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The Mediating Effects of Teacher Justice Experience and Teacher-Student Relationship on the Links between Belief in a Just World and School Engagement of High School Students: Multi group Analysis with Gender

고등학생의 정당한 세상에 대한 믿음과 학교 참여 간의 관계에 대한 교사 정당성 경험과 교사-학생 관계의 매개효과: 성별에 따른 다집단 분석

  • Published : 2017.06.30

Abstract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mediating role of high school students' teacher justice experience and their emotional relationship with teachers in the links between belief in a just world and school engagements, along with gender differences. The participants were 383 high school students in Seoul, Korea. The results showed that the more the students believed in a just world, the more they engaged in school life. In addition, the effect of belief in a just world on teacher-student relationship was fully mediated by teacher justice experience, and teacher-student relationship also mediated association between teacher justice experience and school engagement. In particular, for female students(N=213), the belief in a just world had both direct and indirect effect on school engagement mediated by students' experience of teacher justice and their relationship with teachers in order. On the other hand, for male students(N=168), the influence of belief in a just world on school engagement was fully mediated by teacher justice experience and teacher-student relationship in sequence. The results that belief in a just world had different path to school engagement by gender could be helpful to understand beneficial effect of belief in a just world in educational context.

본 연구에서는 고등학생의 정당한 세상에 대한 믿음과 학교 참여의 관계에서 교사 정당성 경험과 정서적인 측면의 교사-학생 관계가 어떠한 역할을 하는지 살펴보고, 이에 따른 성차를 탐색하고자 하였다. 서울 소재 고등학교 재학생 총 383명을 대상으로 분석한 결과, 정당한 세상에 대한 믿음이 강할수록 학교 참여 수준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정당한 세상에 대한 믿음은 교사 정당성 경험을 매개로 교사-학생 관계를 강화시키고, 교사 정당성 경험은 교사-학생 관계를 매개로 학교 참여를 향상시키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특히 여학생(N=213)의 경우 정당한 세상에 대한 믿음이 교사 정당성 경험과 교사-학생 관계를 순차적으로 이중 매개하여 학교 참여에 직?간접적 영향을 미치는 반면, 남학생(N=168)의 경우에는 정당한 세상에 대한 믿음과 학교 참여 간의 관계를 교사 정당성 경험과 교사-학생 관계가 순차적으로 완전 이중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정당한 세상에 대한 믿음이 학교 참여로 연결되는 경로에서 성별에 따른 차이가 나타난 본 연구결과는 청소년이 지닌 정당한 세상에 대한 믿음의 교육적 순기능을 이해하는데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