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orrelation of Unmet Healthcare Needs and Employment Status for a Population over 65 Years of Age

65세 이상 인구의 고용형태와 의료요구 미충족 경험률의 관련성

  • Kang, Jeong-Hee (Department of Nursing, U1 University) ;
  • Kim, Chul-Woung (Department of Preventive Medicine, School of Medicine, Chungnam National University, Research Institute for Medical Sciences) ;
  • Seo, Nam-Kyu (National Health Insurance Service/Health Insurance Policy Research Institute)
  • 강정희 (유원대학교 간호학과) ;
  • 김철웅 (충남대학교 의과대학 예방의학교실, 의학연구소) ;
  • 서남규 (국민건강보험공단 건강보험정책연구원 의료비연구센터)
  • Received : 2016.09.17
  • Accepted : 2017.02.11
  • Published : 2017.05.30

Abstract

The present study aimed to investigate the rate of unmet healthcare needs for elderly over the age of 65 years, as well as analyze the relevance between employment status and unmet healthcare needs due to financial reasons. With regard to the study method, a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was performed to investigate the correlation between employment status and unmet healthcare needs due to financial reasons, targeting 5,528 subjects over the age of 65 years. The results showed that the rate of unmet healthcare needs was 18.9%, in which the rate of unmet healthcare needs due to financial reason was 8.1%. The rate of unmet health needs was higher for temporary workers(ORs=1.75) than for retirement workers. However, the rate of unmet healthcare needs caused by financial reasons was higher among day workers(ORs=1.92). In conclusion, in order to prevent unmet healthcare needs for senior Korean patients, it is necessary to not only improve the income security system for the elderly, but also improve the occupational form and level of income of these economically active citizens, considering the increase in average life expectancy. Moreover, it is also necessary to reinforce health insurance coverage systems for settling medical expenses.

본 연구의 목적은 한국의 65세 이상 노인의 의료요구 미충족 경험률을 알아보고, 고용형태와 의료요구 미충족 경험률 및 경제적 이유로 인한 의료요구 미충족 경험률의 관련성을 분석하는 것이다. 연구방법은 2013년 한국의료패널자료를 이용하여 65세 이상인구 5,528명을 대상으로 고용형태에 따른 의료요구 미충족 경험률과 경제적 이유로 인한 의료요구 미충족 경험률의 관련성을 알아보기 위해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65세 이상 노인의 의료요구 미충족 경험률은 18.9%로 유렵연합국 노인인구집단보다 의료요구 미충족 경험률이 2-3배 높았다. 그리고, 의료요구 미충족을 경험한 노인 중 의료요구 미충족을 경험한 이유가 경제적 이유라고 응답한 노인은 42.8%였으므로 경제적 이유로 인한 의료요구 미충족 경험률은 8.1%이다. 임시직으로 경제활동을 하는 노인은 은퇴로 경제활동을 하지 않는 노인보다 의료요구 미충족 경험률이 높았고(ORs=1.75), 일용직으로 경제활동을 하는 노인은 경제적 이유로 인한 의료요구 미충족 경험률이 높았다(ORs=1.92). 경제활동 상태에 따른 의료요구 미충족 경험률의 차이는 '질병과 손상'을 가진 노인을 제외하고는 종사상의 지위에 따른 차이가 크지 않았다. 의료요구 미충족 경험 이유가 높은 의료비 부담이라고 응답한 경우에도 경제활동 상태에 따른 의료요구 미충족 경험률의 차이는 '질병과 손상'을 가진 노인을 제외하고는 종사상 지위에 따른 차이가 크지 않았다. 다만, 경제활동자 중에서는 '일용직' 노인의 경제적 이유로 의료요구 미충족 경험률이 가장 높았다. 또한, 소득이 적을수록 의료요구 미충족을 경험할 가능성이 높았다. 결론적으로 한국 노인의 의료요구 미충족을 해결하기 위해서는 노후소득보장제도의 개선뿐만 아니라 평균수명 증가에 따른 경제활동에 참여하는 노인의 일자리 형태 및 임금수준에 대한 개선방안이 필요할 것으로 보이며, 더불어 의료비를 해결할 수 있는 건강보험의 보장성이 강화되어야 할 것으로 보인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