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elderly education in the intelligence information society: centered on "Pan-jo wu-chih lun" of Seng-Zhao

지능정보사회의 노인교육: 승조(僧肇)의 「반야무지론(般若無知論)」을 중심으로

  • Published : 2017.03.30

Abstract

In this study, we examined the direction of the elderly education to improve the quality of life in the intelligence information society on the basis of the wisdom shown in the "Pan-jo wu-chih lun" of Seng-Zhao. The characteristics of the elderly in the intelligence information society are four-fold. First, the elderly show no deterioration in wisdom. Second, they have a lot of leisure time. Third, they are likely not to adapt in a rapidly changing society. Fourth, they are exposed to an economically vulnerable environment. But in the intelligence information society, the elderly cannot avoid death, and it is difficult for them to have insight into their existence due to the egotism, they take the attitude of attaching themselves only to exiting things. The direction of the Elderly Education to solve the problem is as follows: First, "Learning to know that Life-and-Death-and-suffering is temporary" is to make the elderly aware that the coming mind and the disappearing mind for a specific object are temporary and S?nya. Second, "Learning to be while eliminating the egotism" is set them free from the dogmatism that there is the attan. Third, "Learning to do to break the attachment" is to disabuse them of the idea that things will turn out according to their expectation through an awakening and to transforming their behavior.

본 연구는 승조의 "반야무지론(般若無知論)"에 나타난 지혜를 토대로, 지능정보사회에서 삶의 질을 향상시키기 위한 노인교육의 방향에 대해 고찰한 것이다. 지능정보사회에서 예상되는 노인의 특성을 살펴보면, 지혜의 쇠퇴가 일어나지 않을 수 있고, 시간적 여유가 많을 수 있으며, 급격하게 변화하는 사회에서 적응하지 못할 가능성이 높고, 경제적으로 취약해지기 쉬운 환경에 노출되어 있다. 그러나 지능정보사회에서도 노인은 죽음을 회피할 수 없고, 아집으로 인해 존재를 있는 그대로 통찰하기 어려우며, 기존의 것에만 집착하는 태도를 지니기 쉽다. 이러한 노인의 삶을 근본적으로 해결하기 위한 노인교육의 방향은 다음과 같다. 첫째, '생사고(生死苦)가 일시적인 것임을 알기 위한 학습'을 통해 특정한 대상에 대해 나오는 마음과 사라지는 마음이 일시적이고 공(空)하다는 것을 깨닫는 일이다. 둘째, '아집을 없애면서 존재하기 위한 학습'을 통해 아(我)가 있다고 믿는 왜곡된 독단으로부터 벗어나는 일이다. 셋째, '집착을 끊고자 행동하기 위한 학습'을 통해 기대한 바에 따른 결과가 발생할 것이라는 주관적인 견해를 각성으로 끊으며 행위의 전환을 불러일으키는 일이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