Fantasy and educational meaning of Sukhyangjeon - A relationship between notice of hardships and fantasy

<숙향전>의 환상성과 교육적 의의 -'고난의 예고'와 환상의 관계를 중심으로-

  • Received : 2017.01.31
  • Accepted : 2017.02.23
  • Published : 2017.02.28

Abstract

This study aimed to investigate the narrative strategy and meaning of fantasy in classic novels and to derive the educational meaning from the fantasy of Sukhyangjeon. This study selected Sukhyangjeon because is considered a suitable literary text that embodies characteristics of fantasy inherent in classical novels through its successful portrayal of the fantasy genre and its high popularity during its time. Specifically, this study observed that the "notice of hardships" which repeatedly appears in the narration of Sukhyangjeon reinforces the fantasy of the novel as it serves as an advance notice of intervention from heaven. Therefore, this study investig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notice of hardships and fantasy by focusing on Sukhyang's life. The way in which the "notice of hardships" is a form of illusion realized it evident in the plot when heaven saves Sukhyang from her hardship even though it was heaven that had granted her those forms of hardship. Firstly, the "notice from heaven" constitutes the macro structure of Sukhyangjeon. Through it, readers realize the enormous power of heaven by seeing how Sukhyang's life has been realized in accordance with heaven's notice with that, it evokes a sense of respect to heaven. In addition, heaven saves Sukhyang from different forms of danger. It enhances a miraculous feeling, which the omnipotent power of heaven shows, against the innocent appearance of Sukhyang during her times of danger. Meanwhile, when heaven notifies Sukhyang and the surrounding people of their fate and subsequently realizes it through dreams, this act creates a mysterious atmosphere and improves the probability of the narrative. If so, the narrative meaning in reinforcing the fantasy of the novel by the use of "notice of hardships" could be revealed through Sukhyang's real life. First, the hardship in which Sukhyang has gone through is so realistic and detailed that the readers' feelings of empathy are evoked with the fear of the coming hardship, wailing together, and trying to resolve the inner anxiety through Sukhyang's happiness. Second, the heavenly beings who are touched by the good behaviors of Sukhyang save her from the dangers of death. This creates the belief in readers that heaven intervenes for the good people. Third, the active attitude that Sukhyang and Leesun show in the process of marriage helps them overcome their earthly hardship and preserve their relationship in heaven. This gives readers hope that they could go to a "higher life" after going through suffering. This fantasy of Sukhyangjeon helps readers overcome their anxieties of reality through fantasy and recognizes the importance of relationships to enhance a sense of unity and solidarity with others. Because of these elements, it is expected that the fantasy of Sukhyangjeon will have a meaningful value to modern readers.

이 연구는 <숙향전>을 대상으로 고전소설에 나타난 환상의 서사 전략과 의미를 살피고, <숙향전>의 환상성이 갖는 교육적 의미를 도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대상 텍스트로 <숙향전>을 삼은 것은 <숙향전>이 환상성이 두드러지게 나타난 작품이며 당대 높은 인기를 구가했다는 점에서 고전소설에 나타나는 환상의 특성을 밝히기에 적합하다고 여겨졌기 때문이다. 특히 이 연구에서는 <숙향전>의 서사에서 반복적으로 나타나는 '고난의 예고'가 천상계의 개입을 사전에 예고함으로써 작품의 환상성을 강화한다고 보고, 숙향의 삶을 중심으로 고난의 예고와 환상의 관계를 살펴보았다. <숙향전>에서 '고난의 예고'가 환상을 실현하는 방식은 천상계가 숙향에게 고난을 부여하고 고난에서 구원하는 방식으로 나타난다. 우선 천상계의 예고는 <숙향전>의 거시 구조를 형성하며, 독자는 숙향의 삶이 천상계의 예고대로 실현되는 것을 보면서 인간의 운명을 관장하는 천상계의 거대한 힘을 깨닫고 천상계에 대한 경외심을 갖는다. 또한 천상계는 위험에 처한 숙향을 구하기도 하는데, 천상계의 전지전능한 힘은 고난의 순간에서 숙향이 보이는 순진한 모습과 대조되어 천상계의 초월적 힘이 주는 경이로운 느낌을 강화한다. 한편 천상계가 꿈을 통해 숙향과 주변 인물들에게 운명을 알리고 운명을 실현하게 하는 것은 작품에 신비한 분위기를 조성하고 서사의 개연성을 높이는 효과가 있다. '고난의 예고'를 통해서 작품의 환상성을 강화하는 것의 서사적 의미는 숙향의 현실 삶을 통해 밝힐 수 있다. 첫째, 숙향이 겪는 고난은 현실적이고 구체적이기에 독자는 숙향에 감정이입하여 다가올 고난을 두려워하고 함께 통곡하며, 숙향이 행복을 성취하는 모습을 통해 내면의 근심을 해소한다. 둘째, 숙향의 선한 행동에 감동한 천상계의 존재들이 숙향을 죽을 고비에서 구하는 것은 독자에게 선한 길을 가는 인간에게는 천상계가 함께 할 것이라는 믿음을 준다. 셋째, 숙향과 이선이 결연 과정에서 보여주는 능동적인 자세는 지상에서의 고난을 극복하고 천상계에서 그 인연을 이어가게 하며, 이는 독자에게 고난을 통해 더 상위의 삶으로 나아갈 수 있다는 희망을 준다. 이러한 <숙향전>의 환상성은 환상을 통해 현실의 불안을 극복하여 자아를 발견하게 하며, 관계 인식을 확장하여 타자와의 일체감과 연대감을 높인다는 점에서 현대 학습자에게도 유의미한 가치를 가질 것으로 기대된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