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consideration of the Linguistic Category of Mediation in Language: a Comparative Approach between French and Korean

언어의 '매개작용' 범주 고찰: 프랑스어와 한국어 비교 연구

  • Received : 2017.02.10
  • Accepted : 2017.03.03
  • Published : 2017.03.30

Abstract

In this paper, I would like to reconsider the evidential category (or the mediation category) in languages with language specific values, especially in Korean and French evidentials. We tried to analyze how the evidentials are represented in both languages including their linguistic markers (grammatical, lexical or discursive) and their semantic meanings. According to the precedent studies from the general linguistic point of view, we would like to reconsider the semantic meanings of both languages' grammatical markers, the so-called Korean retrospective marker '-te-' and French conditionals in the framework of the enunciative operation theory suggested by $Descl{\acute{e}}s$ & $Guentch{\acute{e}}va$ (2000), which proposed to classify the type of discourse by the language-independent description tools conceived after the enunciation theory suggested by Bally (1965), Benveniste (1956), Culioli (1973). Through this approach, we would like to contribute to establishing the linguistic basis not only for the general linguistic research to determine the invariant meaning of linguistic evidentials and their system, but also for the applied linguistics to the language engineering field.

이 논문은 언어에서 포착되는 '증거성(${\acute{e}}videntialit{\acute{e}}$)' 범주의 의미적 속성과 그 체계를 연구하기 위한 언어학적 토대연구로 진행되었다. 본 연구에서, 우리는 프랑스어와 한국어의 증거성 범주를 $Descl{\acute{e}}s$ & $Guentch{\acute{e}}va$(2000)의 '발화작용이론(la $th{\acute{e}}orie$ de $l^{\prime}op{\acute{e}}ration$ ${\acute{e}}nonciative$)'을 중심으로 비교, 분석하였다. 선행 연구를 바탕으로, 우리는 프랑스어의 문법표지인 '조건법 현재시제'와 한국어의 문법표지인 '-더-'에 드러난 증거성 범주의 의미적 가치를 기술하고, 이 범주가 언어마다 다르게 발현되는 양상을 살펴보았다. 본 연구에서 우리는 발화작용 이론을 객관적 분석 기제로 이용해, 양 언어 간에 드러나는 증거성 범주를 매개작용으로 다시 정의하고, 시상 및 양태 범주와 구별되는 범주의 구별된 위상을 규명하였다. 또한, 해당 범주의 범언어적 체계와 보편적 의미 가치를 탐색하는 일반 언어학적 연구도 병행하였다. 이를 통해, 본 연구는 '증거성' 이라는 범언어적 현상을 발화작용의 체계 내에서 통합적으로 설명해내었고, 본 연구의 결과는 응용언어학 등의 다양한 분야로 까지 확장되어 활용될 수 있는 가능성도 마련하였다.

Keywords

Acknowledgement

Supported by : 서울여자대학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