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Research Method of Health Law History

보건의료법학에 있어 역사적 연구방법

  • 박지용 (연세대학교 법학전문대학원)
  • Received : 2017.06.07
  • Accepted : 2017.06.26
  • Published : 2017.06.30

Abstract

This research aims for suggesting the significance and approaching method of historical study in health law in light of its historical progress and fundamental understanding of jurisprudential method. Historical research method of health law primarily targets to investigate the changes of the law in historical circumstances. In a further practical view point, however,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understand the 'current' system of health law appropriately. In addition, historical study enables us to recognize the fact that many systems related to health law are connected and interactive. The study can even function as an important reference when designing future health law system. Therefore, health law researchers have to investigate ideological, philosophical, political, economic, or social reasons of why such rules were legislated beyond a mere confirmation of past forms of the health law system. In other words, it is not only important to understand the provisions of past health law but also to examine how the regulations have formed, how they established the regulatory power in reality. Identifying how the rule of law had been executed in the reality of law is also a crucial part of historical study.

이 연구는 보건의료법학의 발전 과정과 법학방법론에 대한 기초적 이해와 문제의식을 토대로 보건의료법학에 있어 역사적 연구의 의의와 그 접근 방법을 제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보건의료법학에 있어 역사적 연구는 보건의료법이 역사적 현실 속에서 변화하고 발전하는 모습을 탐구하는 것을 그 일차적 목적으로 한다. 그러나 보다 실천적인 관점에서 보건의료법에 대한 역사적 연구의 목적은 '현재'의 보건의료법 체계를 올바르게 이해하는데 도움을 준다는 점에서 찾을 수 있다. 또한 역사적 연구는 보건의료법상의 여러 제도들이 유기적으로 연결되어 있으며 상호작용하고 있다는 사실을 인식시켜 주는데 도움을 준다. 더 나아가 역사적 연구는 미래의 보건의료법을 설계함에 있어서도 중요한 준거 자료로 기능할 수 있다. 따라서 역사적 연구에서는 과거의 보건의료법이 어떤 특정한 체계와 규정을 두고 있었는가에 대한 사실의 확인을 넘어, 과연 그러한 규정을 두게 되었던 이념적, 철학적, 정치 경제 사회적 이유 내지 압력 등을 탐구하여야만 한다. 법규범이 법현실 속에서 실제로 어떻게 집행되고 구현되었는지를 확인하는 것 또한 역사적 고찰의 중요한 부분을 구성한다. 이처럼 역사적 연구는 현재의 보건의료법을 보다 깊이 있고 정확하게 해석, 적용할 수 있도록 해줄 뿐만 아니라 미래의 법형성에 있어서도 결코 간과할 수 없는 통찰을 제공해준다는 점에서 그 의의를 찾을 수 있다.

Keywords

References

  1. 김성수, 일반행정법, 홍문사, 2014.
  2. 김영환, "법도그마틱의 개념과 그 실천적 기능", 법학논총 제13권, 한양대학교 법학연구소, 1996.
  3. 김천수, "불법행위법의 확장과 의료과오책임의 현대적 동향", 사법 제21호, 사법발전재단, 2012.
  4. 남기윤, 법학방법론, 고려대학교 출판부, 2014.
  5. 박지용, "'기본법'으로서의 보건의료기본법", 한국의료법학회지 제22권 제1호, 한국의료법학회, 2014.
  6. 박지용, "보건의료법학의 체계적 이해을 위한 一考: 학문적 성격, 위상 그리고 개념적 기초", 법학논집 제18권 제3호, 이화여자대학교 법학연구소, 2014.
  7. 박지용, "보건의료에 대한 헌법적 기초로서 개념적 및 역사적 접근", 헌법학연구 제19권 제4호, 한국헌법학회, 2013.
  8. 손명세, "보건의료법제의 변천 - 그 평가와 전망", 법제 2007년 7월호, 법제처, 2000.
  9. 신규환.서홍관, "한국 근대 사립병원의 발전과정", 의사학 제11권 제1호, 대한의사학회, 2002.
  10. 양재진 외, 한국의 복지정책 결정과정, 나남, 2008.
  11. 유승흠.박은철, 의료보장론, 신광출판사, 2009.
  12. 윤찬영, 사회복지법제론, 나남, 2010.
  13. 이계일, "우리 법원의 법률해석/법형성에 대한 반성적 고찰", 법학연구 제25권 제4호, 연세대학교 법학연구원, 2015.
  14. 이상돈, 기초법학, 법문사, 2010.
  15. 이인재.류진석.권문일.김진구, 사회보장론, 나남, 2010.
  16. 전광석, "국민건강보험의 법률관계", 의료법학 제2권 제1호, 대한의료법학회, 2001.
  17. 전광석, 독일사회보장법과 사회정책, 박영사, 2008.
  18. 전광석, 복지국가론, 신조사, 2012.
  19. 조규창, 비교법(상), 소화, 2005.
  20. 조형원, "보건의료법의 입법방향 - 보건의료기본법을 중심으로", 의료법학 제2권 제2호, 대한의료법학회, 2001.
  21. 조형원, "우리나라 보건의료법의 현황과 과제 - 법정책학적 연구방법론을 중심으로", 의료법학 제14권 제1호, 대한의료법학회, 2013.
  22. 조형원, "건강보험법제의 과제와 해결방안", 법과 정책연구 제14권 제3호, 한국법정책학회, 2014.
  23. 보건의료미래위원회, 2020 한국의료의 비전과 정책방향, 보건복지부, 2011
  24. 보건복지부 보건의료발전기획단, 보건의료발전계획 공청회자료집(2003-18), 보건복지부, 2003.
  25. 보건복지부, 2012 보건복지백서, 보건복지부, 2013.
  26. Brinkely, 황혜성 외 공역, 있는 그대로의 미국사 3, 휴머니스트, 2011.
  27. Calabresi(ed), Originalism, Regnery Publishing, 2007.
  28. Cannadie 편, 문화사학회 공역, 굿바이 E. H. 카, 푸른역사, 2005.
  29. Gilderhus, 강유원.이재만 공역, 역사와 역사가들, 이론과 실천, 2009.
  30. Gravey 외, Modern Constitutional Theory, Thomson West, 2004.
  31. Larenz, 허일태 역, 법학방법론 입문, 세종출판사, 2001.
  32. Siegel, "Dead or Alive: Originalism as Popular Constitutionalism in Heller", Harvard Law Review, Vol. 122, Issue 1, 2008.
  33. Starr, The Social Transformation of American Medicine, Basic Books, 1984.
  34. Webster, The National Health Service: A Political History, Oxford University Press, 199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