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of Internalizing Problem Behaviors of Korean Chinese'left-behind'Children in China

중국 조선족 유수아동의 내재화 문제행동에 관한 구조모형

  • 현미나 (경희대학교 대학원 행정학과) ;
  • 박지선 (우송대학교 사회복지 아동학부) ;
  • 신동면 (경희대학교 행정학과)
  • Received : 2017.01.24
  • Accepted : 2017.03.20
  • Published : 2017.03.31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actual conditions and causes of the problem behaviors of Korean Chinese'left-behind'children in China in order to propose a support system to prevent problem behaviors of them. For this purpose, a questionnaire survey was conducted on 399 children who attend at three Korean Chines schools in Yonbian in China. The questionnaire consisted of general characteristics, internalizing problem behavior, social support, self-esteem, and self-resilience. This paper analysed the survey data by employing one-way ANOVA and a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It verified if there is significant difference in internalizing problem behaviour, self-esteem, self-resilience, and social support between left-behind children's group and non left-behind children's group. It also identified a structural causal relationship and direct or indirect effects among problematic behaviour, self-esteem, self-resilience, and social support. The results of the analysis are as follows. First, there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social withdrawal and depression of internalizing problem behaviors between left-behind children's group and non left-behind children's group. Second, the left-behind children's group showed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self-resilience and social support compared to non left-behind children's group, but showed a significant difference in self-esteem. In the positive self- esteem factor, non left-behind children's group showed much higher score whereas left-behind children's group was higher in the negative self-esteem factor. Third, social support for left-behind children's group h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rect negative effect on internalizing problem behaviors, and indirectly negative effects on problem behavior through self-resilience. These results suggest the necessity of establishing a social support system for mitigating and preventing problem behaviors and the necessity of preparing measures to improve self-resilience. Based on the results of the study, we discussed how to establish a social support system in China to mitigate internalizing problem behaviors of Korean Chinese left-behind children.

본 연구는 부모들이 외지에 있는 중국 조선족 유수아동들의 문제행동 예방을 위한 지원체계 방안을 제시하고자 중국 조선족 유수아동의 문제행동 실태와 원인을 규명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중국 조선족 집거지인 연변 3개 지역 학교에서 유수아동과 비유수아동 399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설문내용은 응답자의 일반적 특성, 내재화문제행동, 사회적지지, 자아존중감, 자아탄력성으로 구성하였다. 분석방법은 첫째, 문제행동 실태를 살펴보기 위해 유수아동집단과 비유수아동 집단의 주요변수에 대한 차이검증을 실시하였고, 둘째, 유수아동의 문제행동 원인을 살펴보기 위해 문제행동, 자아존중감, 자아탄력성, 사회적지지 간 구조적 인과관계와 직간접효과를 구조방정식모델을 사용하여 검증하였다.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유수아동 집단은 비유수아동 집단과 비교하여 내재화 문제행동의 사회적 위축과 우울에서 그리고 외현화 문제행동의 비행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는데, 양부모 부재 유수아동 집단 > 한부모 부재 유수아동 집단 > 비유수아동 집단 순으로 문제행동의 평균값이 높게 나타났다. 둘째, 유수아동 집단은 비유수아동 집단과 비교하여 자아탄력성과 사회적 지지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나, 자아존중감에서 유의미한 차이를 나타냈다. 자아존중감의 긍정적 요인에서 비유수아동 집단 = 한부모 부재 유수아동 집단 > 양부모 부재 유수아동 집단 순으로 높은 점수를 보였고, 부정적 요인에서는 양부모 부재 유수아동 집단 > 한부모 부재 유수아동 집단 > 비유수아동 집단 순으로 높은 점수를 보였다. 셋째, 유수아동 집단에 대한 사회적 지지는 내재화 문제행동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직접적인 부(-)의 영향을 미치며, 동시에 자아탄력성을 통해 내재화 문제행동에 간접적인 부(-)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유수아동의 문제행동 완화 및 예방을 위한 사회적지지 체계 확립의 필요성과 자아탄력성을 높일 수 있는 방안 마련의 필요성을 시사하고 있다.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유수아동의 문제행동을 완화시키기 위한 중국의 사회적지지체계 방안 등을 논의하였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