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Idea of Jurye Shown on GyeongJeMunGam and GyeongJeMunGamByeolJip

『경제문감(經濟文鑑)·별집(別集)』에 나타난 주례(周禮) 이념

  • 김인규 (영산대학교 연계전공학부)
  • Received : 2017.11.25
  • Accepted : 2017.12.22
  • Published : 2017.12.30

Abstract

This paper is to examine philosophy of Jurye(周禮, national rituals) described on GyeongJeMunGam and GyeongJeMunGamByeolJip. As it is widely known, Sambong Jeong Do-Jeon (三峯 鄭道傳), regardless of evaluation by posterity, is definitely a figure who established 500 years of Joseon with almost everything handled by his own hands from presenting founding principle of Joseon to organizing the bureaucratic system. In the third year of King Taejo (1394) with Jurye as an ideological model for social innovation, Jeong Do-Jeon wrote Joseongyeonggukjeon and offered it to the king. Joseongyeonggukjeon is a sort of guide for new codes written by Jeong Do-Jeon as a part of defining culture and institutions of the new dynasty, which is based on Confucianism, the ruling idea of the new dynasty. GyeongJeMunGam supplements the section ChiJeon(治典: Articles for Governing) of JoSeonGyeongGukJeon(the first constitution of Joseon Dynasty) mainly to specify the duties and jobs of the prime minister; and also the duties and jobs of the highest secretaries of the kings, and provincial and county governors, whereas GyeongJeMunGamByeolJip consists of the section GunDo specifying the duties and jobs of the kings and the section Euiron additionally explaining about the kings' duties and jobs in the viewpoint of the philosophy of the Book of Change. That is, GyeongJeMunGam finely describes not only the changes, advantages and disadvantages of prime minister system of every dynasty of China and Korea but also the prime minister's duties/jobs and attitude for kings; and it also specifies the duties and jobs of the kings' highest secretaries, guards, provincial and county governors; on the other hand, GyeongJeMunGamByeolJip says that the king should play the symbolic figure setting their mind in right ways and train themselves with virtue through the idea of GunJuSuShin (君主修身: ) to point out a good and capable prime minister and make him govern the country without using their power fully.

이 논문 ""경제문감 별집"에 나타난 주례 이념"을 고찰한 글이다. 주지하다시피 삼봉(三峯) 정도전(鄭道傳)은 후세의 평가가 어떻든간에 조선의 건국이념을 제시하고 관료 체제의 정비에 이르기까지 그의 손을 거치지 않은 것이 없을 정도로 조선 왕조 500년의 기틀을 다진 인물이다. 정도전은 "주례"를 사회개혁의 이념 모델로 삼아 태조 3년(1394)에 "조선경국전"을 찬진(撰進)하였다. "조선경국전"은 정도전이 신왕조의 문물제도를 정하는 일환으로 저술한 새로운 법전(法典)의 지침서(指針書)로서, 신왕조의 지배 사상인 유교이념에 바탕을 두고 있다. 이에 비해 "경제문감"은 "조선경국전" 치전(治典)의 내용을 보완한 것으로, 주로 재상의 직책과 재상의 직무를 비롯해 대간(臺諫)과 감사(監査)는 물론 지방 수령의 직책에 대해 논했다면, "경제문감별집"은 임금의 도리를 논한 "군도(君道)"와 임금의 도리를 역철학(易哲學)의 입장에서 부연한 "의론"으로 구성되어 있다. 즉, "경제문감"이 중국과 우리나라 역대 왕조의 재상 제도의 변천과 득실(得失)은 물론 재상의 직책과 진퇴의 자세를 상세히 기술하였을 뿐만 아니라 대간(臺諫), 위병(衛兵), 감사(監司), 수령(首領)의 직책과 직무에 대해 논하고 있으며, "경제문감별집"은 군주는 절대 권력을 휘두르는 것이 아니라, 군주수신(君主修身)을 통해 마음을 바로잡고 덕을 닦아 어질고 유능한 재상을 임명해 정치하게 하는 상징적인 존재로서 기능해야 한다고 하였다.

Keywords

Acknowledgement

Supported by : 영산대학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