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 Study on the Landscape Color Analysis of the Energy Industry in Jeju Rural Area

제주 농촌지역의 에너지사업 유무에 따른 경관색채 분석 연구

  • 김은자 (농촌진흥청 국립농업과학원) ;
  • 한채원 (농촌진흥청 국립농업과학원) ;
  • 임창수 (농촌진흥청 국립농업과학원) ;
  • 박미정 (농촌진흥청 국립농업과학원) ;
  • 최진아 (농촌진흥청 국립농업과학원) ;
  • 권순찬 (농촌진흥청 국립농업과학원)
  • Received : 2017.10.10
  • Accepted : 2017.11.22
  • Published : 2017.11.25

Abstract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propose a color plan for rural villages that seeks harmony between natural and artificial environments in consideration of the fact that as new and renewable energy businesses increase drastically, problems of landscape color occur in rural areas. To this end, the current color conditions over the target regions are examined in context of energy businesses; a land simulation is developed; a survey on the preferences is conducted with the result analyzed; and finally, a color plan for villages where energy businesses and non-energy businesses are conducted. For the survey, 40 photos including simulation photos and original photos of villages were used: the photos before and after the simulation was applied were shown to village residents. The validity of the selected colors was then evaluated accordingly. The survey was conducted among 15 residents in villages where energy businesses were conducted and 15 in villages where non-energy businesses were conducted. As new and renewable energy methods such as solar energy panels are utilized over rural villages in the future, selecting artificial environmental colors that can better represent the region's identity and that are in harmony with natural environments will be an important factor in community center or housing remodeling projects, local community development projects, and so forth. It is expected that the present study can be utilized as the basis for village color plans that seek to consider actual local conditions based on objective data rather than selecting colors uniformly or based on subjective judgment.

Keywords

References

  1. 김현선 외 4명, 자연경관을 고려한 농어촌마을 환경색채계획 -제주특별자치도를 중심으로-, 한국색채학회지, 제 26집 4호, 2012
  2. 동상식, 전통적 경관요소를 고려한 농촌마을 색채 분석 -지붕색채를 중심으로 -, 경희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2
  3. 리신호 외 4명. 신재생에너지의 농촌마을 적용방안. 농업과학연구, 제 38집 2호, 2011
  4. 박소영 외 4명, 도시 상업건축물을 위한 입면 색채 계획 시뮬레이션에 관한 연구, 디자인융복합연구, 제 2집 2호, 2003
  5. 배지영, 경관계획 실무적 분석을 통한 색채계획 적용에 관한 연구 -3D 시뮬레이션을 활용한 색채적용 검토-, 홍익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0
  6. 백석종, 농촌지역 전통, 개량 및 신축주택 외장색채 비교분석 연구, 한국주거학회논문집, 제 19집, 6호, 2008
  7. 송미령.박경철, 농촌경관 보전을 위한 정책 동향과 시사점, 농촌경제연구원, 제 28집 3호, 2005
  8. 여화선.동상식.서주환, 농촌마을의 환경색채 개선에 관한 연구, 디자인지식저널, 제 16집 16호, 2010
  9. 이경순, 공공공간의 색채환경 개선 방안 연구:정책 유형 분류 제안, 홍익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9
  10. 이미진.이진숙, 농촌마을의 색채정비를 위한 현황조사 및 설문분석, 대한건축학회논문집, 제 23집 1호, 2003
  11. 이석현, 풍토환경을 고려한 전원마을 환경색채 계획, 한국색채학회지, 제 25집 2호, 2011
  12. 이임정.최주영 경관심의에 사용되는 경관시뮬레이션 실태분석 연구 - 경기도 공동주택사업 경관시뮬레이션 분석을 중심으로 - , 한국생태환경건축학회논문집, 제 14집 4호, 2014
  13. 이영.안동만, 환경색채 추출을 통한 농촌마을 지붕 개선색채 선정방법에 관한 연구, 한국농촌계획학회논문집, 제16집 3호, 2010
  14. 이재현, 경관색채계획을 위한 스토리텔링 기법의 활용,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집, 제 14집 12호, 2014
  15. 임오연, 충청남도 환경색채의 현황조사 및 분석, 한국색채학회논문집, 제 24집 3호, 2010
  16. 이진숙 외 3명, 농어촌 경관이미지 형성을 위한 경관색채 가이드라인 제작, 한국색채학회논문집, 제 24집 3호, 2010
  17. 이진숙.홍룡일, 2D,3D 시뮬레이션 가로공간의 색채평가특성 평가분석, 한국색채학회논문집, 제26집 3호, 2012
  18. 조원석.김흥기.김정현, 강원 동해안 어촌어항의 색채 현황에 관한 연구, 한국농촌건축학회논문집, 제 8집 3호, 2006
  19. 최임주, CG Simulation을 이용한 가로경관의 시시각적 평가에 관한 연구 - 서면 '젊음의 거리'를 중심으로 -, 대한건축학회논문집, 제 14집 10호, 200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