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Relationship between Quitting Time and Subsequent Time Allocation of Full-time Workers in Korea

전일제 임금근로자의 퇴근시간과 일과 후 생활시간의 관계

  • Lee, Seungho (Department of Social Welfare, Seoul National University) ;
  • Park, Mijin (Department of Social Welfare, Seoul National University)
  • 이승호 (서울대학교 사회복지학과) ;
  • 박미진 (서울대학교 사회복지학과)
  • Received : 2017.01.16
  • Accepted : 2017.03.20
  • Published : 2017.03.31

Abstract

This study explored the relationship between quitting time and subsequent time allocation of full-time workers with young children. First, as a result of sub-group difference analysis of subsequent time allocation by quitting time, the group who finished their work early used their additional time mostly for housework and care work. And if the workers finish their work late, they decreased their housework and active leisure time first, and then supplementally reduced their care work and passive leisure time. In addition, SUR analysis showed that as the workers finish their work earlier, the proportion of housework, care work and active leisure among five activities was getting higher. Last but not least, it was verified that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quitting time and the subsequent time allocation was moderated by gender in housework, care work, and regenerative activity. This research can contribute to the development of debate on work-life balance of workers' by providing the concrete and detailed results.

일-생활 균형에 대한 사회적 인식이 확산되면서, 이른바 '저녁이 있는 삶'을 위해 근로시간을 줄여야 한다는 주장이 제기되고 있다. 기존 연구들은 장시간 근로가 생활만족도를 낮추고 특정 범주의 생활시간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보여주었지만, 퇴근시간이 가지는 특정 시점으로서의 의미에는 주목하지 못하였다. 본 연구는 통계청의 2014년 생활시간자료를 이용하여, 어린 자녀를 둔 전일제 임금근로자 집단을 대상으로, 근로자의 퇴근시간과 일과 후의 범주별 생활시간의 관계를 살펴보았다. 퇴근시간 집단별 생활시간 구성의 차이를 분석한 결과, 이른 시간에 퇴근한 집단은 추가로 확보한 생활시간의 대부분을 가사와 돌봄에 사용하였고, 퇴근이 늦어진 근로자 집단에서는 일차적으로 가사와 적극적 여가시간을 줄이고, 퇴근이 더 늦어지면 추가로 돌봄과 소극적 여가 관련 시간을 줄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회귀분석 결과에서는 퇴근이 빠를수록 일과 후 생활에서 가사와 돌봄, 적극적 여가의 비중이 증가하였지만, 시간대에 따라서 야근 후 퇴근하는 집단에서는 소극적 여가가, 정시에 퇴근하는 집단에서는 돌봄이, 이른 시간에 퇴근하는 집단에서는 가사와 적극적 여가가 근로자의 퇴근시간과 더 분명한 부적관계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퇴근시간을 앞당기는 조치는 가사와 돌봄에서의 젠더 격차 감소에 영향을 미치지만, 그 효과는 제한적이었다. 퇴근시간의 조정은 일-생활 균형의 달성에 도움이 될 수 있지만, 젠더 격차 등을 해결하기 위해서는 구조적인 제약을 줄이기 위한 노력이 병행될 필요가 있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