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n Analysis on the Suicide Concept, its Religious Circuit and Construction Way: Focused on the cases of the Korean Catholic and Protestant Churches

자살 관념의 종교적 회로와 구성 방식에 관한 분석: 한국 가톨릭교회와 개신교를 중심으로

  • Received : 2017.01.15
  • Accepted : 2017.03.03
  • Published : 2017.03.31

Abstract

This paper analyzes the religious circuit of suicidal concept based on verbal expression and ritual acts, which are found in the suicide discourse of Korean Catholic Church and Protestant Church. In the relationship of suicide and religion, it is easily overlooked the religious circuit and its construction that forms the concept of suicide among the religious laymen. It is assumed that the belief system of traditional religions prohibits suicide and the laymen accordingly construct a perception or concept of suicide along with this belief system. Various studies on this subject have proved it. However, in order to understand the religious way of constructing the concept of suicide on a personal level, it is necessary to pay attention to the religious environment in which the concepts and emotions of suicide circulate. The laymen do not passively and perfectly accept the finely established suicide concept provided by the doctrine or the theology. Rather, the laymen tend to collect the pieces of concept over the suicide that are drifting in the religious environment of his/her daily routine life and to make an concept of suicide in an incomplete form. We can find the unstable and imperfect traits of such a suicide concept through the experience of suicide survivors who have a religious background. For the suicide survivors with religious beliefs, they resist the formal doctrinal and theological provisions to suicide, or try to understand the notion of suicide in their own contexts. In terms of linguistic expressions and ritual acts relating to suicide, the attentions are differently directed in the public and the private domain among the religious groups. Considering on the high rates of suicide in Korean society, the Korean Catholic Churches are increasingly tolerant over the suicide and accept it in the public sphere. It is unlikely when comparing to the negative attitudes of the suicide in the past. However, such tolerance does not go beyond the doctrinal and ethical judgment that defines suicide as a serious sin. The once-committed lay believer's speech and gestures usually contain the various emotions, such as sadness, grief, anxiety, regretfulness, eagerness, and pain in the private spheres. The language and gestures with these emotions have been activated in the religious circuits of suicide, being extended to the religious apparatus for the person who died of suicide. In case of Protestantism, the institutional organizations, such as the particular denominations and the individual-churchism of the Korean Protestant Churches, and their own interpretations of the Bible have in the private sphere strongly effected on the linguistic expressions and the rituals related to the suicide. The religious-ethical judgment of the suicide is varied how the suicide is interpreted by the theologians and the pastors. And the ritual acts for healing the complex feelings and the psychological wounds of the suicide survivors are not actively explored and adopted yet. It makes harder to approach and heal the protestant followers since they emphasize the innermost belief and the salvation assurance faith.

본고는 한국 가톨릭교회와 개신교의 자살 담론에서 살필 수 있는 언어적 표현과 의례적 행위를 중심으로 자살 관념의 종교적 회로를 분석한다. 자살과 종교의 상관성을 다루는 연구들에서 쉽게 간과되고 있는 부분은 일반 종교인의 자살 관념을 형성하는 종교적 회로와 그 구성 방식이다. 전통 종교들이 자살을 금지하는 믿음 체계를 가지고 있고, 소속된 구성원들은 그러한 믿음체계에 따라 자살에 대한 인식 혹은 관념을 형성하게 된다는 기본 전제는 자살률과 (종교)집단의 상관성을 밝히려는 연구에서 많이 발견된다. 그러나 사적인 차원에서 자살 관념의 종교적 구성 방식을 이해하려면 자살 관념과 정서가 유통되는 종교적 환경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 왜냐하면 일반 신자는 교리나 신학에의해 완벽하게 정의된 자살 관념을 수동적이고 온전하게 수용해서 자신의 것으로 삼지않기 때문이다. 오히려 일반 신자는 종교적 환경에서 떠도는 자살과 관련된 여러 관념의 조각들을 '자신의 삶의 맥락' 속에서 모으고 미완의 형태로 자살 관념을 지니는 경향을 보인다. 그러한 자살 관념의 불안정하고 미완결적인 특성은 자살에 의한 상실의 경험을 겪을 때 확연하게 드러난다. 종교적 믿음을 지닌 자살생존자의 경우에는 교리나 신학에 의해 제시되는 자살의 공식적 규정에 저항하거나 또는 자기의 맥락 속에서 자살 관념을 이해하고자 노력한다. 자살과 관련한 언어적 표현과 의례적 행위를 놓고 볼 때 공적인 영역과 사적인 영역에서 관심의 초점이 다르게 놓여 있음이 발견된다. 가톨릭교회의 경우, 공적 영역에서 가톨릭교회는 한국 사회의 높은 자살률을 고려해서 자살과 자살자에 대한 과거의 부정적인 태도에서 점차 관용적인 태도를 취하지만, 그러한 관용은 자살을 대죄로 규정하는 교리적 윤리적 판단을 넘어서지는 않는다. 이에비해 사적 영역에서 나타나는 신자의 언술과 몸짓에는 간절함, 안타까움, 근심, 불안, 고통 등의 감정이 담겨 있다. 이러한 감정의 언어와 몸짓은 종교적 환경에서 자살자를 위한 종교적 장치를 향해 뻗어가면서 자살의 종교적 회로를 가톨릭교회 내에서 활성화시키고 있다. 개신교의 경우, 한국 개신교에서는 교파주의 및 개교회주의의 제도적 특징과 ${\ll}$바이블${\gg}$에 치중된 해석 기반이 사적 영역에서의 자살의 언어적 표현과 의례 행위에 큰 영향을 주고 있음이 나타난다. 자살에 대한 종교적-윤리적 판단은 신학자나 목회자 개인의 해석에 따라서 상이하게 제시되며, 내면의 신앙과 구원의 확신을 강조하는 개신교의 정서에서 자살 생존자가 감당해야할 복잡한 감정과 심리적 상처를 치유할 수 있는 의례 행위는 크게 활성화되지는 않은 것으로 나타난다.

Keywords

Acknowledgement

Supported by : 한국연구재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