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Ilong Choehuilyang's life and poetry as warrior

일옹(逸翁) 최희량(崔希亮)의 무인(武人)의 삶과 시세계(詩世界)

  • 권혁명 (한성대학교 상상력 교양교육원)
  • Received : 2017.08.30
  • Accepted : 2017.09.23
  • Published : 2017.09.30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examine the unmanned life and poetic world of Ilong Choehuilyang. Choehuilyang is uninhabited and rarely left 227 poems and being recognized for his poetic achievements by later writers. Therefore, it would be meaningful to look at Choehuilyang's poetic world in the point of studying the unmanned poetry system. In Chapter 2, I looked at life as a base stage to understand Choehuilyang. Choehuilyang from his youth while studying at the age of 21, but turned to 武科. This is due to the gauntlet of the family who does not care about the 文武, Choehuilyang's grand physical condition and the resulting unattended temperament. Choehuilyang passed the exam in the past. And he won the war seven times under General Admiral Yi. However, when Admiral Yi Sun - shin was killed in Noryang, Choehuilyang returned to his hometown. After that, he died without going out until he was 92 years old. In Chapter 3, we examined Choehuilyang's spoetic world based on Chapter 2. Choi 's poetry can be divided into revealing the temperament of the unmanned, living peacefully in his hometown after returning home, and revealing his concern for the country. The poems revealing the unattended temperament are created by sensuous sheer or direct narrative when they are on the battlefield, when they watch the war after returning home. Peaceful life in Kangho was created in Naju, the hometown. And the poem that worried about the country was created by seeing the sick horan. I hope that the research that has been discussed so far will help to understand Choehuilyang's life and world.

본고는 일옹 최희량의 무인의 삶과 시세계를 살펴보는데 목적을 두었다. 최희량은 무인으로서는 드물게 227수의 한시를 남겼으며 후대 문인들에게 시적 성취를 인정받고 있다. 따라서 최희량 한시를 살펴보는 일은 무인(武人)의 의식세계를 밝힌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II장에서는 최희량 한시를 이해하기 위한 기저단계로서 생애를 살펴보았다. 최희량은 젊은 시절 학문을 배웠으나 21세 때 무과(武科)로 전향하였다. 이는 문무(文武)를 가리지 않는 집안의 가풍과 최희량의 장대한 신체적 조건, 그로 인한 무인적 기질에서 비롯된 것이다. 최희량은 무과에 급제한 후 이순신의 막하에서 7차례나 전공을 세운다. 하지만 이순신이 노량에서 전사하자 벼슬을 버리고 고향인 나주에 은거하여 92세로 생을 마감할 때까지 재출사하지 않았다. 이는 최희량이 당대의 현실을 난세로 인식하고 명철보신(明哲保身)했기 때문이다. III장에서는 II장을 토대로 최희량의 시세계를 살펴보았다. 최희량의 시세계는 크게 무인의 기질을 드러내는 것과 강호에서 자락하는 삶 및 우국지정을 드러내는 것들로 나눌 수 있다. 무인의 기질을 드러내는 시들은 은거 이전 전쟁에 임하거나 은거 이후 병란과 관련하여 읊은 것으로 감각적인 시어와 직설적인 화법으로 시화(詩化)되고 있었다. 강호에서 자락적인 삶을 보여주는 시는 귀거래 한 후 나주에서의 평화로운 삶을 읊은 것이며, 우국지정을 드러내는 시는 병란(丙亂)을 당하자 전직 무인으로서 나라를 근심하는 마음을 나타낸 것이다. 최희량이 현실을 벗어나 은거하면서도 우국지정을 강하게 드러낸 것은 최희량의 은거가 자의에 의한 것이 아니라 타의에 의한 것이었기 때문에 현실을 완전히 외면할 수 없었던 것이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