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Study on Police Officers' Awareness Of Counter-Terrorism - Focused on the Comprehensive Emergency Management Model -

경찰공무원의 대테러리즘 인식에 관한 연구 - Comprehensive Emergency Management Model을 중심으로-

  • 주성빈 (동의대학교 소방방재행정학과)
  • Received : 2017.09.16
  • Accepted : 2017.09.25
  • Published : 2017.09.30

Abstract

Terrorism is a serious problem in that it can infringe on a broad range of legal interests, from individual legal interests to national legal interests. And if these legal values are damaged, it is very unlikely that they will be restored to their original state.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recognize the importance of preventive activities as well as institutional improvement and alternative policies. The role of the criminal justice authority is of paramount importance in ensuring proactive action and procedural legitimacy. It would be meaningful to look at their perception about terrorism before specific procedures and legal approaches are taken. A Study is related terrorism awareness of police officers - focused on 'Comprehensive Emergency Management Model'. Four phases of Comprehensive Emergency Management Model: mitigation, preparedness, response, and recovery.

테러리즘은 개인적 법익에서부터 국가적 법익에 이르기까지 포괄적인 법익의 침해가 가능하다는 점에 있어 그 심각성이 크다. 그리고 이러한 법적 가치가 훼손될 경우에는 원상회복될 가능성이 매우 희박하므로 제도적 개선 및 대안적 정책을 제시하는 것 못지 않게 사전 예방적 활동의 중요성을 인식하는 것이 선행되어야 한다. 사전 예방적 작용과 절차적 합법성을 담보하기 위해서는 형사사법기관의 역할이 무엇보다 중요한데 구체적 절차 및 법적 접근이 이루어지기 전에 이들의 테러리즘 본질에 대한 인식은 어떠한지 살펴보는 것은 의미가 있을 것이다. 이 연구에서는 이러한 문제 인식을 바탕으로, 대테러리즘 인식을 살펴보기 위한 다양한 기준 중 포괄적 위기관리 모형(Comprehensive Emergency Management Model)에서 제시하고 있는 위기발생의 시차별 진행과정을 기준으로 예방과 완화, 준비, 대응, 복구 등 4단계로 분류하여 인식의 차이를 분석해 보고자 하였다.

Keywords

References

  1. 국가법령정보센터(www.law.go.kr), 2017년 8월 20일 검색.
  2. 이대성.주성빈, In Search of Deterrence Strategyagainst Cyber Terrorism to Strengthen the NationalSecurity, 한국위기관리논집, 12(9): 129-142, 2016.
  3. 최진혁, 기업 위기관리(Crisis Management) 전략에 관한 연구 -해외 Pandemic Planning 사례를 중심으로-, 기업경영연구, 제36권, 2010.
  4. Starbuck, W. & Hedberg, B. Saving an organizationfrom a stagnating environment. In H. Thorelli (ed.),Strategy + Structure = Performance, Bloomington,IN: Indiana University Press, 1977
  5. Hermann, C.Some consequences of crisis which limit the viabilityof organizations. Administrative Science Quarterly, 8,1963
  6. 최진혁, 기업 위기관리(Crisis Management) 전략에 관한 연구 -해외 Pandemic Planning 사례를 중심으로-, 기업경영연구, 제36권, 2010
  7. Pauchant,T. C. &Mitroff, I. I. Transforming the crisis-proneorganization: Preventing individual, organizational,and environmental tragedies. San Francisco, CA:Jossey-Bass, 1992;
  8. 윤병준, 재난과 위기관리 해설, 한국학술정보, 2007.
  9. 조영갑, 이라크전쟁이 한반도에 미치는 영향, 군사,제50호, 2003.
  10. Henderson, J. C. Case Study: Managing ahealth-related crisis: SARS in Singapore, Journal ofVacation Marketing, 10(1), 2003a
  11. Communicating ina crisis: flight SQ 006, Tourism Management, 24(3),2003b.
  12. 경찰청.'테러' 위기대응 (지원) 실무매뉴얼, 서울: 경찰청, 2005.
  13. Littlejohn, Robert F. Crisis Management: A TeamApproach, AMA Membership Publications Division,American Management Associations, 1983
  14. 주현식,국내 컨벤션산업 위기관리의 전략적 접근에 관한연구, 호텔경영학연구, 제15권 제1호, 2006
  15. Pauchant, T. C. and I. Mitroff. Transforming theCrisis-Prone Organization: Preventing Individual,Organizational and Environmental Tragedies, SanFrancisco, Jossey-Bass, 1992.
  16. Petak, W. Emergency Management: A Challenge forPublic Administration. Public Administration Review.45(Special Issue), 1985
  17. McLoughlin, D. AFramework for Integrated Emergency Management.Public Administration Review. 45, 1985
  18. Waugh, W.Regional Emergency Management: Countries as Stateand Local Government. Public AdministrationReview. 54(3), 1994
  19. 이재은, 국가위기관리의 학문적 체계화의 의의와 필요성, Crisisonomy, 제1권 제1호, 2005: 29-30
  20. 이대성, 경찰관의 대테러 위기관리 인식에 관한 연구, 한국경찰연구, 제8권 제3호, 2009.
  21. McLoughlin, D. A Framework for IntegratedEmergency Management. Public AdministrationReview. 45, 1985
  22. Petak, W. EmergencyManagement: A Challenge for Public Administration.Public Administration Review. 45(Special Issue),1985
  23. 박동균. 위기관리에 대한 일선 경찰관들의 인식분석을 통한 정책대안 모색, 한국공안행정학회보, 제19호. 2005
  24. 배대식. 위기관리관점에서 대학의 안전관리 법제 방안,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8권 제4호, 2008
  25. 배철효. 민간경비 종사자들의 위기관리에 대한 인식분석. '한국행정학회 2005년도 하계공동학술대회 발표논문', 2005.
  26. 이진규. 위기관리조직의 구조적․행태론적 특성 연구, 국민안전처 연구용역 보고서, 2008.
  27. McLoughlin, D. A Framework for IntegratedEmergency Management. Public AdministrationReview. 45, 1985.
  28. 이종열. 국가 위기관리 시스템 구축 방안, 한국연구재단 연구보고서, 2004.
  29. 여수광양항만공사, 여수.광양항에서 발생할 수 있는 주요 재난유형별 위기대응 매뉴얼, 2014.
  30. 김영수․조석주. 국가재난 대비 행정체제의 구축 방안, 서울: 한국지방행정연구원, 1993
  31. 박동균․이재호. 중국정부의 위기관리 대응과정 분석과 정책적 시사점, 한국동북아논총. 제29집. 2003
  32. 연합뉴스(www.yonhapnews.co.kr), 2016년 1월 20일 기사.
  33. 이선기, 국제회의 행사의 안전활동 발전방안에 관한 연구, 한국공안행정학회보, 제26권, 2007
  34. 이창용, 뉴테러리즘과 국가위기관리, 서울: 대영문화사, 2007
  35. 이대성. 오현득. 여호근, 스포츠이벤트의 대테러 위기관리에 관한 연구 -경찰, 소방, 군 조직비교를 중심으로-, 스포츠와 법, 제13권 제1호, 2010
  36. 이대성, 한국의 테러에 대한 인식과 대응방안에 관한 연구, 동국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0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