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Path Analysis of Action Planning and Physical Activity that affect the Depression in the Aged in Community

지역사회 노인의 우울에 영향을 미치는 행동계획과 신체활동의 경로분석

  • Hwang, Hwan (Dept. of Social Welfare, Chung-Ang University)
  • 황환 (중앙대학교 사회복지학과)
  • Received : 2017.05.30
  • Accepted : 2017.08.07
  • Published : 2017.08.30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path model consisted of action planning, physical activity, and depression in order to obtain an enhanced understanding of their relationship and to support the aged with depression in community. In order to achieve this, precedent study was reviewed and the program with physical activity and action planning was executed. the data of a investigation of action planning, physical activity, and depression of the aged participated in the program which was consisted of physical activity with Action Planning was used and 116 cases were analyzed. The data analysis was done by descriptive statistics, correlation analysis, and path analysis.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the path model was accepted. Second, the direct path of action planning to physical activity was significant. Third, the direct path of both action planning and physical activity to depression were significant. Fourth, the effect size of action planning to depression was more than that of physical activity. Fifth, the indirect path of action planning to depression through physical activity was significant. On the basis of these results, this suggests a need to add action planning on national physical activity plan, establish the delivery system for physical activity program with action planning in mental health center in community, and applicate narrative approach skills for qualitative improvement of action planning.

본 연구의 목적은 지역사회 노인의 행동계획, 신체활동, 우울로 구성된 경로모형을 분석하여 그 관계에 대한 이해를 증진시키고, 지역사회 노인의 우울관리를 위한 행동계획과 신체활동의 활용에 대해 제안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선행연구를 고찰하고 신체활동 프로그램을 실시하여 참여노인의 행동계획, 신체활동, 우울 간 관계를 경로모형으로 설정하였다. 수도권 지역의 5개 복지관을 이용하면서 우울증상을 호소하는 노인 116명을 대상으로 행동계획이 포함된 신체활동 프로그램을 실시하고 설정된 경로모형을 검증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설정된 경로모형은 실제 자료에 부합한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행동계획이 증가할수록 신체활동도 증가하였다. 셋째, 행동계획이 사후우울에 부적 영향을 미쳤다. 넷째, 신체활동이 사후우울에 부적인 영향을 미쳤다. 다섯째, 행동계획이 사후우울에 대해 신체활동보다 상대적으로 더 큰 영향을 미쳤고, 우울과 행동계획과의 관계에서 신체활동이 매개효과를 나타냄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국가적 차원의 신체활동증진전략에 행동계획 지침의 포함, 지역사회 정신보건 관련 기관에 행동계획을 포함한 신체활동 프로그램의 보급과 전달체계 구축, 행동계획 수행의 질적 향상을 위한 내러티브 접근의 활용 등을 제언하였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