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Comparative Study on Precarious Labor Market in Korea and Japan: Gender and Occupational Division of Precarious work

한국과 일본의 불안정노동시장 비교연구: 불안정노동의 젠더적·직업계층적 분절

  • 백승호 (가톨릭대학교 사회복지전공) ;
  • 안주영 (일본 도코하대학교 법학부) ;
  • 이승윤 (이화여자대학교 사회복지전공)
  • Received : 2017.04.04
  • Accepted : 2017.06.20
  • Published : 2017.06.30

Abstract

This study compares and analyzes precarious labor market in Korea and Japan in terms of gender and occupational class. Previous studies have analyzed precarious labor limited to the level of employment type such as non-standard workers. This study reconceptualizes precarious labor in terms of the combination of employment relations and income level. In addition. we analyzed whether there are differences in the characteristics of precarious labor between Korea and Japan. In order to analyze the labor market precariousness in Korea. we used data from the 17th Korea Labor Panel Survey (2014) and for Japan. we used the 9th (2012) data from the Keio Household Panel Survey. As a result. we could confirm the feminization of labor market precariousness and horizontal division by occupation in both Korea and Japan. Also. ordered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showed that the more women. and those in their 60s or older. the less skilled service workers. or the manufacturing workers are likely to face labor market instability in both Korea and Japan. The results of this analysis reflect the fact that Korea and Japan have experienced similar changes in the labor market structure with institutionalized employment protection system based on male workers.

본 연구는 젠더와 직업계층의 관점에서 한국과 일본의 불안정 노동시장을 비교분석한다. 기존의 연구들이 불안정 노동을 비정규직 등 고용형태 차원에 국한하여 분석하였다면 본 연구는 고용과 소득의 조합 관점에서 불안정 노동을 재개념화하여 분석하였다. 그리고 노동시장의 불안정성 연구에서 강조되어왔던 여성의 불안정성 뿐 아니라, 직업계층의 관점에서 한국과 일본이 불안정 노동의 특성에 차이가 있는지를 분석하였다. 한국 노동시장의 불안정성을 분석하기 위해 한국노동패널조사 17차(2014년)와 일본의 게이오 가계패널조사의 9차(2012년)자료를 사용하였다. 분석결과 한일 양국 모두에서 노동시장 불안정성의 여성화와 직업계층별 분할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서열로짓회귀분석 결과 여성일수록, 60대 이상일수록, 저숙련 서비스 노동자 또는 생산직 노동자일수록 한국과 일본 모두에서 노동시장 불안정성에 직면할 가능성이 높음을 확인하였다.

Keywords

Acknowledgement

Supported by : 한국연구재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