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Study on Process of Illustrious Virtue Becoming an Issue in Horak debate (湖洛論爭) - Focused on Oiam(巍巖) Yi Gan(李柬)'s distiction between Mind(心) and temperament(氣質)

호락논쟁에서 명덕(明德)의 쟁점화 과정 연구 - 외암(巍巖) 이간(李柬)의 심(心)과 기질(氣質)의 분변(分辨)을 중심으로 -

  • 배제성 (성균관대학교 한국철학전공)
  • Received : 2017.07.10
  • Accepted : 2017.08.04
  • Published : 2017.08.15

Abstract

In late Chosen(朝鮮), the concept of illustrious virtue(明德) became an important issue of debate. However, previous studies did not focus on how the concept emerged as an issue. This paper aimed to explore the problem, and for this purpose, paid attention to Horak(湖洛) debate. Oiam(巍巖) Yi Gan(李柬), in the course of discussion with Namdang(南塘), finally argued that mind(心) clearly distinguishes from temperament(氣質). The goals of the claim were to clearly divide mind and temperament, and to emphasize mind's control of temperament. Through this, he wanted to reject the possibility of being affected by temperament in aroused state(未發). And he presented the concept of illustrious virtue as a critical evidence supporting his argument. He argued that because mind is same with illustrious virtue, it has a special status that essentially distinguished from the temperament, even if both mind and temperament are all material force(氣). This argument led to new discussion trend in the debate. it was to form a definition of the mind, based on defining the relationship between spiritual perception(虛靈知覺), temperament and illustrious virtue. The trend was reflected in the debate on 'Whether illustrious virtue is the same for everyone or varies from person to person(明德分殊)'. Through the process of analysis in this paper, we could detect a tendency that definition of mind has become an independent subject.

조선 후기 명덕 개념은 토론과 논쟁의 중요한 쟁점이 되었다. 이와 관련된 내용은 명덕주리 주기 논쟁, 명덕분수의 문제 등으로 연구되어 왔지만, 명덕이 조선 학술계의 중요한 쟁점으로 부각된 구체적인 계기나 경위에 주목한 연구는 드물다. 본 논문은 이 문제를 다루는 것을 목적으로, 호락논쟁에서 명덕이 쟁점으로 부상하고 논의된 과정을 탐구하였다. 외암 이간은 남당 한원진과의 토론 과정에서 자신의 입장을 관철하기 위해 최종적으로 심과 기질의 분변을 주장한다. 이는 심과 기질의 구분을 분명히 하고 심의 주재를 강조함으로써 미발의 때에 기질과 관련될 수 있는 가능성을 확실히 차단하기 위해서였다. 그리고 심과 기질의 분변을 정당화하기 위한 핵심적인 근거로 명덕을 제시한다. 명덕과 심을 동일시함으로써, 심이 기라는 것을 전제하면서도 기질과는 본질적으로 구분되는 심의 위상을 정립하려고 한 것이다. 이후 호락논쟁에서는 허령지각, 기질 등 심에 관련된 주요 개념과 더불어 명덕을 중요하게 고려하면서, 개념 간의 관계규정을 중심으로 심을 정의하는 새로운 담론 경향이 나타나게 되는데,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경향에 주목하여 명덕분수의 논의가 가진 특징과 의미를 검토하였다. 아울러, 심과 명덕을 중심으로 하는 진지한 담론의 과정에서 심을 규정하는 문제가 하나의 독립적인 주제로 부각되어 가는 경향을 탐지할 수 있었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