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nalysis of Image of Meister High School Students by Industrial HR Managers

마이스터고 학생에 대한 산업체 HR 담당자의 이미지 분석

  • Received : 2017.01.24
  • Accepted : 2017.04.26
  • Published : 2017.04.30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basic data for the development of school education and employment policy by analyzing the differences between image of meister high school students anticipated by industrial HR managers and image actually perceived. For this, semantic differential method developed by Osgood (1957) was selected as the study tool. To find out images of meister high school students, validity of 50 adjectives suggested by Osgood and 21 additional adjectives used in previous studies was reviewed by 10 experts. Final 20 adjectives were selected by excluding adjectives that fail to satisfy validity of contents. Proportional sampling in metropolitan and non-metropolitan areas was done to select 350 final survey samples. A total of 600 surveys were distributed and 230 were returned. Return rate was 38.3%.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image of meister high school students anticipated by industrial HR managers showed average score of 2.49, which indicates a positive image. In addition, factor analysis was performed to classify adjectives into groups, and they were divided into three factors including external factor, way of thinking factor, and internal (personality) factor. Second, image of meister high school students currently perceived by industrial HR managers showed average score of 3.24, which indicates a positive image. Third, image of meister high school students currently perceived by industrial HR managers was not as positive as image they anticipate.

이 연구는 산업체 HR 담당자가 기대하는 마이스터고 학생 이미지와 현재 인식하는 이미지의 차이를 분석하여, 학교 교육과 취업 정책 발전 방안에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이를 위하여, Osgood(1957)이 개발한 의미 분별법을 조사도구로 선정하였으며, 마이스터고 학생에 관한 이미지를 조사하기 위해 Osgood이 제안한 50개의 형용사군과 선행연구들이 추가로 사용한 21개의 형용사군 중 전문가 10명의 타당도 검사를 거쳐 내용타당도 값을 충족시키지 못하는 형용사를 제외하고 최종 20개의 형용사를 선정하였다. 완성된 설문지를 광역권, 비 광역권으로 비율표집을 통하여 최종 표본 350개를 선정하였으며, 총 600개의 설문지를 발송하여 230개의 설문지를 회수하였다. 회수율은 38.3%로 나타났다.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산업체 HR 담당자가 기대하는 마이스터고 학생의 이미지는 평균 2.49로 나타나 긍정적인 이미지를 기대한다고 할 수 있다. 또한 형용사를 그룹화 하기 위하여 요인분석을 한 결과 3개의 요인인 외면적 요인, 사고방식 요인, 내면적 요인으로 도출되었다. 둘째, 산업체 HR 담당자가 현재 인식하는 마이스터고 학생의 이미지는 평균 3.24로 나타나 긍정적인 이미지로 마이스터고 학생을 인식한다고 할 수 있다. 셋째, 산업체 HR 담당자가 현재 인식하는 마이스터고 학생 이미지는 기대하는 마이스터고 학생 이미지에 미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Keywords

Acknowledgement

Supported by : 충남대학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