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ocial Risks of Self-Employed Women in Korea and the Legacy of East Asian Welfare Model Policy Logic

한국 여성 자영업자의 사회적 위험과 동아시아복지국가 정책 논리의 유산

  • Ahn, Jong-soon (Institute of Governmental Studies, Korea University)
  • Received : 2017.10.25
  • Accepted : 2017.12.18
  • Published : 2017.12.31

Abstract

Self-employed women are highly vulnerable to social risks like unemployment and poverty as job instability has increased in recent decades. Despite this, the Korean public policy focus has been on employees, not the self-employed. This may be closely linked to the legacy of the East Asian welfare model policy logic. Therefore, this study explores social risk levels by gender and employment status and examines the relation between social risks of self-employed women and the East Asian welfare model policy logic, through comparing-means analysis and ordered logit regression analysis using the 9th wave data of the Korea Welfare Panel Study Korea. The study yields evidence of divisions in social risk levels according to gender and employment status: that is, a gender difference, and a substantial gap between self-employed workers and regular employees. Furthermore, the findings of the study indicate that self-employed women — especially in small businesses — are more vulnerable to social risks than are self-employed men. This strongly supports the conclusion that the higher social risks of self-employed women in Korea are closely linked to the legacy of East Asian welfare model policy logic, which focuses on social protection for core workers and largely neglects women.

최근 자영업 일자리의 불안정성이 커지면서 여성 자영업자가 실업과 빈곤과 같은 사회적 위험에 노출되어 있음에도 불구하고, 한국 공공정책의 관심은 자영업자보다는 임금근로자에 집중되었다. 이는 동아시아 복지국가모델의 정책 논리의 잔재에서 그 이유를 찾을 수 있을 것이다. 본 연구는 성별과 종사상 지위별 사회적 위험 수준을 탐색해 보고, 여성 자영업자의 사회적 위험과 동아시아복지국가의 정책논리와의 연관성을 검증해 보고자, 한국복지패널자료(9차)를 사용해 평균비교분석과 순서 로짓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 본 연구는 성별과 종사상 지위별로 사회적 위험 수준에서 차이가 있음을 발견하였다. 즉, 남녀 간 그리고, 자영업자와 정규직 임금근로자 간 사회적 위험수준에 상당한 차이가 있었다. 또한, 영세 자영업자 가운데서도 특히 여성이 사회적 위험에 매우 취약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여성보다는 남성 가장을 중심으로 그리고 핵심 근로자를 위주로 사회적 보호가 이루어지는 동아시아 복지국가의 정책논리가 한국의 사회보장정책에 여전히 잔재되어 있음을 시사한다.

Keywords

Acknowledgement

Supported by : National Research Foundation of Kore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