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북한 제1중학교 영어교과서 분석

Analysis of the English Textbooks in North Korean First Middle School

  • 황서연 (서울미동초등학교) ;
  • 김정렬 (한국교원대학교 초등교육과)
  • 투고 : 2017.08.01
  • 심사 : 2017.08.30
  • 발행 : 2017.11.28

초록

본 연구는 북한의 수재양성 기관인 제1중학교의 영어교과서를 코퍼스로 구축한 후, 이를 분석하여 언어적 특징을 파악한 연구이다. 그동안 북한의 일반중학교의 영어교과서의 특징들을 파악한 연구는 많았지만, 북한의 수재교육기관인 제1중학교 영어교과서에 대한 연구는 부족했다. 이를 위하여 북한자료센터에서 입수한 제1중학교 1학년, 2학년, 4학년, 6학년 영어 교과서 구성 체계를 살펴보고, 코퍼스를 구축한 후, 워드스미스 툴스 7.0을 활용하여 제1중학교 영어 교과서의 언어적인 특징과 고빈도 내용어를 분석하였다. 기본적인 통계 정보를 살펴본 결과, 학년의 위계에 따라 어휘 수가 증가하지는 않았으나 어휘다양성은 고학년으로 갈수록 순차적으로 높아지는 경향성이 발견되었다. 한편 학년별 고빈도 내용어의 분포를 살펴본 결과, 각 학년별 교과서에 수록된 지문의 주제에 따라 학년별로 큰 차이를 보였다.

For the purposes of this research, a corpus of words was created from the English textbooks of the "First Middle School" for the gifted in North Korea, and using the corpus, their linguistic characteristics were analyzed. Although there have been many studies that identified the traits of English textbooks in the North Korea's general middle school, not much focus has been placed on the English textbooks used at North Korea's First Middle School. Initially, the structure of English textbooks of the first, second, fourth, and sixth grades that had been procured from the Information Center on North Korea was reviewed, after which their corpus was created. Then, by using Wordsmith Tools 7.0, linguistic properties and high frequency content words appeared in the English textbook of the first grade were analyzed specifically. Basic statistical data gathered indicated that while the number of vocabulary did not increase as students progress through the grades, the words used tended to diversify incrementally. In the mean time, a distribution of the high frequency content words by grade illustrated that a big difference was found between the content words used in the English texts of each grade, and it was a subject matter of the texts that determined such difference.

키워드

참고문헌

  1. 통일부, 2017 통일백서, 통일부, 2017.
  2. http://imnews.imbc.com/replay/2017/nw1200/article/4358904_21376.html.
  3. 정새론, 임현우, "북한이탈주민의 관점에서 본 남북한에서의 영어학습," 중등교육연구, 제57권, 제3호, pp.85-111, 2009.
  4. 조정아, 이교덕, 강호제, 정채관, 김정은 시대 북한의 교육정책, 교육과정, 교과서, 통일연구원 연구총서, 통일연구원, 2015.
  5. 김남식, "북한의 교육제도: 북한영어교육 실태," 북한, 제282호, pp.178-187, 1995.
  6. 이소영, "북한의 영어교과서 연구에 대한 비판적 개관:1994년부터 2013년까지의 내연구를 중심으로," 외국학연구, 제28호, pp.83-109, 2014.
  7. 통일부, 2017 북한이해, 통일부, 2017.
  8. 박찬석, "2010년대 북한 소학교 교육의 전개와 특징에 대한 연구," 윤리연구, 제88호, pp.273-299, 2012.
  9. 조정아, "교육에서의 실리주의와 교육의 불균등 발전: 2000년대 북한 교육의 변화," 교육사회학연구, 제17권, 제4호, pp.109-131, 2007.
  10. 배제이, 북한 영어교육 연구 : 2000년대의 변화를 중심으로, 북한대학원대학교, 국내박사학위논문, 2015.
  11. 송은경, "강성대국건설의 요구에 맞는 수재교육 체계가 마련되기까지," 교원선전수첩, 제3호, pp.23-24, 2011.
  12. 정채관, 민호기, 박용효, 김소연, 북한이탈고등학생 영어학습 실태조사 및 지원방안 탐색, 연구보고 RRI 2014-6, 한국교육과정평가원, 2014.
  13. 김지영, 이제영, 김정렬, "북한 영어 교과서 어휘의 통시적 분석," 한국컨텐츠학회논문지, 제17권, 제4호, pp.332-341, 2017.
  14. 박약우, 김진철, 고경석, 박기화, 정국진, "남북한 중등학교 영어과 교과서 비교분석 연구," 한국외국어교육학회, 제7권, 제2호, pp.163-194, 2000.
  15. 이성철, 북한 영어교과서 내용에 관한 연구 : 고등중학교 6학년 중심으로, 인천대학교 교육대학원, 국내석사학위논문, 2004.
  16. 이루지, 통일을 대비한 남북한 영어교과서 비교.분석, 서강대학교 교육대학원, 국내석사학위논문, 2007.
  17. 이율희, 북한 일반 고등중학교와 영재 중등학교 영어 교과서의 문화 내용 비교 분석, 서강대학교 교육대학원, 국내석사학위논문, 2015.
  18. 유명근, 북한 중학교 전학년 영어교과서 지문연구 : 서구문화항목을 중심으로, 아주대학교 교육대학원, 국내석사학위논문, 2004.
  19. 박약우, "남북한 중등영어 교과서의 어휘 비교분석 연구," 한국외국어교육학회, 제9권, 제4호, pp.165-190, 2002.
  20. 임지영, 북한 고등중학교 고학년 영어교과서 분석, 충남대학교 교육대학원, 국내석사학위논문, 2010.
  21. 김지영, 코퍼스기반 북한 영어 교과서 어휘 분석, 한국교원대학교 교육대학원, 국내석사학위논문, 2017.
  22. M. Scott, WordSmith Tools version 7, Stroud: Lexical Analysis Softare, 20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