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haracteristics of Playscript and Gramophone Record Reviewed through Theatrical Activities of Packaging Troupe Around the 1950s

1950년대 전후 포장극단의 연희활동으로 본 대본의 특성과 유성기음반

  • Received : 2017.06.30
  • Accepted : 2017.08.05
  • Published : 2017.08.30

Abstract

This study was conducted through the typological analysis of theatrical activities and playscript of Packaging Troupe, which was a wandering theater troupe. It seems the activities of the packaging troupe were very active about in the 1950s. They approached to the public with various repertoires and gained popularity during the process. The playscript used in their plays can be divided into several types such as Yi dynasty drama, historical drama and modern drama and their titles are almost same as or similar to those used in Changgeuk troupe (classical opera), Female Gukgeuk troupe (Female classical opera), or Female Nongak troupe (Female farm musical band). Also, as themes, subject matters, and characters were partially same, the characteristics of previous theatrical activities could be reviewed through the playscript of packaging troupe. Also, the characteristics of the playscript of packaging troupe can be found in the list of gramophone record. The changes in popular culture can be examined in the flow of plays with various forms such as theater, film, and gramophone through the comparison between the characteristics of playscript types of packaging troupe around in the 1950s and the list of gramophone record. A typological analysis of playscript of packaging troupe confirmed the activities of packaging troupe lasted around in the 1950s. Also it can be inferred from Hyeopryulsa, Changgeuk troupe, Female Gukgeuk troupe, or Female Nongak troupe, which used traditional subject matters as repertoire of performance. Those were possible because repertoires were composed and contents changed according to the needs of the public. The changes can be also confirmed through the list inserted in the gramophone record. The association can be inferred through the same title as that of the playscript of packaging troupe and similarity of performance curtains and subject matters. As such, the interest and flow of popular culture can be examined through the types of playscript of theatrical activities of packaging troupe.

본 연구는 유랑연희단체였던 포장극단의 연희활동과 그 과정에서 사용하였던 대본의 유형분석을 통해 이루어졌다. 포장극단의 활동은 1950년 대 전후를 기점으로 활발히 전개되었던 것으로 보인다. 이들은 여러 레퍼토리로 대중에게 다가갔으며, 그 과정에서 연극을 통해 인기를 얻었다. 이 연극에 사용되었던 대본의 유형을 이조극, 사극, 현대극 등 몇 가지로 나누어 볼 수 있는데 그 제목은 이전의 창극단과 여성국극단, 여성농악단에서 사용하였던 대본의 제목이 같거나 유사성을 보였다. 또한 대본의 주제와 소재, 등장인물이 일부 일치하는 등, 포장극단의 대본을 통해 이전의 연희활동을 살펴볼 수 있는 특성을 발견하였다. 또한 이러한 포장극단 대본의 특성이 유성기음반 목록에서도 그 특성을 찾아볼 수 있다. 이러한 1950년 대 전후의 포장극단의 대본의 유형에 나타난 특성과 유성기음반 목록 비교를 통해 극장과 영화, 유성기음반 등으로 다양한 형태의 흐름 속에서 대중문화의 변화상을 살펴볼 수 있다. 포장극단의 대본의 유형분석으로 이들의 활동이 1950년대 전후를 통해 이어져 온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전통적 소재를 공연에 레포토리로 구성하였던 협률사나 창극, 여성국극, 여성농악단을 통해 유추해 볼 수 있다. 이러한 것들은 점차적으로 대중의 요구에 따라 레포토리가 구성되고 내용이 변화하였기에 가능하였다. 이러한 변화를 유성기 음반에 삽입된 목록들을 통해서도 확인할 수 있다. 이전의 포장극 대본과 제목의 동일, 공연막, 소재의 유사점 등으로 연관성을 추측해볼 수 있다. 이러한 과정 속에서 포장극단의 연희활동 대본의 유형 속에서 대중문화의 관심과 흐름을 살펴볼 수 있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