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rospect and direction of Changgeuk for Young People - Focused on by National Changgeuk Company of Korea -

청소년 창극의 가능성과 방향 - 국립창극단의 <내 이름은 오동구>를 중심으로 -

  • Received : 2016.12.31
  • Accepted : 2017.02.05
  • Published : 2017.02.28

Abstract

Theatre for young people which have been barely survived after 1990's are attracting new attention because the systemic production of Theatre for young people by establishment of theatre for young people institute in national theatre company has affected and the influence of adolescent on society has been increasing. It brought the phenomenon that theatre for young people becomes young writers' first work. The national chaggeuk company of Korea firstly showed the work which can be described as theatre for young people in 2013. It seems to be meaningful to examine how the critical mind of theatre for young people is expressed in changgeuk because its writer and director are all experts on theatre for young people and theatre for young people takes a part among vigorous experiments of changgeuk. This study starts with the premise that it is necessary to examine the meaning and the direction because it's the first theatre for young people. It can have positive review because it highlights the present meaning of tradition which channgeuk has by contemporary questioning and it keeps the identity of channgeuk by making it focused on rhythm despite various musical attempts. However, it seems to be solved that it weakened the possibility of voluntary playgoing by putting distance to audience with emphasis of dramatic aspect and curtail of commentary. As the way to solve this problem, it is suggested to be an effective strategy to set the goal direction and repeat various description.

1990년대 이후 명맥이 끊겼다고도 할 수 있는 청소년극이 2010년대 들어와서 새롭게 조명되고 있다. 2011년 국립극단 어린이청소년구연구소의 설립으로 체계적인 제작 방식아래 청소년극이 만들어졌고 사회적으로도 청소년이 우리사회 전체에 미치는 영향이 커졌기 때문이다. 이에 젊은 작가들의 등단 작품이 청소년극이 되는 현상이 발생하기도 하였다. 국립창극단의 경우에도 2013년 <내 이름은 오동구>라는 작품을 통해 청소년창극이라고 이름 붙일 수 있는 작품을 처음 선보였다. 이 작품의 작가와 연출이 모두 청소년극 전문가들이기에 창극에서는 어떤 방식으로 청소년극의 문제의식이 표현되었는지 살펴보는 것은 의미 있을 것으로 보인다. 창극의 활발한 실험 가운데 청소년극에 대한 영역도 한 부분을 차지하기 때문이다. 이 논문은 <내 이름은 오동구>가 첫 번째 청소년 창극이니 만큼 그 의미를 살펴보고 방향성을 검토하는 일이 필요하다는 취지에서 시작되었다. 동시대적 질문을 통해 창극이 지니는 전통성의 현재적 의미를 부각하려 한 점, 다양한 음악적 시도를 했지만 장단 위주의 작창으로 창극의 정체성을 유지하려 한 점 등은 긍정적으로 평가할 수 있다. 다만 도창을 줄이고 연극적인 측면을 부각하면서 발생한 서사적인 빈틈이 관객이 거리두기를 하면서 주체적으로 관극할 수 있는 기회를 약화시킨 부분은 해결해야 할 과제로 보인다.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방법으로 목표 방향을 정해 놓고 다양한 서사를 반복하는 방식이 창극에서 효과적인 전략일 수 있음을 제안했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