을 현대적으로 재구성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우선 현대교육의 문제점을 진단하고,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고 보완하기 위한 해결책으로서 유학사상으로 대표되는 전통사상이 갖고 있는 가능성을 타진해 볼 것이다. 특히 근대 이후로 유학에 대한 지식인들의 긍정적 부정적 인식을 살펴보고, 그 가운데 전통교육 내용을 현대적으로 재구성하는 데 유의미한 것들과 지양해야 할 것들이 어떤 것들인지 검토하고자 한다. 이러한 검토를 통해 최종적으로 전통교육 내용의 현대적 재구성을 위한 원칙을 세우고, 전통교육 내용을 현대적으로 재구성할 때 중점을 두어야 할 부분과 대체적인 내용구성에 대해 논의하였다. 전통교육 내용에 기반을 둔 현대적 교육 내용의 구성이 포괄해야 할 세 가지 영역은 주체성 교육, 도덕성 교육, 정치성 교육으로 구분할 수 있으며, 이를 실현하기 위한 확장의 원리, 통합의 원리, 연계의 원리를 제시할 수 있다.

Keywords

Acknowledgement

Supported by : 한국연구재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