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교교육연구 (Korean Journal of Comparative Education)
- 제27권3호
- /
- Pages.213-238
- /
- 2017
- /
- 1229-3903(pISSN)
DOI QR Code
세계인식 형성에 있어서 교과서 삽화의 역할 : 일제 시대 간행된 초등 지리교과서의 인종·민족 삽화를 중심으로
The Role of Textbooks Pictures in the World Recognition
- 한현정 (부산대)
- Han, Hyun-jung (Pusan National University)
- 투고 : 2017.04.15
- 심사 : 2017.06.28
- 발행 : 2017.06.30
초록
본 논문은 공통의 인식형성 장치로서 근대 교과서를 위치 짓고, 삽화의 사실적 표현 양식과 교과서 내 배치가 세계인식 형성에 중요한 역할을 했음을 지적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주된 연구대상은 일제 강점기에 문부성, 조선총독부, 타이완 총독부, 만주교육회 등이 간행한 초등학교 지리교과서의 인종 민족에 관한 삽화를 비교함으로써 당시의 제국이라는 세계의 인식을 교과서 편자가 시각적으로 어떻게 조정하고자 했는지를 검토했다. 연구의 주요결과는 다음의 세 가지이다. 첫째, 지리교과서에 인구조사와 분류방법론이 도입된 후 비로소 제국은 인종, 민족별 총합으로 간주되었다. 나아가 전시기의 제국은 소수 인종 및 민족에 의해 그 의미가 지지되었다. 둘째, 인종 민족의 표현양식은 초기에 과학적 관찰 대상으로서 이질적인 부분을 강조하던 것에서 후기로 갈수록 독자와 유사한 생활 문화를 지닌 대상으로 변해갔다. 셋째, 인종 민족 삽화는 제국 내 간행지역에 따라 다르게 사용되었는데 각 지역 독자에게 같은 범주의 다른 이미지를 가지게 했다. 많은 사례 중에 대표성이 가지는 정치성, 특정 인종 민족 삽화의 사용 유무로 알 수 있었다. 20세기 전반의 교과서는 삽화그림을 대거 사용함으로써 독자가 직접 만날 수 없는 인민에 대한 선견적 인식을 부여했다. 종주국 아동은 교과서를 통해 다양한 제국인민을 조망하면서 '보는 입장'에 선 위치를 자각한다. 반면 식민지 아동의 교과서에는 '보이는 입장'에 섰다가 제국의 확장과 함께 종주국 주체의 입장을 내면화해가는 변화를 보였다.
This paper aims to point out that the contemporary textbook is a common cognitive construct, and that the realistic drawings in the textbooks have played an important role in shaping the world recognition. The main subjects of this study are the racial-ethnic illustrations of elementary school geography textbooks, published by the Japanese Ministry of Education, the Japanese Government-General of Taiwan and Korea, the educational association of Manchu. By comparing the same factors in various textbooks, it examines how the temporal and spatial recognition of the world is adjusted by visual representation. The main findings of this study are three fold. First, the world was introduced to the extent of the sum that the census and the classifications of racial and ethnic groups were adopted. And the world appeared later in the year supported by the racial and ethnic minorities. Second, the expressive style of racial and ethnic groups changed from an emphasis on a heterogeneous part as an object of scientific observation in the early stage to a later one with a life culture similar to the reader. Third, racial ethnic illustrations have been used differently depending on the publishing region in the Empire, giving readers in different regions with different images of the same category. In many cases, it was possible to know the politics of representation and the use of certain racial ethnic illustrations. The textbooks of the first half of the 20th century gave great recognition to the people who could not meet with the readers by using the illustrations. A child in the mainland is aware of his position in a "viewing position" while viewing various empire people through the textbook. On the other hand, in the textbooks of the colonial children, they stood in the position of 'being seen', and showed a change in internalizing the position of the mainland along with the expansion of the empire.
키워드