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n Analysis of Curriculum Leading Teachers' Opinions on Competencies of the 2015 Revised National Curriculum and its Implications

2015 개정 교육과정의 역량 구현 양상과 실천 요인에 관한 교육과정 선도교원의 의견 분석 및 논의

  • Published : 2017.03.30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leading teachers' opinions on key competencies and subject competencies presented in the 2015 revised national curriculum and to draw implications for competency-based curriculum development and implementation. The research findings show that leading teachers are generally positive about the introduction of key competencies, subject competencies setting and its feasibility and recognize that the key competencies are highly related to the subject competencies of each subject. However, it is judged that the key competencies and subject competencies are not embodied well in every aspect of the curriculum documents. They also recognize that in the practice of competency education, supporting the development of teachers' ability to conduct student-centered classes in a culture that enables voluntary research efforts of the teacher community can be the biggest issue rather than external support such as development of competency-centered textbooks or consulting and supervision. Finally, we propose the need for support and policy that enable voluntary efforts for interdisciplinary cooperation and strengthening teacher capacity rather than developing competency-centered textbooks; specification of competency education in educational content, pedagogical methods and assessment; reconsideration of subject competencies setting; maintaining the relationship between key competency and items that guide educational goals.

본 연구의 목적은 2015 개정 교육과정이 제시하고 있는 핵심역량과 교과역량에 대한 교육과정 선도교원들의 의견을 분석하고, 교육과정 개발과 역량교육 구현을 위한 시사점을 도출하는 데 있다. 연구 결과, 선도교원들은 핵심역량의 도입, 담당 교과의 교과역량 설정과 구현 가능성에 대해서는 전반적으로 긍정적이었으며 총론의 핵심역량이 각 교과의 교과역량과 높은 관련성을 지니고 있는 것으로 인식하였다. 그러나 핵심역량과 교과역량이 교육과정 문서의 면면에 잘 구현되지는 못한 것으로 판단하였다. 또한 역량교육의 구현에 있어서는 역량중심의 교과서 개발이나 컨설팅 장학과 같은 외부적 지원보다는 교사 공동체의 자발적 연구 노력을 가능하게 하는 문화 속에서 학생 참여 수업을 진행할 수 있는 교사 능력을 개발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것이 가장 큰 관건이 될 것으로 인식하였다.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결론에서는 교육목표를 안내하는 항목들과 핵심역량의 관계 정비, 교과역량 설정의 재고, 교육내용-방법-평가에 역량교육의 구체화, 역량중심의 교과서 개발보다는 교사 역량 강화와 교과간 협력을 위한 자발적 노력을 가능하게 하는 지원과 정책의 필요성 등을 제안하였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