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 Study on the Literature of Mumingong(武愍公) Choi Young(崔瑩) in the History

무민공(武愍公) 최형(崔瑩)의 언행(言行) 기록(記錄) 속 문학(文學) 고찰 - 산문(散文) 작품(作品)을 중심으로 -

  • 이연순 (성신여자대학교 교양학부)
  • Received : 2017.11.28
  • Accepted : 2017.12.22
  • Published : 2017.12.30

Abstract

This study examined at the literature of Choi Young(崔瑩). Choi Young(崔瑩) does not have a collection. Thus I looked at the records currently remaining about the words and actions of Choi Young(崔瑩). Among them, many discovered a piece of work in the midst of History of Goryeo History(高麗史) yeoljeon(列傳). This led to a review of the whole of literature. As a result, I could find many Prose works. This enabled us to examine one aspect of his literature. Here are some of the most popular works. First, a writing that was demoted to Gyerimyun(鷄林尹) because of the slander of Shin Don(辛旽), second a pact written to suppress Cheju Island, third a letter sent to persuade the minister of Cheju Park Yoon-Cheong(朴允淸), forth a statement against the king's will to relocate the capital, fifth a message to the king expressing his willingness to fight Hongshan(鴻山), sixth a message expressing deep despondency at defeat in Ganghwado Island and a message to the king about measures to defend, seventh a loyalty remonstrance for the king Wu(禑王). The method tried in this manuscript is significant. I have reindistributed the works of Mumingong(武愍公) in the records. Based on such achievements, new emphasis can be placed on the historical assessment of the achievements of the contemporary or later writers of the literary world.

본고는 문집이 남아 있지 않지만 그 행적으로 후대에 많이 알려진 무민공(武愍公) 최형(崔瑩)의 문학에 대해 고찰하고자 시도되었다. 현재 무민공(武愍公)의 문집이 남아 있지 않고, 시조 작품 몇 수만이 그 문학으로 추정되고 있는바, 기존에 이러한 무민공(武愍公)의 문학에 대해 무민공(武愍公)을 둘러싼 설화나, 다른 문인들의 문집에 수록된 제문과 시문 등을 바탕으로, 무민공(武愍公) 주변의 연구 성과는 상당하였다. 그러나 정작 무민공(武愍公) 자신의 문학은 뒷전이 되어 왔다는 데 문제의식을 갖고. 본고에서는 현재 무민공(武愍公)의 언행(言行) 기록과 관련해 찾아볼 수 있는 자료 "고려사(高麗史)"의 세가(世家)와 열전(列傳), 그리고 "고려사절요(高麗史節要)"와 "태조실록(太祖實錄)", "동사강목(東史綱目)", "신증동국여지승람(新增東國輿地勝覽)", "연려실기술(燃藜室記述)" 등에서 무민공(武愍公)의 산문(散文)을 추출해보았다. 이로써 무민공(武愍公) 문학의 일면을 고찰할 수 있었다. 그 결과 무민공(武愍公)의 산문(散文) 작품으로, 신돈(辛旽)의 무고(誣告)로 계림윤(鷄林尹)에 좌천(左遷)되어 토로한 탄식문(歎息文), 제주(濟州) 토벌(討伐)에 나서 나주(羅州)에 당도해 쓴 맹약서(盟約書), 제주목사(濟州牧使) 박윤청(朴允淸)을 설득하려 보낸 서간문(書簡文), 천도(遷都) 반대의 뜻을 밝힌 의론문(議論文)들과, 홍산(鴻山) 전투(戰鬪)에 나서겠다는 뜻의 계문(?文), 강화도(江華道) 패북(敗北)의 참담함 표출과 그 방비(防備) 대책(對策)을 위한 계문(?文), 그리고 우왕(禑王)을 향한 진심어린 간언(諫言) 등을 무민공(武愍公)의 문학으로 새로 발견할 수 있었다. 문집이 남아 있지 않은 상황에서, 이러한 공적 기록에 들어 있는 무민공(武愍公)의 산문(散文) 작품들조차 제대로 조명 받지 못했다는 점을 고려할 때 본고의 시도는 한 의의가 있다고 여겨진다. 이러한 성과를 바탕으로 당대 또는 후대 문인들의 문집에서 무민공(武愍公)의 행적과 관련해 그 인물됨을 역사적으로 평가한 시각에 대해 새롭게 의의를 부여하는 연구가 이어질 수 있기를 기대한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