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The Transmission Direction and Tasks of Ssireum as a National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씨름의 국가무형문화재 전승방향 및 과제

  • Received : 2017.05.17
  • Accepted : 2017.06.21
  • Published : 2017.06.30

Abstract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suggest the transmission direction and tasks of Ssireum, and the conclusions are like below. First, Ssireum has been designated as a national intangible cultural heritage(No.131) in December 2016. Second, in the current status of preservation and spread of Ssireum, there is no system related to the transmission of Ssireum such as cultivation of professional manpower, and facilities, programs, and administration/finance for transmitting Ssireum. Third, based on the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Preservation & Promotion Act", the transmission direction of Ssireum was suggested. (1)The designation of a college to transmit Ssireum would be needed. (2)The Ssireum curriculum should be established. (3) It would be necessary to secure trainees for transmitting Ssireum. (4)The production of teaching materials for transmitting Ssireum would be needed. (5)It would be needed to secure training institutes designated in each region and also teaching personnels for transmitting Ssireum. (6)The research direction for the correct transmission of Ssireum should be set up. Fourth, based on the "Ssireum Promotion Act", the transmission direction of Ssireum was suggested. (1)It is urgent to complement provisions for transmitting Ssireum. (2)For the transmission of Ssireum, instead of the transmission direction of Ssireum as a national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in the standardized perspective, it would be necessary to seek for the joint transmission direction between South & North Korea for research & documentation of Ssireum that could be systematized/shared between South & North Korea, development/spread of contents for discovering the original form of Ssireum, and the establishment of a base of transmission system for the preservation/promotion of Ssireum through the academic/institutional exchanges regarding Ssireum between South and North Korea. Moreover, the overall and fundamental transmission measures for the education, transmission, research, record, and informatization of Ssireum, and the cultivation of professional manpower should be established. Fifth, the contents of institutional tasks for Ssireum are like following. (1)The institutional complementation of the "Ssireum Promotion Act" should be done for the domestic/foreign promotion of Ssireum. (2)For the integration of Ssireum organizations, the administrative system should be unified. (3)The standard technical system manual for Ssireum should be produced. (4)The 'Ssireum Transmission Center' should be built for the preservation and systematic transmission of Ssireum. (5)The selection of a college for transmitting Ssireum and the establishment of a system to cultivate Ssireum successors should be done. (6)It would be necessary to establish database(DB) for the use of Ssireum techniques essential for the transmission of Ssireum.

이 연구의 목적은 씨름의 전승방향과 과제를 제시하는 것이다. 이에 대한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씨름은 2016년 12월 국가무형문화재 제131호로 지정되었다. 둘째, 씨름의 보존과 보급현황에 있어서 씨름 전승과 관련된 전문인력 양성, 씨름전수시설, 씨름전수 프로그램, 씨름 전승을 위한 행 재정 등 씨름전승 관련 제도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셋째, "무형문화재 보전 및 진흥에 관한 법률"을 토대로 씨름의 전승방향을 제시하였다. (1)씨름의 전수교육대학 지정이 필요하다. (2)씨름교육과정이 신설되어야 한다. (3)씨름전수 교육생의 확보가 필요하다. (4)씨름전수를 위한 교재 제작이 필요하다. (5)씨름전수를 위한 지역별 지정 연수원 및 교수 요원의 확보가 필요하다. (6)씨름의 올바른 전승을 위한 조사방향이 설정되어야 한다. 넷째, "씨름 진흥법"을 토대로 씨름의 전승방향을 제시하였다. (1)씨름 진흥을 위한 법조문의 보완이 시급하다. (2)씨름의 전승을 위해서는 남북이 씨름에 대한 학술 및 문화재 정책 교류를 통해 획일화된 관점의 씨름의 국가무형문화재 전승방향보다는 남북한이 함께 공유하고 체계화 할 수 있는 씨름 조사 및 기록화, 씨름 원형 발굴을 위한 콘텐츠 개발 및 보급, 씨름의 보존 및 진흥을 위한 전수체계의 기반 구축 등을 위한 공동의 전승방향이 모색되어야 한다. 아울러 씨름의 교육, 전승 및 전문인력 육성 사항, 씨름의 조사, 기록 및 정보화에 대한 전반적인 기초 토대 전승 방안이 마련되어야 한다. 다섯째, 씨름의 정책과제에 대한 내용이다. (1)씨름의 국내외 진흥을 위한 "씨름 진흥법"의 법제도적 보완이 마련되어야 한다. (2)씨름 단체의 통합을 위한 행정체계 단일화 작업이 이루어져야 한다. (3)씨름의 표준기술체계 매뉴얼 제작이 이루어져야 한다. (4)씨름의 보존 및 체계적인 전수를 위해서는 '씨름전수관'을 건축해야 한다. (5)씨름전수교육대학의 선정 및 씨름전수자 양성 시스템 구축이 이루어져야 한다. (6)씨름 전승에 필수적인 씨름 기술 활용을 위한 데이터베이스(DB) 구축이 필요하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